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대상.. ‘고연봉자 관련 설문조사’ 결과
연령별 기준차 20대 7,860만↑·30대 8,470만↑
2명 중 1명.. “이직 통해 연봉 올리는 것도”
고연봉 기준이 연령에 따라 다르지만, 직장인들은 적어도 연봉 8,500만 원은 넘어야 고연봉이라 생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과감한 이직도 대안으로 꼽혔습니다. 승진을 기다리는 것보다, 이직을 통해 제 몸값을 올리는 것이 빠르다는 의견도 지배적으로 나타났습니다.
구인구직 플랫폼 잡코리아가 전국의 남녀 직장인 721명을 대상으로 ‘고연봉자가 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들은 평균적으로 한 해 8,550만 원 이상을 받아야 고연봉으로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연령별로 고연봉을 바라보는 기준이 달랐습니다.
20대 직장인들은 7,860만 원, 30대는 8,470만 원, 40대는 9,510만 원 이상을 고연봉의 시작점으로 생각했습니다.
고연봉자가 되는 방법에 대해서 직장인들의 절반 이상(51.2%)은 이직을 통해 연봉을 올리는 것이 가장 빠르다고 답했습니다.
이어 승진을 통해서 관리자나 임원급이 되어야 고연봉을 받을 수 있다는 의견은 46.3%로 뒤를 이었습니다. ‘경력과 근속년수가 쌓여야’(39.4%), ‘전문 자격증이 있어야’(22.3%) 고연봉을 받을 수 있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고연봉을 받기 위한 기본 조건으로 직장인들은 ‘기업 규모’(57.4%)를 첫 번째로 꼽았습니다. 그만큼 높은 연봉을 줄 수 있는 규모 있고 자본을 갖춘 기업에 근무해야 한다는 인식이 강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어서 ‘본인의 능력’(37.7%), ‘맡고 있는 직무’(31.5%), ‘업종’(25.7%), ‘최종 학력·학벌’(25.5%) 등이 고연봉자가 되기 위한 조건으로 꼽혔습니다.
잡코리아는 고연봉 인재들을 돕기 위한 관련 서비스를 준비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다양한 업종과 직종의 풍부한 경험을 보유한 헤드헌터가 구직 활동의 전 과정을 관리해 성공적인 이직과 연봉 인상을 돕는 서비스로, 잡코리아 관계자는 “이직을 통해 연봉을 높이고 싶다면 자신이 담당했던 직무와 업무를 성과 중심으로 잘 정리해 두어야 한다”라며 “처음부터 너무 높은 희망 연봉을 기재하기보다 전문가 도움을 받아 면접을 통해 협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연령별 기준차 20대 7,860만↑·30대 8,470만↑
2명 중 1명.. “이직 통해 연봉 올리는 것도”

고연봉 기준이 연령에 따라 다르지만, 직장인들은 적어도 연봉 8,500만 원은 넘어야 고연봉이라 생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과감한 이직도 대안으로 꼽혔습니다. 승진을 기다리는 것보다, 이직을 통해 제 몸값을 올리는 것이 빠르다는 의견도 지배적으로 나타났습니다.
구인구직 플랫폼 잡코리아가 전국의 남녀 직장인 721명을 대상으로 ‘고연봉자가 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들은 평균적으로 한 해 8,550만 원 이상을 받아야 고연봉으로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연령별로 고연봉을 바라보는 기준이 달랐습니다.
20대 직장인들은 7,860만 원, 30대는 8,470만 원, 40대는 9,510만 원 이상을 고연봉의 시작점으로 생각했습니다.

고연봉자가 되는 방법에 대해서 직장인들의 절반 이상(51.2%)은 이직을 통해 연봉을 올리는 것이 가장 빠르다고 답했습니다.
이어 승진을 통해서 관리자나 임원급이 되어야 고연봉을 받을 수 있다는 의견은 46.3%로 뒤를 이었습니다. ‘경력과 근속년수가 쌓여야’(39.4%), ‘전문 자격증이 있어야’(22.3%) 고연봉을 받을 수 있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고연봉을 받기 위한 기본 조건으로 직장인들은 ‘기업 규모’(57.4%)를 첫 번째로 꼽았습니다. 그만큼 높은 연봉을 줄 수 있는 규모 있고 자본을 갖춘 기업에 근무해야 한다는 인식이 강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어서 ‘본인의 능력’(37.7%), ‘맡고 있는 직무’(31.5%), ‘업종’(25.7%), ‘최종 학력·학벌’(25.5%) 등이 고연봉자가 되기 위한 조건으로 꼽혔습니다.
잡코리아는 고연봉 인재들을 돕기 위한 관련 서비스를 준비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다양한 업종과 직종의 풍부한 경험을 보유한 헤드헌터가 구직 활동의 전 과정을 관리해 성공적인 이직과 연봉 인상을 돕는 서비스로, 잡코리아 관계자는 “이직을 통해 연봉을 높이고 싶다면 자신이 담당했던 직무와 업무를 성과 중심으로 잘 정리해 두어야 한다”라며 “처음부터 너무 높은 희망 연봉을 기재하기보다 전문가 도움을 받아 면접을 통해 협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