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월동작물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우선 종자를 파종해 육모한 뒤 밭에다 옮겨 심게 됩니다.
그런데 같은 회사 같은 종자를 썼는데도 발아 상태에 차이를 보이고 있어 농민들을 애태우고 있습니다.
조창범 기잡니다.
(리포트)
제주시 애월읍의 한 육묘 농갑니다.
월동채소인 콜라비를 재배하려는 농가로 부터 종자를 받아, 대신 육묘를 해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일부 콜라비 종자가 제대로 싹이 나지 않고 있습니다.
큰 떡입 두 개와 그 사이에 순이 돋아나는게 정상적인데, 한 쪽 떡입이 타들어가는 듯한 기형이고 제대로 자라지 않고 있습니다.
같은 종자 회사의 같은 품종을 같은 날 파종했는데도 발아상태가 들쑥날쑥입니다.
밭에도 묘종을 옮겨심으면 제대로 자랄지 걱정해야할 정돕니다.
김창주 육묘농가/제주시 애월읍
(인터뷰)-자막"지금 우리는 이게 시설에서 재배를 하니까 덜한데 노지에서 재배하시는 분들은 상당히 심각해요. 이 절반도 안돼요."
고산농협이 이달들어 조사를 한 결과 35농가 가운데 30농가에서 이런 피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더욱이 콜라비 종자에 문제가 있었던게 처음이 아닙니다.
지난해에도 같은 일이 발생해 종자공급업자와 육묘농가, 농협 등이 참가한 가운데 비교 실험 재배를 했지만 원인을 찾지 못했습니다.
제주자치도농업기술원은 지난해 1월 이전 채종해 수입된 콜라비 종자는 정상발아하지만, 그 이후 채종한 종자에서 문제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박성안 기술보급과장 제주농업기술센터
(인터뷰)-자막"종자가 일단 미숙된 종자인지, 코팅에서 어떤 문제가 있는 것인지, 이러한 것들에 대한 원인 분석이 돼야 될 것 같습니다."
영상취재 윤인수
종자업체와 농민 사이에 마찰까지 불거졌지만, 국립종자원은 종묘사와 농가들이 합의해 조사를 요청해야 원인 조사에 나설 수 있다는 입장만 보이고 있습니다.
JIBS 조창범입니다.
JIBS 조창범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월동작물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우선 종자를 파종해 육모한 뒤 밭에다 옮겨 심게 됩니다.
그런데 같은 회사 같은 종자를 썼는데도 발아 상태에 차이를 보이고 있어 농민들을 애태우고 있습니다.
조창범 기잡니다.
(리포트)
제주시 애월읍의 한 육묘 농갑니다.
월동채소인 콜라비를 재배하려는 농가로 부터 종자를 받아, 대신 육묘를 해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일부 콜라비 종자가 제대로 싹이 나지 않고 있습니다.
큰 떡입 두 개와 그 사이에 순이 돋아나는게 정상적인데, 한 쪽 떡입이 타들어가는 듯한 기형이고 제대로 자라지 않고 있습니다.
같은 종자 회사의 같은 품종을 같은 날 파종했는데도 발아상태가 들쑥날쑥입니다.
밭에도 묘종을 옮겨심으면 제대로 자랄지 걱정해야할 정돕니다.
김창주 육묘농가/제주시 애월읍
(인터뷰)-자막"지금 우리는 이게 시설에서 재배를 하니까 덜한데 노지에서 재배하시는 분들은 상당히 심각해요. 이 절반도 안돼요."
고산농협이 이달들어 조사를 한 결과 35농가 가운데 30농가에서 이런 피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더욱이 콜라비 종자에 문제가 있었던게 처음이 아닙니다.
지난해에도 같은 일이 발생해 종자공급업자와 육묘농가, 농협 등이 참가한 가운데 비교 실험 재배를 했지만 원인을 찾지 못했습니다.
제주자치도농업기술원은 지난해 1월 이전 채종해 수입된 콜라비 종자는 정상발아하지만, 그 이후 채종한 종자에서 문제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박성안 기술보급과장 제주농업기술센터
(인터뷰)-자막"종자가 일단 미숙된 종자인지, 코팅에서 어떤 문제가 있는 것인지, 이러한 것들에 대한 원인 분석이 돼야 될 것 같습니다."
영상취재 윤인수
종자업체와 농민 사이에 마찰까지 불거졌지만, 국립종자원은 종묘사와 농가들이 합의해 조사를 요청해야 원인 조사에 나설 수 있다는 입장만 보이고 있습니다.
JIBS 조창범입니다.
JIBS 조창범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