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 시작? 지도부, 데스노트 꺼냈나”… 한동훈 향한 국민의힘, 계엄 1주년 앞두고 ‘내부 전선’ 폭발
국민의힘이 1년 전 잠깐 떠올랐다 묻혔던 ‘당원게시판 의혹’을 다시 들여다보겠다고 결정했습니다. 장동혁 대표 체제에서 처음으로 친한동훈계를 향한 공식 조치가 시작됐고, 조사와 징계가 같은 날 동시에 움직이면서 내부 긴장은 단숨에 고조됐습니다. 계엄 1주년을 앞두고, 국민의힘은 다시 갈라진 전선을 마주하고 있습니다. ■ 다시 열린 1년 전 의혹… 지도부 “사실관계 정리 필요하다” 당무감사위원회는 28일 지난해 11월 당원게시판에 올라온 글과 그 후속 조치 전반을 조사하겠다고 의결했습니다. 문제의 글은 당시 한동훈 대표와 가족의 이름으로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를 비방했다는 의혹을 불러왔고, 친윤석열계가 해명을 요구하면서 계파 갈등으로 번진 바 있습니다. 계엄 정국으로 덮였던 논란은 장동혁 대표 취임 이후 다시 수면 위로 올라왔고, 지도부는 “결과가 어떻든 확인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밀어붙였습니다. 시점 자체가 정치적 해석을 피하기 어려운 조건입니다. ■ 김종혁 징계까지 동시에… “의도 뚜렷하다”는 친한계 당무감사위는 같은 날 김종혁 전 최고위원에 대한 징계 절차도 개시했습니다. 장동혁 대표를 조롱한 표현, 당을 ‘병적 상태’로 묘사한 발언, 윤석열 전 대통령의 종교적 태도를 거론한 대목 등이 징계 사유로 적시됐습니다. 김 전 최고위원은 “헛웃음만 나온다”며 반발했고, 우재준 청년최고위원도 “갈등을 줄이려는 시점에 이런 결정을 왜 하느냐”고 공개 비판했습니다. 친한계가 ‘정치적 압박’으로 해석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조사와 징계가 같은 날 동시에 이뤄진 것은 매우 직접적인 메시지라는 분석입니다. ■ 공천으로 향하는 흐름… “정치 생명 끊기 시도” 반발 고조 당무감사위 조사는 윤리위원회로 넘어갑니다. 당원권 정지 같은 중징계가 의결될 경우, 한 전 대표와 친한계 인사들의 내년 공천은 사실상 차단될 수 있습니다. 친한계 내부에서는 이번 조치를 ‘정치적 솎아내기’로 받아들이는 분위기입니다. 계엄 사태 당시 대응, 김건희 특검법 표결에서 균열 등 누적된 갈등 위에 이깉은 조치가 더해지면서 상황은 곧바로 영역 다툼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 계엄 1주년 앞두고 흔들리는 보수… “반짝 갈등 아니다” 계엄 대응을 둘러싼 평가가 아직 정리되지 않은 상황에, 지도부가 1년 전 논란을 다시 공식 의제로 올렸습니다. 이 자체가 계파 전선을 재구성하는 계기가 되는 모양새입니다. 정치권에서는 “당무감사위 판단은 기술 절차지만, 파장은 공천과 당내 권력 구조로 직행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 “조사냐 정치냐”… 경계선에서 움직이는 국민의힘 지도부는 ‘원칙’을, 친한계는 ‘정치적 의도’를 주장하며 이미 충돌이 시작됐습니다. 이제 윤리위 판단으로 공이 넘어갔고, 결과는 향후 구도와 공천 지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국민의힘은 지금, 정리하려는 쪽과 정리 대상으로 지목됐다고 반발하는 쪽이 맞붙은 형국입니다. 그 균열이 어디까지 확장될지, 당 안팎의 촉각이 쏠리고 있습니다.
2025-11-28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