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언론 "정부 복합리조트 허가".. 2029년 개장 목표
오사카 인공섬에 카지노 설립.. 국내·외 수요 이탈 '촉각'
외국인 등 2,820만 명 방문 예상.. 연간 5조 원 매출
국내·외 IR 등 카지노 고객 흡수 우려.. "추이 지켜봐야"
너도나도 '일본, 일본'으로 몰린다 싶더니, 이젠 카지노다 복합리조트 고객들까지 온통 '고 재팬 Go Japan'하는게 아닌지 업계의 걱정이 커지게 됐습니다.
2029년 일본 오사카에 대규모 카지노 리조트가 들어섭니다.
일본에선 첫 카지노 시설로, 해외 관광객 유치를 겨냥해 10조 원이 투자됩니다.
국내 복합리조트(IR)와 경쟁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상대적으로 입지가 가까운 탓에 관광객 수요 이탈이 예상되는 탓입니다.
몰리는 방일 수요에 더해 오사카 복합리조트 추진에 따른 새로운 고객 유치에 자신감을 드러내면서, 카지노 시장에는 한층 더 긴장 수위가 높아지는 모습입니다.
■ 일본 정부 "오사카, 복합리조트 허가".. 2029년 개업
14일 일본내 주요 언론매체들에 따르면, 사이토 국토교통성 장관이 오전 각료회의 이후 기자회견에서 "카지노를 포함한 복합리조트를 인공섬 유메시마(夢洲)에 유치하는 내용의 오사카부의 정비계획을 인정했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리조트가 조성되는 곳은 일본 오사카로, 유니버설스튜디오 등이 들어서 있어 우리나라 관광객이 일본에서 가장 많이 찾는 지역이기도 합니다.
카지노는 오사카만에 있는 인공섬 유메시마에 들어서며, 이곳에선 2025년 오사카 국제박람회도 개최될 예정입니다.
미국 IR 운영회사인 MGM 리조트와 오릭스, 파나소닉 등 20여 개사가 40%씩 출자하는 '오사카IR주식회사'가 정비와 운영을 담당합니다.
2029년 가을~겨울 무렵 개업을 목표로 초기 1조 800억 엔(10조 6,000억 원)이 투입돼 카지노시설과 호텔, 국제 회의장 등을 갖춘다는 계획입니다.
일본 정부는 리조트가 들어서면 연간 약 2,000만 명이 찾아 5,200억 엔(5조 1,000억 원)의 매출을 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관련해 앞서 기시다 히미오 총리는 13일 오전 자신이 본부장으로 있는 IR추진본부 회의 석상에서 "(리조트가) 오사카·간사이 박람회 개최 이후 관서지역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면서 "일본의 매력을 세계에 발신하는 관광거점이 될 것"으로 기대감을 드러내기도 했습니다.
■ 오사카 IR 인가 기점, 관광 활성화 기대 증폭
오사카 IR이 정부 인가를 받으면서, 일본 내 관광 활성화 기류가 더 달아오르는 모양새입니다.
일본 내 주요 언론마다 첫 카지노 추진을 정부가 인정한데 대해 '일본 정부가 관광 입국을 달성하려는 비장의 카드'라고 평가하는가 하면 미국과 유럽 등지의 '부유층 장기체류객' 유치와 '국제회의' 유치 등에 오사카 IR이 탄탄한 기반이 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특히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기준 일본을 찾은 해외 관광객이 3,188만 명 정도였던 것이, 리조트 건설로 인해 2배 수준인 6,000만 명으로 늘 것이란 전망도 내놨습니다.
다만 카지노 추진과 함께 관광객 증가 등으로 인한 치안과 도박 의존증 등 증가에 대한 지역 내 불안감 등은 지속 과제로 꼽혔습니다.
일본 정부는 IR과 관련해서 자국 내 최대 3곳을 허용한다고 법률로 정하고 있습니다.
종전 요코하마시 등 유력 지자체가 유치 활동에서 철수해, 후보지 물색이 중요한 상황으로 오사카부와 유치 경쟁을 했던 나가사키현 정비계획도 이번엔 보류됐지만 심사는 계속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 강원, 제주 등 국내 복합리조트 우려 확산.. 중국 추이 '관건'
이같은 일본 내 카지노를 포함한 복합리조트 추진이 궤도에 오르면서 국내 시장에 긴장 수위는 높아지는 양상입니다.
비슷한 수준의 복합리조트 수요들이 유출될 우려가 제기되는 탓입니다.
강원랜드를 비롯해 인천 영종도 파라다이스시티, 제주 신화역사월드, 그리고 제주시내권 롯데관광개발의 드림타워 등이 대표적입니다.
국내의 경우 싱가포르 복합리조트를 모델로 한 한국형 복합리조트가 영종도 2곳(파라다이스 시티, 하반기 인스파이어), 제주에는 드림타워, 제주신화월드 2곳이 있지만 사실 규모가 작은 6개 제주도내 외국인 전용 카지노는 경영난이 심각한 상태이기도 합니다.
그나마 중국 노선 재개 등에 희망을 걸지만, 이마저도 패를 까봐야 추이를 알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얼마나 들어오고, 또 얼마나 쓸지 불투명한 탓입니다.
지난해 말 홍콩과 일본 노선이 다시 열렸고 지난달 15일 중국인에 대한 관광 비자 발급이 재개된 점은 매출 증가 기대감을 높이지만, 중국인 유입이 카지노 매출로 이어질지 얼마나 씀씀이를 더할지 지켜봐야 하는 이유입니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해외 관광객이 가장 많았던 2019년 카지노 외화 수입은 중국인 관광객 증가에도 불구하고 10년 전보다 5% 가량 줄었습니다.
실제 카지노 수입은 1조 6,000억 원대로, 2014년 1조7,000억 원보다 감소하기도 했습니다.
때문에 중국인 단체 등 방문에 따른 매출 증가 역시도, 앞으로 중국인 관광객 추이와 매출 증감세를 보다 면밀히 따져봐야한다는 주문이 나오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오사카에 카지노가 들어서면 당장 영향을 받을 곳은 인접 국가들이 될 수 밖에 없다. 오사카는 교토와 나라 등 주위 관광지들이 경쟁력을 더해주는데다 이미 국내·외 많은 관광객들이 찾을 만큼 충분한 관광 목적지로서 인프라를 갖춰 복합리조트가 상승효과로 작용할 것"이라면서 "수요 유출을 막기 위해선 어쨌든 일본과는 구별되는, 한국에서만 가능한 콘텐츠와 경쟁력을 찾는 노력들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 (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사카 인공섬에 카지노 설립.. 국내·외 수요 이탈 '촉각'
외국인 등 2,820만 명 방문 예상.. 연간 5조 원 매출
국내·외 IR 등 카지노 고객 흡수 우려.. "추이 지켜봐야"

너도나도 '일본, 일본'으로 몰린다 싶더니, 이젠 카지노다 복합리조트 고객들까지 온통 '고 재팬 Go Japan'하는게 아닌지 업계의 걱정이 커지게 됐습니다.
2029년 일본 오사카에 대규모 카지노 리조트가 들어섭니다.
일본에선 첫 카지노 시설로, 해외 관광객 유치를 겨냥해 10조 원이 투자됩니다.
국내 복합리조트(IR)와 경쟁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상대적으로 입지가 가까운 탓에 관광객 수요 이탈이 예상되는 탓입니다.
몰리는 방일 수요에 더해 오사카 복합리조트 추진에 따른 새로운 고객 유치에 자신감을 드러내면서, 카지노 시장에는 한층 더 긴장 수위가 높아지는 모습입니다.

■ 일본 정부 "오사카, 복합리조트 허가".. 2029년 개업
14일 일본내 주요 언론매체들에 따르면, 사이토 국토교통성 장관이 오전 각료회의 이후 기자회견에서 "카지노를 포함한 복합리조트를 인공섬 유메시마(夢洲)에 유치하는 내용의 오사카부의 정비계획을 인정했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리조트가 조성되는 곳은 일본 오사카로, 유니버설스튜디오 등이 들어서 있어 우리나라 관광객이 일본에서 가장 많이 찾는 지역이기도 합니다.
카지노는 오사카만에 있는 인공섬 유메시마에 들어서며, 이곳에선 2025년 오사카 국제박람회도 개최될 예정입니다.
미국 IR 운영회사인 MGM 리조트와 오릭스, 파나소닉 등 20여 개사가 40%씩 출자하는 '오사카IR주식회사'가 정비와 운영을 담당합니다.
2029년 가을~겨울 무렵 개업을 목표로 초기 1조 800억 엔(10조 6,000억 원)이 투입돼 카지노시설과 호텔, 국제 회의장 등을 갖춘다는 계획입니다.
일본 정부는 리조트가 들어서면 연간 약 2,000만 명이 찾아 5,200억 엔(5조 1,000억 원)의 매출을 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관련해 앞서 기시다 히미오 총리는 13일 오전 자신이 본부장으로 있는 IR추진본부 회의 석상에서 "(리조트가) 오사카·간사이 박람회 개최 이후 관서지역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면서 "일본의 매력을 세계에 발신하는 관광거점이 될 것"으로 기대감을 드러내기도 했습니다.

■ 오사카 IR 인가 기점, 관광 활성화 기대 증폭
오사카 IR이 정부 인가를 받으면서, 일본 내 관광 활성화 기류가 더 달아오르는 모양새입니다.
일본 내 주요 언론마다 첫 카지노 추진을 정부가 인정한데 대해 '일본 정부가 관광 입국을 달성하려는 비장의 카드'라고 평가하는가 하면 미국과 유럽 등지의 '부유층 장기체류객' 유치와 '국제회의' 유치 등에 오사카 IR이 탄탄한 기반이 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특히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기준 일본을 찾은 해외 관광객이 3,188만 명 정도였던 것이, 리조트 건설로 인해 2배 수준인 6,000만 명으로 늘 것이란 전망도 내놨습니다.
다만 카지노 추진과 함께 관광객 증가 등으로 인한 치안과 도박 의존증 등 증가에 대한 지역 내 불안감 등은 지속 과제로 꼽혔습니다.
일본 정부는 IR과 관련해서 자국 내 최대 3곳을 허용한다고 법률로 정하고 있습니다.
종전 요코하마시 등 유력 지자체가 유치 활동에서 철수해, 후보지 물색이 중요한 상황으로 오사카부와 유치 경쟁을 했던 나가사키현 정비계획도 이번엔 보류됐지만 심사는 계속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 강원, 제주 등 국내 복합리조트 우려 확산.. 중국 추이 '관건'
이같은 일본 내 카지노를 포함한 복합리조트 추진이 궤도에 오르면서 국내 시장에 긴장 수위는 높아지는 양상입니다.
비슷한 수준의 복합리조트 수요들이 유출될 우려가 제기되는 탓입니다.
강원랜드를 비롯해 인천 영종도 파라다이스시티, 제주 신화역사월드, 그리고 제주시내권 롯데관광개발의 드림타워 등이 대표적입니다.
국내의 경우 싱가포르 복합리조트를 모델로 한 한국형 복합리조트가 영종도 2곳(파라다이스 시티, 하반기 인스파이어), 제주에는 드림타워, 제주신화월드 2곳이 있지만 사실 규모가 작은 6개 제주도내 외국인 전용 카지노는 경영난이 심각한 상태이기도 합니다.
그나마 중국 노선 재개 등에 희망을 걸지만, 이마저도 패를 까봐야 추이를 알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얼마나 들어오고, 또 얼마나 쓸지 불투명한 탓입니다.
지난해 말 홍콩과 일본 노선이 다시 열렸고 지난달 15일 중국인에 대한 관광 비자 발급이 재개된 점은 매출 증가 기대감을 높이지만, 중국인 유입이 카지노 매출로 이어질지 얼마나 씀씀이를 더할지 지켜봐야 하는 이유입니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해외 관광객이 가장 많았던 2019년 카지노 외화 수입은 중국인 관광객 증가에도 불구하고 10년 전보다 5% 가량 줄었습니다.
실제 카지노 수입은 1조 6,000억 원대로, 2014년 1조7,000억 원보다 감소하기도 했습니다.
때문에 중국인 단체 등 방문에 따른 매출 증가 역시도, 앞으로 중국인 관광객 추이와 매출 증감세를 보다 면밀히 따져봐야한다는 주문이 나오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오사카에 카지노가 들어서면 당장 영향을 받을 곳은 인접 국가들이 될 수 밖에 없다. 오사카는 교토와 나라 등 주위 관광지들이 경쟁력을 더해주는데다 이미 국내·외 많은 관광객들이 찾을 만큼 충분한 관광 목적지로서 인프라를 갖춰 복합리조트가 상승효과로 작용할 것"이라면서 "수요 유출을 막기 위해선 어쨌든 일본과는 구별되는, 한국에서만 가능한 콘텐츠와 경쟁력을 찾는 노력들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 (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