농식품 원산지 표시 위반 3년간 8,748곳 적발
유치원부터 학교급식 식품판매업, 요양병원 등
#지난 7월 A유치원은 수입산 두부와 돼지고기 가공품을 사용하면서 유치원 내 식단표에는 두부를 국내산과 수입산으로, 돼지고기를 국내산으로 표시했다 들통 났습니다.
#지난 3월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B식품판매업체 중국산 고사리를 국내산과 혼합해 학교급식납품업체에 5만5,726㎏ 납품하며 국내산으로 원산지를 속였다가 적발됐습니다.
농식품 원산지를 허위 표시하거나 미표시하는 위반행위가 최근 3년간 8,000여 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 더불어민주당 소병훈 의원에 제출한 농식품 원산지 표시 위반 적발 업소현황에 따르면 2021년부터 지난 8월까지 8,748곳의 업소가 덜미를 잡혔습니다.
연도별로는 2021년 3,115곳, 지난해 3,191곳, 올 들어 지난 8월까지는 2,442곳이 적발됐습니다.
거짓 표시는 총 4,483곳(형사입건 4,475-고발 8)이었습니다. 원산지를 아예 표시하지 않거나 표시방법을 위반한 업소는 총 4,265곳(미표시 4,223-표시방법 위반 42)로 나타났습니다.
지역별로는 1,443곳이 적발된 경기지역이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어 서울 896곳, 경남 705곳, 경북 651곳, 충북 605곳 등입니다. 제주는 134곳이 적발됐습니다.
중국산을 국내산으로 허위표시하는 등 농식품 원산지를 가장 많이 거짓 표시한 품목은 돼지고기였습니다.
최근 3년간 적발된 총 5,318건 중 돼지고기는 무려 1,351건이었습니다. 배추김치는 이보다 조금 낮은 1,305건, 쇠고기 471건, 닭고기 237건, 콩 189건 순이었습니다.
또 5,079건의 위반업체가 공개됐습니다. 이 중 일반음식점이 2,911건으로 전체 대비 57%를 차지해 가장 많았습니다.
특히 올해는 총 26건의 집단급식소가 위반업체로 공표됐습니다. 문제는 노인, 아이가 이용하는 요양병원, 유치원 등이 포함됐다는 점입니다.
또, 정부 기관인 공공기관도 원산지를 허위 표기해 적발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소 의원은 “원산지 표시 위반은 우리 농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 하락과 소비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며 “특히 집단급식소의 경우 어린이집, 병원, 공공기관 등이 포함되기 때문에 무엇보다 더 면밀히 단속하고 제도적 방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정용기 (brave@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치원부터 학교급식 식품판매업, 요양병원 등

#지난 7월 A유치원은 수입산 두부와 돼지고기 가공품을 사용하면서 유치원 내 식단표에는 두부를 국내산과 수입산으로, 돼지고기를 국내산으로 표시했다 들통 났습니다.
#지난 3월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B식품판매업체 중국산 고사리를 국내산과 혼합해 학교급식납품업체에 5만5,726㎏ 납품하며 국내산으로 원산지를 속였다가 적발됐습니다.
농식품 원산지를 허위 표시하거나 미표시하는 위반행위가 최근 3년간 8,000여 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 더불어민주당 소병훈 의원에 제출한 농식품 원산지 표시 위반 적발 업소현황에 따르면 2021년부터 지난 8월까지 8,748곳의 업소가 덜미를 잡혔습니다.
연도별로는 2021년 3,115곳, 지난해 3,191곳, 올 들어 지난 8월까지는 2,442곳이 적발됐습니다.
거짓 표시는 총 4,483곳(형사입건 4,475-고발 8)이었습니다. 원산지를 아예 표시하지 않거나 표시방법을 위반한 업소는 총 4,265곳(미표시 4,223-표시방법 위반 42)로 나타났습니다.
지역별로는 1,443곳이 적발된 경기지역이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어 서울 896곳, 경남 705곳, 경북 651곳, 충북 605곳 등입니다. 제주는 134곳이 적발됐습니다.

사진은 기사 특정 사실과 관련 없음
중국산을 국내산으로 허위표시하는 등 농식품 원산지를 가장 많이 거짓 표시한 품목은 돼지고기였습니다.
최근 3년간 적발된 총 5,318건 중 돼지고기는 무려 1,351건이었습니다. 배추김치는 이보다 조금 낮은 1,305건, 쇠고기 471건, 닭고기 237건, 콩 189건 순이었습니다.
또 5,079건의 위반업체가 공개됐습니다. 이 중 일반음식점이 2,911건으로 전체 대비 57%를 차지해 가장 많았습니다.
특히 올해는 총 26건의 집단급식소가 위반업체로 공표됐습니다. 문제는 노인, 아이가 이용하는 요양병원, 유치원 등이 포함됐다는 점입니다.
또, 정부 기관인 공공기관도 원산지를 허위 표기해 적발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소 의원은 “원산지 표시 위반은 우리 농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 하락과 소비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며 “특히 집단급식소의 경우 어린이집, 병원, 공공기관 등이 포함되기 때문에 무엇보다 더 면밀히 단속하고 제도적 방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정용기 (brave@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