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농업기술센터, 단호박.옥수수 생산 증가에 재배방법 도서 제작
단호박 생산, 2017년 133ha → 2021년 403ha, 303% 증가
옥수수 생산, 2017년 42ha → 2021년 298ha, 710% 증가
초당옥수수를 파종하려면 육묘 상자 30개, 종자 6,000립, 상토 100L, 질석을 준비해야 합니다.
다만, 수량결정의 중요한 요인이 되기 때문에 포장 위치와 재배방법 등을 고려해 노지터널재배를 기준으로 2월 하순~3월 상순에 파종이 진행됩니다.
또 기온이 10℃ 이하로 떨어지면 발아가 늦어지고 발아율이 낮아지기 때문에 발아 전까지 육묘시설 내 온도가 주간 32~34℃, 야간 11℃, 발아 후에는 주간 25~30℃, 야간 10℃ 이상으로 온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단호박은 정식일 30~35일 이전에 파종하고, 발아 전까지 육묘시설 내 온도가 주간 27℃, 야간 18℃, 발아 후에는 주간 20~24℃, 야간 15~18℃ 이상으로 온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처럼 초당옥수수와 미니단호박의 파종 시기와 온도 관리 등을 정리한 '핸드북'이 발간돼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책에는 ''물은 맑은 날 오전 10시 이전에 주는 것이 좋습니다.' 등의 현장에서 꼭 알아야 할 재배 방법을 사진과 함께 세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한 눈에 보기 쉽게 정리돼 아직 농사에 익숙하지 않는 농업인들에게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제주자치도 농업기술원 제주농업기술센터는 제주에서 초당옥수수와 미니단호박 재배가 늘어남에 따라 '손에 잡히는 농업기술 핸드북'을 제작했다고 오늘(22일) 밝혔습니다.
제주농업기술센터에 따르면, 단호박 생산은 2017년 133ha, 3,391톤에서 지난 2021년 403ha, 6,400톤으로 각각 303%, 189% 증가했습니다.
옥수수는 2017년 42ha, 146톤에서, 2021년 298ha, 905톤으로 각각 710%, 620% 확대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제주농업기술센터는 생산이 안정적으로 될 수 있도록 핸드북을 희망하는 농업인에 무료로 배포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JIBS 제주방송 강은희 (eunhee@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단호박 생산, 2017년 133ha → 2021년 403ha, 303% 증가
옥수수 생산, 2017년 42ha → 2021년 298ha, 710% 증가

(사진, 제주자치도 농업기술원)
초당옥수수를 파종하려면 육묘 상자 30개, 종자 6,000립, 상토 100L, 질석을 준비해야 합니다.
다만, 수량결정의 중요한 요인이 되기 때문에 포장 위치와 재배방법 등을 고려해 노지터널재배를 기준으로 2월 하순~3월 상순에 파종이 진행됩니다.
또 기온이 10℃ 이하로 떨어지면 발아가 늦어지고 발아율이 낮아지기 때문에 발아 전까지 육묘시설 내 온도가 주간 32~34℃, 야간 11℃, 발아 후에는 주간 25~30℃, 야간 10℃ 이상으로 온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단호박은 정식일 30~35일 이전에 파종하고, 발아 전까지 육묘시설 내 온도가 주간 27℃, 야간 18℃, 발아 후에는 주간 20~24℃, 야간 15~18℃ 이상으로 온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처럼 초당옥수수와 미니단호박의 파종 시기와 온도 관리 등을 정리한 '핸드북'이 발간돼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초당옥수수·미니단호박 '농업기술 핸드북' (사진, 제주자치도 농업기술원)
책에는 ''물은 맑은 날 오전 10시 이전에 주는 것이 좋습니다.' 등의 현장에서 꼭 알아야 할 재배 방법을 사진과 함께 세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한 눈에 보기 쉽게 정리돼 아직 농사에 익숙하지 않는 농업인들에게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제주자치도 농업기술원 제주농업기술센터는 제주에서 초당옥수수와 미니단호박 재배가 늘어남에 따라 '손에 잡히는 농업기술 핸드북'을 제작했다고 오늘(22일) 밝혔습니다.
제주농업기술센터에 따르면, 단호박 생산은 2017년 133ha, 3,391톤에서 지난 2021년 403ha, 6,400톤으로 각각 303%, 189% 증가했습니다.
옥수수는 2017년 42ha, 146톤에서, 2021년 298ha, 905톤으로 각각 710%, 620% 확대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제주농업기술센터는 생산이 안정적으로 될 수 있도록 핸드북을 희망하는 농업인에 무료로 배포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JIBS 제주방송 강은희 (eunhee@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