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실태조사 결과.. 87.6%
“현재 대출금 상환 힘들어”
“괜찮다”2.1%, “보통”10%대
고금리, 경기 악화로 부채↑
자영엽자를 비롯한 소상공인 10명 중 9명이 대출금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0명 중 6명은 지난해보다 대출금이 늘었다고 답했습니다. 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 부담 압박을 가장 힘들어했습니다.
3명 중 1명은 상반기 월평균 매출이 500만 원 이하로, 앞으로 전망도 불투명하다며 금리 우대 등 정책 지원을 주문했습니다.
오늘(27일) 소상공인연합회(소공연)가 내놓은 ‘소상공인 금융실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87.6%가 “현재 대출금 상환으로 힘들다”고 답했습니다. “괜찮다”는 2.1%, “보통”은 10.4%에 그쳤습니다. 조사는 지난 8~14일 소상공인 1,345명을 대상으로 진행했습니다. 경기 악화가 장기화되면서 부채 규모가 늘고, 기준금리가 상승하면서 금융비용이 대폭 증가한게 경영난을 부추긴 것으로 소공연은 분석했습니다.
조사 응답자의 절반 이상 59.7%가 “지난해보다 대출 잔액이 늘었다”고 답했습니다. 반면 “줄었다”는 답은 14.9%, “비슷하다”는 25.5%로 나타났습니다.
정부 정책자금 대출 잔액은 1,000만~3,000만 원 미만이라는 응답이 29%로 가장 많았습니다. 3,000만~5,000만 원 미만은 27.7%, 5,000만~1억 원 미만이 26.1%로 대출 잔액 규모는 비슷한 수준을 보였습니다.
또 민간 부문에서 금융자금 대출 잔액은 3,000만~5,000만 원 미만(25.1%), 5,000만~1억 원 미만(23.4%), 3,000만 원 미만(23.4%)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대출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건, 원금과 이자 상환 부담이 늘어나는데도 불구하고 이를 감당할 수준의 매출 실적이 따르지 않는데서 원인을 찾고 있습니다.
실제 올 상반기 월평균 매출이 500만 원 미만이라는 응답이 32.6%로 가장 많고 500만∼1,000만 원은 19.4%, 3000만 원 이상이 18.7%로 나타났습니다. 소상공인 절반 이상은 연매출 1억 2,000만원 이하 상황에 놓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기 불황 속, 저조한 매출 환경에 전기료나 가스비 등 공공요금은 오르고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인건비 지출이 늘면서 결국엔 다시 대출로 빚을 막는 악순환까지 반복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응답자들은 대출과 관련한 어려움으로 2명 중 1명(45.9%)이 ‘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 부담 증가’를 꼽았습니다. 이어 ‘대출 한도 제한에 다른 추가 대출 불가’(31.3%) 순입니다.
이처럼 월평균 매출이 낮을 수록 정부정책자금이나 제도권 금융사보다 고이율의 대부업이나 사채 등을 이용하는 비중이 높아져, 저소득 소상공인에 대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됩니다.
가장 필요한 소상공인 금융 지원 정책(복수 응답)에 대해선 ‘소상공인 금리 우대를 통한 이자 절감’(51.7%), ‘대출 원금에 대한 장기 분할 납부’(45.9%) 등이라고 답했습니다.
소공연 측은 “올해 3월 말 기준 소상공인 대출 총액이 1,034조 원에 달하지만 정부의 만기 연장과 상환 유예 지원을 받는 여신은 85조 3,000억 원으로 전체 대출의 8.25%에 그치는 실정”이라면서 “저금리 대출 확대, 만기 연장, 상환 유예 등의 금융지원 대상을 전체 자영업자 대출로 확대해, 금융비용 급증을 방지하는게 필요하다”고 주문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박재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올들어 1~8월 ‘노란우산 폐업 공제금’ 지급 건수는 7만 8,065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0%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지급 금액도 8,948억 원으로 40% 증가했습니다. ‘노란우산 공제’는 소규모 사업자 등이 폐업 때 생활안정과 사업 재기를 도모할 수 있게 국가가 지원하는 목돈(퇴직금) 마련 공제제도로 중소기업중앙회가 운영하고 있습니다.
박 의원은 “소상공인의 연쇄 부실 방지를 위해선 만기 연장, 상환 유예 등 정책이 실질적으로 힘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재도전 기회를 위한 보증 지원도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현재 대출금 상환 힘들어”
“괜찮다”2.1%, “보통”10%대
고금리, 경기 악화로 부채↑

자영엽자를 비롯한 소상공인 10명 중 9명이 대출금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0명 중 6명은 지난해보다 대출금이 늘었다고 답했습니다. 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 부담 압박을 가장 힘들어했습니다.
3명 중 1명은 상반기 월평균 매출이 500만 원 이하로, 앞으로 전망도 불투명하다며 금리 우대 등 정책 지원을 주문했습니다.
오늘(27일) 소상공인연합회(소공연)가 내놓은 ‘소상공인 금융실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87.6%가 “현재 대출금 상환으로 힘들다”고 답했습니다. “괜찮다”는 2.1%, “보통”은 10.4%에 그쳤습니다. 조사는 지난 8~14일 소상공인 1,345명을 대상으로 진행했습니다. 경기 악화가 장기화되면서 부채 규모가 늘고, 기준금리가 상승하면서 금융비용이 대폭 증가한게 경영난을 부추긴 것으로 소공연은 분석했습니다.
조사 응답자의 절반 이상 59.7%가 “지난해보다 대출 잔액이 늘었다”고 답했습니다. 반면 “줄었다”는 답은 14.9%, “비슷하다”는 25.5%로 나타났습니다.
정부 정책자금 대출 잔액은 1,000만~3,000만 원 미만이라는 응답이 29%로 가장 많았습니다. 3,000만~5,000만 원 미만은 27.7%, 5,000만~1억 원 미만이 26.1%로 대출 잔액 규모는 비슷한 수준을 보였습니다.

또 민간 부문에서 금융자금 대출 잔액은 3,000만~5,000만 원 미만(25.1%), 5,000만~1억 원 미만(23.4%), 3,000만 원 미만(23.4%)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대출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건, 원금과 이자 상환 부담이 늘어나는데도 불구하고 이를 감당할 수준의 매출 실적이 따르지 않는데서 원인을 찾고 있습니다.
실제 올 상반기 월평균 매출이 500만 원 미만이라는 응답이 32.6%로 가장 많고 500만∼1,000만 원은 19.4%, 3000만 원 이상이 18.7%로 나타났습니다. 소상공인 절반 이상은 연매출 1억 2,000만원 이하 상황에 놓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기 불황 속, 저조한 매출 환경에 전기료나 가스비 등 공공요금은 오르고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인건비 지출이 늘면서 결국엔 다시 대출로 빚을 막는 악순환까지 반복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응답자들은 대출과 관련한 어려움으로 2명 중 1명(45.9%)이 ‘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 부담 증가’를 꼽았습니다. 이어 ‘대출 한도 제한에 다른 추가 대출 불가’(31.3%) 순입니다.

이처럼 월평균 매출이 낮을 수록 정부정책자금이나 제도권 금융사보다 고이율의 대부업이나 사채 등을 이용하는 비중이 높아져, 저소득 소상공인에 대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됩니다.
가장 필요한 소상공인 금융 지원 정책(복수 응답)에 대해선 ‘소상공인 금리 우대를 통한 이자 절감’(51.7%), ‘대출 원금에 대한 장기 분할 납부’(45.9%) 등이라고 답했습니다.
소공연 측은 “올해 3월 말 기준 소상공인 대출 총액이 1,034조 원에 달하지만 정부의 만기 연장과 상환 유예 지원을 받는 여신은 85조 3,000억 원으로 전체 대출의 8.25%에 그치는 실정”이라면서 “저금리 대출 확대, 만기 연장, 상환 유예 등의 금융지원 대상을 전체 자영업자 대출로 확대해, 금융비용 급증을 방지하는게 필요하다”고 주문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박재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올들어 1~8월 ‘노란우산 폐업 공제금’ 지급 건수는 7만 8,065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0%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지급 금액도 8,948억 원으로 40% 증가했습니다. ‘노란우산 공제’는 소규모 사업자 등이 폐업 때 생활안정과 사업 재기를 도모할 수 있게 국가가 지원하는 목돈(퇴직금) 마련 공제제도로 중소기업중앙회가 운영하고 있습니다.
박 의원은 “소상공인의 연쇄 부실 방지를 위해선 만기 연장, 상환 유예 등 정책이 실질적으로 힘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재도전 기회를 위한 보증 지원도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