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제주 지하수 수위가 계속 낮아지면서 지하수가 고갈된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뽑아 낸 지하수를 재활용하면 지하수 고갈 속도를 늦출 수 있습니다.
제주에선 지하수 재이용 시설이 갖춰져 있지만, 제대로 사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김동은 기잡니다.
(리포트)
공공 하수처리장 인근의 한 공텁니다.
물을 지하로 침투시키는 작은 저류시설과 다양한 측정 장비들이 설치돼 있습니다.
공공 하수처리장에서 배출된 하수 가운데, 하루 80톤을 지하로 직접 함양 시키는 겁니다.
정화된 하수를 지하에 직접 주입하는 방식은 우리나라에서 처음 시도되는 연굽니다.
하수 처리수는 물량이 막대하고, 매일 일정하게 배출돼 대체 수자원으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미 해외에서는 지하수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재이용수가 다각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김용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연구센터장
(인터뷰)-(자막)-"싱가포르에서 고도 정수 처리를 해서 생활용수로 직접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하수처리수를 고도 정수처리하고 그 물을 상류로 보내서 강물과 섞어서 침투 저류지를 통해 지하로 투입합니다"
문제는 지하수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제주에서 이런 재이용수가 대체 수자원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겁니다.
10여년전 제주 2군데 하수처리장에 1백억원 넘게 투입돼 하루 1만톤 규모의 농업용수 재이용 시설이 갖춰졌습니다.
하지만 지난해에도 시설 용량의 2% 밖에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잦은 시설 고장과 재이용수를 쓰면 농사가 안될 거라는 농가 인식 때문입니다.
오연수 서부하수처리장 주무관
(인터뷰)-(자막)-"생산 과정에 전문 기술이 필요합니다. 그러다보니까 유지 관리 측면에서도 어려움이 있고요. 재이용수를 많이 활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강구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
영상취재 윤인수
제주 농업용수의 97%는 지하숩니다.
재이용수 활용을 높일수록 지하수 고갈을 그만큼 막을 수 있는 셈입니다.
JIBS 김동은입니다.
JIBS 김동은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주 지하수 수위가 계속 낮아지면서 지하수가 고갈된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뽑아 낸 지하수를 재활용하면 지하수 고갈 속도를 늦출 수 있습니다.
제주에선 지하수 재이용 시설이 갖춰져 있지만, 제대로 사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김동은 기잡니다.
(리포트)
공공 하수처리장 인근의 한 공텁니다.
물을 지하로 침투시키는 작은 저류시설과 다양한 측정 장비들이 설치돼 있습니다.
공공 하수처리장에서 배출된 하수 가운데, 하루 80톤을 지하로 직접 함양 시키는 겁니다.
정화된 하수를 지하에 직접 주입하는 방식은 우리나라에서 처음 시도되는 연굽니다.
하수 처리수는 물량이 막대하고, 매일 일정하게 배출돼 대체 수자원으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미 해외에서는 지하수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재이용수가 다각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김용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연구센터장
(인터뷰)-(자막)-"싱가포르에서 고도 정수 처리를 해서 생활용수로 직접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하수처리수를 고도 정수처리하고 그 물을 상류로 보내서 강물과 섞어서 침투 저류지를 통해 지하로 투입합니다"
문제는 지하수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제주에서 이런 재이용수가 대체 수자원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겁니다.
10여년전 제주 2군데 하수처리장에 1백억원 넘게 투입돼 하루 1만톤 규모의 농업용수 재이용 시설이 갖춰졌습니다.
하지만 지난해에도 시설 용량의 2% 밖에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잦은 시설 고장과 재이용수를 쓰면 농사가 안될 거라는 농가 인식 때문입니다.
오연수 서부하수처리장 주무관
(인터뷰)-(자막)-"생산 과정에 전문 기술이 필요합니다. 그러다보니까 유지 관리 측면에서도 어려움이 있고요. 재이용수를 많이 활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강구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
영상취재 윤인수
제주 농업용수의 97%는 지하숩니다.
재이용수 활용을 높일수록 지하수 고갈을 그만큼 막을 수 있는 셈입니다.
JIBS 김동은입니다.
JIBS 김동은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