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시험, 낮은 연봉”... 공직의 매력, 어디로 사라졌나
공직에 대한 인기가 빠르게 식고 있습니다. 국가공무원 5급 공개경쟁채용과 외교관 후보자 선발시험의 평균 경쟁률이 올해 34.6대 1로 집계되며, 지난해보다 또다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몇 년간 이어져 온 공무원 경쟁률 하락세를 더욱 뚜렷하게 보여주는 신호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25일 인사혁신처는 지난 20일부터 24일까지 진행된 응시 원서 접수 결과 선발 예정 인원 347명에 총 1만 2,005명이 지원했다고 밝혔습니다.
이같은 경쟁률 하락은 최근 5년간 지속되어 온 흐름입니다. 2021년 43.3대 1에서 2022년 38.4대 1, 2023년 35.3대 1, 지난해 35.1대 1로 감소세를 이어오더니 올해 34.6대 1로 또 한 번 하락하며 공직의 매력에 물음표를 던지고 있습니다.
■ 검찰직 130.5대 1.. 세부 경쟁률 ‘극과 극’
직군별 경쟁률은 5급 행정직군이 37.9대 1, 외교관 후보자가 36.2대 1, 과학기술직군은 26.0대 1로 각각 집계됐습니다. 세부적으로는 행정직군 검찰직이 무려 130.5대 1로 가장 치열했고, 과학기술직군 방재안전직도 62.0대 1로 높은 경쟁률을 보였습니다.
올해 처음 신설된 과학기술직군 전자직도 관심을 끌었습니다. 3명 선발에 89명이 지원, 29.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평균을 웃돌았습니다.
■ 20대 선호는 여전, 여성 비율은 소폭 감소
출원자 평균 연령은 29.3살로 지난해보다 소폭 상승했습니다. 연령대별로 20~29살 비율이 63.6%로 가장 높고, 30대(28.2%), 40대(7.0%) 순이었습니다. 50살 이상도 126명(1.1%) 지원했습니다. 여성 비율은 45.8%로 전년(46.2%) 대비 다소 낮아졌습니다.
■ 낮은 연봉·높은 업무 강도.. “공직 위기”
공직에 대한 선호도가 떨어진 가장 큰 이유는 낮은 연봉과 높은 업무 강도가 꼽힙니다. 한 결혼정보업체 조사에서도 이를 뒷받침하는 결과가 나와, 종전 이상적인 배우자 직업으로 공무원이 압도적 1위를 차지했던 시대는 이미 지나간 것을 뒷받침했습니다. 최근 몇 년간 남녀 모두 공무원 대신 일반사무직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한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 ‘공정성’·‘투명성’ 강화.. 돌파구 될까
인사혁신처는 “원서접수 현황을 매일 공개하며 투명성을 높였다”라며 공정한 시험 운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공직 기피 현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공직의 매력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시험 관리 강화만 아닌, 업무 환경과 보상 체계 전반에 대한 획기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올해 1차 시험은 오는 3월 8일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등 전국 5개 지역에서 실시되며, 합격자는 4월 11일 사이버국가고시센터를 통해 발표할 예정입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공직에 대한 인기가 빠르게 식고 있습니다. 국가공무원 5급 공개경쟁채용과 외교관 후보자 선발시험의 평균 경쟁률이 올해 34.6대 1로 집계되며, 지난해보다 또다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몇 년간 이어져 온 공무원 경쟁률 하락세를 더욱 뚜렷하게 보여주는 신호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25일 인사혁신처는 지난 20일부터 24일까지 진행된 응시 원서 접수 결과 선발 예정 인원 347명에 총 1만 2,005명이 지원했다고 밝혔습니다.
이같은 경쟁률 하락은 최근 5년간 지속되어 온 흐름입니다. 2021년 43.3대 1에서 2022년 38.4대 1, 2023년 35.3대 1, 지난해 35.1대 1로 감소세를 이어오더니 올해 34.6대 1로 또 한 번 하락하며 공직의 매력에 물음표를 던지고 있습니다.

■ 검찰직 130.5대 1.. 세부 경쟁률 ‘극과 극’
직군별 경쟁률은 5급 행정직군이 37.9대 1, 외교관 후보자가 36.2대 1, 과학기술직군은 26.0대 1로 각각 집계됐습니다. 세부적으로는 행정직군 검찰직이 무려 130.5대 1로 가장 치열했고, 과학기술직군 방재안전직도 62.0대 1로 높은 경쟁률을 보였습니다.
올해 처음 신설된 과학기술직군 전자직도 관심을 끌었습니다. 3명 선발에 89명이 지원, 29.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평균을 웃돌았습니다.
■ 20대 선호는 여전, 여성 비율은 소폭 감소
출원자 평균 연령은 29.3살로 지난해보다 소폭 상승했습니다. 연령대별로 20~29살 비율이 63.6%로 가장 높고, 30대(28.2%), 40대(7.0%) 순이었습니다. 50살 이상도 126명(1.1%) 지원했습니다. 여성 비율은 45.8%로 전년(46.2%) 대비 다소 낮아졌습니다.

■ 낮은 연봉·높은 업무 강도.. “공직 위기”
공직에 대한 선호도가 떨어진 가장 큰 이유는 낮은 연봉과 높은 업무 강도가 꼽힙니다. 한 결혼정보업체 조사에서도 이를 뒷받침하는 결과가 나와, 종전 이상적인 배우자 직업으로 공무원이 압도적 1위를 차지했던 시대는 이미 지나간 것을 뒷받침했습니다. 최근 몇 년간 남녀 모두 공무원 대신 일반사무직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한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 ‘공정성’·‘투명성’ 강화.. 돌파구 될까
인사혁신처는 “원서접수 현황을 매일 공개하며 투명성을 높였다”라며 공정한 시험 운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공직 기피 현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공직의 매력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시험 관리 강화만 아닌, 업무 환경과 보상 체계 전반에 대한 획기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올해 1차 시험은 오는 3월 8일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등 전국 5개 지역에서 실시되며, 합격자는 4월 11일 사이버국가고시센터를 통해 발표할 예정입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7일 만에 판결문 완성”.. 대법원, 이재명 상고심 ‘속도전’ 배경은?
- ∙︎ "시커먼 연기가" 화북공업단지 화재.. 퇴근길 동일 신고만 49건
- ∙︎ '반탄' 김문수 vs '찬탄' 한동훈 진검승부.. 대선행 티켓 누구에게?
- ∙︎ “김건희 여사 ‘다이아 목걸이’ 적시”.. 검찰, 첫 강제수사에 ‘직무 연관성’ 겨눈다
- ∙︎ “전국은 반도체로 회복 중이라는데”.. 제주만 ‘반짝 반등’에 기대는 현실, “얼마나 더 버텨야 하나”
- ∙︎ "조기 졸업" 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국민의힘 탈당계 제출
- ∙︎ '노인학대 의혹' 尹 처가 운영 요양원, 홈페이지 접속 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