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사고 한 달 지났는데도 방치.. “국토부, 책임 회피 말고 조치하라”
“또 한 번의 참사가 터져야 철거할 건가?”
제주항공 2216편 참사로 수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한 지 한 달이 넘었지만,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로컬라이저 둔덕’은 여전히 그대로입니다.
현장 조종사들이 “이대로 방치하면 또 다른 비극이 반복될 것”이라며 즉각적인 철거를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하지만 정부는 책임 회피성 대책만 내놓으며 실질적인 조치는 미루고 있다는 주장입니다. 국토교통부의 이 같은 태도에 “안전보다 행정 편의가 우선인가”라는 비판이 거셉니다.
대한민국 조종사 노동조합 연맹은 14일 입장문을 발표하고, 최근 자사 조종사 1,42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응답자의 66.1%(950명)가 로컬라이저 둔덕을 ‘즉각 철거해야 한다’고 답했고, 특히 국내선 조종사(1,011명) 중 65.1%(659명)가 “이 시설이 계속 방치된다면 또 다른 사고를 부를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조종사노조연맹은 국토부에 보낸 공식 공문에서 “정부는 개선 대책을 발표하고 있지만, 정작 인명 피해를 키운 장애물에 대한 실질적인 철거 계획과 예산 운영 방안이 빠져 있다”라고 강하게 질타했습니다.
특히 로컬라이저 둔덕이 있는 7개 공항에서는 ILS(계기 착륙 시스템) 대체 방식인 RNAV(성능기반 항법 접근)가 운영 중이기 때문에, 악천후가 아니라면 철거해도 정상적인 항공기 운항이 가능하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안전보다 행정 편의가 우선인가”라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 국토부, ‘참사 후 개선’ 약속했지만.. 조종사들 “탁상행정의 전형”
제주항공 참사 이후 국토부는 항공 안전 대책을 발표했지만, 정작 핵심 장애물인 로컬라이저 둔덕에 대한 구체적인 철거 계획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이에 대해 조종사노조연맹은 “조류 충돌, 기체 결함, 엔진 고장 등 비상 상황 발생 시 또 다른 대형 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이 여전한데도, 정부는 근본 원인 해결보다 단순한 조치로 문제를 덮으려 한다”라고 비판했습니다.
또한 국토부가 조종사들의 철거 요구를 외면한 채, “7개 공항에 고경력 조종사를 우선 배치하라”는 대책을 내놓은 것에 대해서도 “근본적인 문제 해결보다 책임 회피를 위한 행정 편의적 조치”라고 지적했습니다.
■ “실질적 안전 대책은?”.. 조종사들, 국토부 안전협의체 참여 요구
조종사노조연맹은 국토부에 공식 공문을 보내 △로컬라이저 둔덕의 즉각 철거 △국토부 항공안전 개선 테스크포스(TF) 및 항공안전혁신위원회에 현장 조종사 참여 보장 등을 강력히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참사 이후 한 달이 넘도록 뚜렷한 대응이 없는 상황에서 정부가 실질적인 항공 안전 개선책을 내놓을지 향후 추이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주국제공항에 설치된 방위각 시설
“또 한 번의 참사가 터져야 철거할 건가?”
제주항공 2216편 참사로 수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한 지 한 달이 넘었지만,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로컬라이저 둔덕’은 여전히 그대로입니다.
현장 조종사들이 “이대로 방치하면 또 다른 비극이 반복될 것”이라며 즉각적인 철거를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하지만 정부는 책임 회피성 대책만 내놓으며 실질적인 조치는 미루고 있다는 주장입니다. 국토교통부의 이 같은 태도에 “안전보다 행정 편의가 우선인가”라는 비판이 거셉니다.

대한민국 조종사 노동조합 연맹은 14일 입장문을 발표하고, 최근 자사 조종사 1,42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응답자의 66.1%(950명)가 로컬라이저 둔덕을 ‘즉각 철거해야 한다’고 답했고, 특히 국내선 조종사(1,011명) 중 65.1%(659명)가 “이 시설이 계속 방치된다면 또 다른 사고를 부를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조종사노조연맹은 국토부에 보낸 공식 공문에서 “정부는 개선 대책을 발표하고 있지만, 정작 인명 피해를 키운 장애물에 대한 실질적인 철거 계획과 예산 운영 방안이 빠져 있다”라고 강하게 질타했습니다.
특히 로컬라이저 둔덕이 있는 7개 공항에서는 ILS(계기 착륙 시스템) 대체 방식인 RNAV(성능기반 항법 접근)가 운영 중이기 때문에, 악천후가 아니라면 철거해도 정상적인 항공기 운항이 가능하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안전보다 행정 편의가 우선인가”라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제주국제공항에 설치된 방위각 시설
■ 국토부, ‘참사 후 개선’ 약속했지만.. 조종사들 “탁상행정의 전형”
제주항공 참사 이후 국토부는 항공 안전 대책을 발표했지만, 정작 핵심 장애물인 로컬라이저 둔덕에 대한 구체적인 철거 계획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이에 대해 조종사노조연맹은 “조류 충돌, 기체 결함, 엔진 고장 등 비상 상황 발생 시 또 다른 대형 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이 여전한데도, 정부는 근본 원인 해결보다 단순한 조치로 문제를 덮으려 한다”라고 비판했습니다.
또한 국토부가 조종사들의 철거 요구를 외면한 채, “7개 공항에 고경력 조종사를 우선 배치하라”는 대책을 내놓은 것에 대해서도 “근본적인 문제 해결보다 책임 회피를 위한 행정 편의적 조치”라고 지적했습니다.
■ “실질적 안전 대책은?”.. 조종사들, 국토부 안전협의체 참여 요구
조종사노조연맹은 국토부에 공식 공문을 보내 △로컬라이저 둔덕의 즉각 철거 △국토부 항공안전 개선 테스크포스(TF) 및 항공안전혁신위원회에 현장 조종사 참여 보장 등을 강력히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참사 이후 한 달이 넘도록 뚜렷한 대응이 없는 상황에서 정부가 실질적인 항공 안전 개선책을 내놓을지 향후 추이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