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얼마전 제주시내 한 중학교에서 학생들이 교사로부터 부당한 대우를 받았다는 제보가 잇따라 사회적 논란이 된 바 있습니다.
이번에는 서귀포시내 한 중학교에서도 인권침해 논란이 불거졌는데, 조사 또한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권민지 기자입니다.
(리포트)
중학생 A양의 학부모는 최근 자녀의 말을 듣고 깜짝 놀랐습니다.
한 교사가 시험 점수가 낮은 학생 B양에게 배드민턴이나 치라고 하는 등 비교육적 발언을 했다는 겁니다.
이 학부모는 국민신문고를 통해 민원을 제기했습니다.
며칠 뒤 해당 교사는 A학생의 반에 들어와 신고한 학부모처럼 되지 말라거나 법적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했습니다.
A 학생은 불안감과 정신적 피해를 호소하고 있습니다.
A양 학부모
"해당 교사가 학생들에게 직접 물어보는 형태를 취해버린 거예요. 법적 조치 운운하면서.. 아이들을 협박한 거죠, 사실상.. 심지어는 "너희들도 학부모가 되겠지만 그 신고한 학부모처럼 되지 마."(라고도 했습니다.)"
해당 교사는 취재진에 시험점수가 낮은 학생 B양에게 한 말은 안타까운 마음 때문이었다고 해명했습니다.
또 신고한 학부모처럼 되지 말라는 발언은 억울한 마음 때문이었다며 사실 확인을 위해 본인이 학교측에 학생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요구한 상황이라고 전했습니다.
해당 학교는 이번 사안과 관련해 사실관계를 파악 중에 있다고 밝혔습니다.
조사를 맡은 시교육청도 인권 침해 여부를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제주도교육청은 학내 인권 침해 사건이 발생할 경우 체계적 학생 인권 상담과 조사, 구제 활동을 펼치기 위해 지난 2021년 인권교육센터를 세웠습니다.
그러나, 이번 사안은 인권교육센터에서 조사를 맡지 않았습니다.
더군다나 학교 현장에서 인권 침해 사건이 발생할 경우 어디서 조사를 맡아야 할지 구체적인 기준도 마련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남근 / 제주자치도의회 의원
"학교 내에서 학생 인권침해 사례가 발생했을 때 학교 내에서 처리가 상당히 어려운 부분이 있거든요. 일원화해서 조사할 수 있는 인권센터의 역할 부분이 명확하게 규정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학교 현장에서 인권 침해 사례에 대한 신고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구성원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매뉴얼을 정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JIBS 권민지입니다.
영상취재 강명철
JIBS 제주방송 권민지(kmj@jibs.co.kr) 강명철(kangjsp@naver.com)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얼마전 제주시내 한 중학교에서 학생들이 교사로부터 부당한 대우를 받았다는 제보가 잇따라 사회적 논란이 된 바 있습니다.
이번에는 서귀포시내 한 중학교에서도 인권침해 논란이 불거졌는데, 조사 또한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권민지 기자입니다.
(리포트)
중학생 A양의 학부모는 최근 자녀의 말을 듣고 깜짝 놀랐습니다.
한 교사가 시험 점수가 낮은 학생 B양에게 배드민턴이나 치라고 하는 등 비교육적 발언을 했다는 겁니다.
이 학부모는 국민신문고를 통해 민원을 제기했습니다.
며칠 뒤 해당 교사는 A학생의 반에 들어와 신고한 학부모처럼 되지 말라거나 법적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했습니다.
A 학생은 불안감과 정신적 피해를 호소하고 있습니다.
A양 학부모
"해당 교사가 학생들에게 직접 물어보는 형태를 취해버린 거예요. 법적 조치 운운하면서.. 아이들을 협박한 거죠, 사실상.. 심지어는 "너희들도 학부모가 되겠지만 그 신고한 학부모처럼 되지 마."(라고도 했습니다.)"
해당 교사는 취재진에 시험점수가 낮은 학생 B양에게 한 말은 안타까운 마음 때문이었다고 해명했습니다.
또 신고한 학부모처럼 되지 말라는 발언은 억울한 마음 때문이었다며 사실 확인을 위해 본인이 학교측에 학생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요구한 상황이라고 전했습니다.
해당 학교는 이번 사안과 관련해 사실관계를 파악 중에 있다고 밝혔습니다.
조사를 맡은 시교육청도 인권 침해 여부를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제주도교육청은 학내 인권 침해 사건이 발생할 경우 체계적 학생 인권 상담과 조사, 구제 활동을 펼치기 위해 지난 2021년 인권교육센터를 세웠습니다.
그러나, 이번 사안은 인권교육센터에서 조사를 맡지 않았습니다.
더군다나 학교 현장에서 인권 침해 사건이 발생할 경우 어디서 조사를 맡아야 할지 구체적인 기준도 마련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남근 / 제주자치도의회 의원
"학교 내에서 학생 인권침해 사례가 발생했을 때 학교 내에서 처리가 상당히 어려운 부분이 있거든요. 일원화해서 조사할 수 있는 인권센터의 역할 부분이 명확하게 규정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학교 현장에서 인권 침해 사례에 대한 신고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구성원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매뉴얼을 정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JIBS 권민지입니다.
영상취재 강명철
JIBS 제주방송 권민지(kmj@jibs.co.kr) 강명철(kangjsp@naver.com)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