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교량 붕괴는 막대한 인명피해를 야기하는 대형 사고로 이어집니다.
제주는 다른 지역과 달리, 경사가 급한 하천 구조로 침식이 빨라 교량 관리가 더 중요할 수 밖에 없습니다.
교량 하부 상태는 어떤지 확인해봤습니다.
김동은 기잡니다.
(리포트)
서귀포시 중산간을 잇는 주요 교량인 제3 산록굡니다.
길이 100미터, 높이는 30미터가 넘는 큰 교량 위로 끊임없이 차량들이 오고 갑니다.
교량 하부 상태는 어떤지, 하천으로 깊숙히 내려가봤습니다.
교량을 떠받치는 기둥 주변은 마치 폭격을 맞은 듯 곳곳이 떨어져 나갔습니다.
콘크리트로 덮혀 있어야 할 교량 하부는 금방이라도 무너질 듯 아슬아슬합니다.
밖으로 노출된 두꺼운 철근은 부러지고 꺾였습니다.
교량 하부에서 침식과 유실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김동은 기자
(S/U)"거대한 다리 기둥을 떠받치는 하부 콘크리트가 완전히 무너지면서 추가 붕괴까지 우려되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처럼 한번 침식이 발생한 곳은 추가 유실이 빠르게 진행된다는 점입니다.
특히 제주는 다른 지역과 달리, 하천 경사가 심해 많은 비가 내리면 하천 유속이 매우 빨라집니다.
교량 하부 기초 구조물에 조금이라도 문제가 생기면 교량 전체 안정성까지 위협받게 됩니다.
이동욱 제주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인터뷰)-(자막)-"성수대교는 하부 기초에 문제가 있는게 아니라, 상부 용접에 문제가 있어서 상판이 떨어진 경우고요. 여기는 하부 기초가 문제가 되고 유실이 되서, 받치고 있는 하부 기초가 떨어져 없어질 수 있는 상황인 거에요"
제 3 산록교가 만들어진지 벌써 25년.
서귀포시는 이런 상황에서도 아직 교량 안전에는 큰 문제가 없다며, 올해는 내진 보강 공사만 할 계획입니다.
JIBS 김동은입니다.
JIBS 김동은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교량 붕괴는 막대한 인명피해를 야기하는 대형 사고로 이어집니다.
제주는 다른 지역과 달리, 경사가 급한 하천 구조로 침식이 빨라 교량 관리가 더 중요할 수 밖에 없습니다.
교량 하부 상태는 어떤지 확인해봤습니다.
김동은 기잡니다.
(리포트)
서귀포시 중산간을 잇는 주요 교량인 제3 산록굡니다.
길이 100미터, 높이는 30미터가 넘는 큰 교량 위로 끊임없이 차량들이 오고 갑니다.
교량 하부 상태는 어떤지, 하천으로 깊숙히 내려가봤습니다.
교량을 떠받치는 기둥 주변은 마치 폭격을 맞은 듯 곳곳이 떨어져 나갔습니다.
콘크리트로 덮혀 있어야 할 교량 하부는 금방이라도 무너질 듯 아슬아슬합니다.
밖으로 노출된 두꺼운 철근은 부러지고 꺾였습니다.
교량 하부에서 침식과 유실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김동은 기자
(S/U)"거대한 다리 기둥을 떠받치는 하부 콘크리트가 완전히 무너지면서 추가 붕괴까지 우려되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처럼 한번 침식이 발생한 곳은 추가 유실이 빠르게 진행된다는 점입니다.
특히 제주는 다른 지역과 달리, 하천 경사가 심해 많은 비가 내리면 하천 유속이 매우 빨라집니다.
교량 하부 기초 구조물에 조금이라도 문제가 생기면 교량 전체 안정성까지 위협받게 됩니다.
이동욱 제주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인터뷰)-(자막)-"성수대교는 하부 기초에 문제가 있는게 아니라, 상부 용접에 문제가 있어서 상판이 떨어진 경우고요. 여기는 하부 기초가 문제가 되고 유실이 되서, 받치고 있는 하부 기초가 떨어져 없어질 수 있는 상황인 거에요"
제 3 산록교가 만들어진지 벌써 25년.
서귀포시는 이런 상황에서도 아직 교량 안전에는 큰 문제가 없다며, 올해는 내진 보강 공사만 할 계획입니다.
JIBS 김동은입니다.
JIBS 김동은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