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3일) 오전 / 제주세계자연유산센터
화물차들이 하나 둘 도착합니다.
짐칸에는 회색 천으로 덮여 있는 포획틀들이 실려 있습니다.
지난 이틀간의 마라도 길고양이 반출 작업이 마무리됐습니다.
이번에 마라도에서 반출된 고양이는 모두 42마리.
임시보호소로 가기 전 우선 건강 상태부터 확인합니다.
윤영민 / 제주대학교 제주야생동물구조센터장
"상부 호흡기계의 전염성 질병하고 소화기성으로 올 수 있는 바이러스 질병들을 샘플링해서 거기에서 바이러스나 다른 균이 있는지 확인해 볼 거예요."
이번 반출 작업은 고양이들이 천연기념물 뿔쇠오리를 위협해 번식을 막는다는 우려에서 시작됐습니다.
첫 논의부터 반출 작업이 마무리되기까지 걸린 기간은 한 달.
제주자치도는 예산 5천만 원을 들여 세계자연유산센터 야외 부지에 급히 임시보호소를 마련했습니다.
"400제곱미터 정도 규모의 임시보호소입니다. 마라도에서 반출된 길고양이들은 건강 상태 확인 후 이곳에서 지내게 될 예정입니다."
동물보호단체는 제주자치도와 함께 고양이들을 돌보기로 했습니다.
또 고양이들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면 나중에 공개 입양 절차를 거쳐 적합한 입양자도 찾을 계획입니다.
김란영 / 제주동물권연구소 소장
"지금 당장 입양은 굉장히 위험해요. 일반적인 입양의 기준보다는 더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서 입양돼야 하고 돌봐야 하는 측면이 있습니다."
이번에 포획하지 못하고 마라도에 남아있는 길고양이 10여 마리도 추후 반출될 것으로 보입니다.
고영만 / 제주자치도 세계유산본부장
"추가로 필요하다면 이달 말 정도에 다시 논의해서 (남은 길고양이를) 추가 포획해 반출할 계획입니다. 쥐도 함께 문화재청과 저희들이 방역을 하기로 얘기가 돼 있습니다. "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마라도 길고양이 반출 작업.
더 이상의 논쟁 없이 새로운 보금자리에서 적응하며 살아갈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JIBS 김태인입니다.
(영상취재 강효섭)
JIBS 제주방송 김태인(sovivid91@jibs.co.kr), 강효섭 (muggin@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같은 초록은 없다” 그 다름의 결이, 우리를 살아 있게 만드는 걸.. 강부언·김용주·박성진·백성원·현민자 “제주의 감각을 되새기는 여름”
- ∙︎ 음주 사고 8일 만에 또 만취 운전 40대 송치.. 차량도 압수
- ∙︎ 휘발유차→전기차로 바꾸면 지원금?.. 환경부 "검토 중"
- ∙︎ 수억 대 퇴직금·임금 체불 제주 언론사 대표 법정구속
- ∙︎ 李 압박 카드로 '불체포 특권' 포기 서약 국힘.. 특검 수사 앞에서 '부메랑'
- ∙︎ [제주날씨] 한라산 서쪽 '소나기'.. 늦은 오후엔 동쪽에서 내려
- ∙︎ “정치 독립하라 했더니, 정치가 된 검찰”.. 안미현의 질문, 임은정의 침묵
- ∙ “55만 원 준다더니, 쓸 데가 없다?”.. 정부 소비쿠폰, 왜 마트·배달앱은 막았나
- ∙ 밭일 나가 연락 끊긴 80대.. 폭염 속 11시간 동안 경운기에 깔려 있었다
- ∙ “비행기는 넘쳤는데, 왜 사람은 줄었나” 제주 하늘길의 역설.. 이젠 ‘남는 시간’이 아니라 ‘머무는 이유’를 묻는다
- ∙ '전 국민 민생지원금 신청' 눌렀는데 유료 서비스 가입.. 방통위 "기만 행위"
- ∙ 4호 태풍 '다나스' 곧 발생.. 제주 영향 촉각
- ∙ "안에 계세요?" 뱀 나오는 덤불에 파묻힌 집.. 설득 후 이틀 치웠더니 폐기물만 10톤
- ∙ “계엄령도 지시도 없었다?”.. 尹, 9시간 조사 끝 부인 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