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복귀 현실화되자 용산도 움직였다”… 국방부, 238억 들고 ‘원래 자리’로
대통령실의 청와대 복귀가 눈앞으로 다가오자, 가장 먼저 움직인 기관은 국방부였습니다. 2022년 대통령실이 용산으로 이동하면서 급히 비워줬던 그 건물, 지금의 대통령실 본관으로 다시 들어가기 위한 예산이 국회에 올라갔습니다. ■ 238억 6,000만 원, ‘현 대통령실 본관’ 향해… 국방위 심사 통과 23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강대식 국민의힘 의원실 자료에 따르면, 국방부가 제출한 내년도 예산 증액 요구는 238억 6,000만 원입니다. 대통령실이 빠져나간 뒤 국방부가 용산 본관을 다시 사용하기 위한 준비 비용으로 네트워크 재구축, 회의실 체계 복원, 노후 구간 보수, 대규모 부서 이동에 필요한 이사비 등이 포함됐습니다. 국방위원회는 이 요구를 심사에서 그대로 반영해 의결했고, 현재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최종 단계를 앞두고 있습니다. 국방부는 내부적으로 “대통령실 이전 시점에 맞춰 내년 중 복귀를 마무리한다”는 목표를 세운 상태입니다. ■ 2022년 이동은 처음부터 무리였다… 뒤틀린 구조, 3년 이어졌다 2022년 대통령실의 용산 이전 과정은 속도전이었습니다. 국방부는 본관을 곧바로 비우고 옆의 합참 청사로 들어갔습니다. 그러나 합참 청사는 애초 합참 단독 운영을 기준으로 설계된 건물입니다. 국방부와 합참이 층을 나눠 사용하는 구조는 장기간 유지하기 어려웠고, 일부 부서는 부족한 공간을 감당하기 위해 청사 밖 임시 공간으로 분산됐습니다. 군사 정책과 작전 기능이 뒤엉킨 이 비정상적 배치에 대해 군 내부에서도 “더 이상 지속하기 어렵다”는 평가가 이어져 왔습니다. 이번 예산 증액은 그 임시 조치를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수순입니다. ■ 남태령 합참 신축 2,400억 구상은 멈춘 상태… 선택지는 다시 용산 뒤틀린 조직 배치를 정상화하기 위해 윤석열 정부는 2,400억 규모의 남태령 합참 단독 청사 신축을 검토했습니다. 그렇지만 비상계엄 수사, 탄핵 정국, 정권 교체가 이어지며 기재부 타당성 조사가 중단됐고, 사업은 사실상 멈춰 있습니다. 이제 국방부가 실제로 다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은 용산 본관뿐입니다. ■ 대통령실 청와대 복귀 시, 용산 본관은 다시 국방부… 합참은 단독 청사 유지 이재명 정부가 청와대 복귀를 추진하면서 전체 그림은 한 방향으로 맞춰집니다. 국방부 관계자 역시 “2022년 이전 상태로 복귀하는 방향”이라고 확인했습니다. 흐름은 ‘대통령실→ 청와대 복귀’, ‘국방부→ 현 대통령실 본관(구 국방부 본관) 재입주’, ‘합참→ 현 청사 단독 운영’으로 정리됩니다. 국방부는 대통령실 이전 시점에 따라 일정 조정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지만, 내년 안에 국방부·합참 청사 재배치가 마무리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2025-11-23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