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앰아이 3000명 대상 기획조사
연령대 높을수록 결혼 의향 없어
가장 고려하는 요소? "성격" 1위
"저출산 문제 이어져.. 지원 필요"
미혼 남녀 10명 가운데 3명은 경제적 부담을 이유로 결혼을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데이터 컨설팅 기업 피앰아이는 전국 20~69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미혼 남녀의 결혼관' 기획조사 결과를 오늘(17일) 밝혔습니다.
먼저 결혼 의향에 대해 질문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58.2%는 '결혼 의향이 있다'고 밝혔고, 41.8%는 '결혼 의향이 없다'고 답했습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66.6%, 여성은 49.8%가 결혼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여성의 경우 결혼 의향이 '있다'는 응답보다 '없다'는 응답이 50.2%로 근소하게 앞섰습니다.
연령별로는 '결혼 의향이 없다'의 비율이 20대 34%, 30대 38.1%, 40대 54.9%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가파르게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결혼 의향이 없는 이유로는 '경제적인 여유가 없어서'가 29.8%로 첫손에 꼽혔습니다.
이어 '독신으로 느낄 수 있는 자유로움을 읽고 싶지 않아서(27.8%)', '가정을 책임지는 것이 부담돼서(18.4%)', '성 역할 불평등이 있다고 생각해서(6.6%)', '주변인의 결혼 생활이 만족스러워 보이지 않아서(6.1%)', '출산·육아를 하고 싶지 않아서(5.5%)' 등 순이었습니다.
남성은 '경제적인 여유가 없어서(40.9%)', 여성은 '독신으로 느낄 수 있는 자유로움을 잃고 싶지 않아서(29.6%)'를 가장 높은 이유로 택했습니다.
결혼 상대를 고를 때 가장 고려하는 요소는 '성격'이 49.4%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습니다.
다음으로는 '가치관(18.8%)', '외모(11.9%)', '경제력(7.1%)'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피앰아이 관계자는 "경제적 상황과 현실적 조건의 이유로 결혼을 기피하고, 이는 저출산 문제로 이어져 심각한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는 상황"이라며 "정부가 다양한 정책을 제시하고 있지만 여전히 비혼율은 높아지고 출산율이 떨어지고 있는 만큼 범국가적으로 해결 방안에 대한 고민과 지속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지난 8월 통계청이 발표한 '사회조사로 살펴본 청년의 의식변화'에 따르면 지난해 결혼에 대해 긍정적인 청년의 비중은 10년 전보다 20.1% 감소한 36.4%로 집계됐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재연(Replay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연령대 높을수록 결혼 의향 없어
가장 고려하는 요소? "성격" 1위
"저출산 문제 이어져.. 지원 필요"

사진은 기사 특정 사실과 관련 없음
미혼 남녀 10명 가운데 3명은 경제적 부담을 이유로 결혼을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데이터 컨설팅 기업 피앰아이는 전국 20~69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미혼 남녀의 결혼관' 기획조사 결과를 오늘(17일) 밝혔습니다.
먼저 결혼 의향에 대해 질문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58.2%는 '결혼 의향이 있다'고 밝혔고, 41.8%는 '결혼 의향이 없다'고 답했습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66.6%, 여성은 49.8%가 결혼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여성의 경우 결혼 의향이 '있다'는 응답보다 '없다'는 응답이 50.2%로 근소하게 앞섰습니다.
연령별로는 '결혼 의향이 없다'의 비율이 20대 34%, 30대 38.1%, 40대 54.9%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가파르게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결혼 의향이 없는 이유로는 '경제적인 여유가 없어서'가 29.8%로 첫손에 꼽혔습니다.
이어 '독신으로 느낄 수 있는 자유로움을 읽고 싶지 않아서(27.8%)', '가정을 책임지는 것이 부담돼서(18.4%)', '성 역할 불평등이 있다고 생각해서(6.6%)', '주변인의 결혼 생활이 만족스러워 보이지 않아서(6.1%)', '출산·육아를 하고 싶지 않아서(5.5%)' 등 순이었습니다.
남성은 '경제적인 여유가 없어서(40.9%)', 여성은 '독신으로 느낄 수 있는 자유로움을 잃고 싶지 않아서(29.6%)'를 가장 높은 이유로 택했습니다.
결혼 상대를 고를 때 가장 고려하는 요소는 '성격'이 49.4%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습니다.
다음으로는 '가치관(18.8%)', '외모(11.9%)', '경제력(7.1%)'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피앰아이 관계자는 "경제적 상황과 현실적 조건의 이유로 결혼을 기피하고, 이는 저출산 문제로 이어져 심각한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는 상황"이라며 "정부가 다양한 정책을 제시하고 있지만 여전히 비혼율은 높아지고 출산율이 떨어지고 있는 만큼 범국가적으로 해결 방안에 대한 고민과 지속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지난 8월 통계청이 발표한 '사회조사로 살펴본 청년의 의식변화'에 따르면 지난해 결혼에 대해 긍정적인 청년의 비중은 10년 전보다 20.1% 감소한 36.4%로 집계됐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재연(Replay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줄어든 건 사람, 안 내린 건 가격”.. 변하지 않는 골프장의 기이한 호황
- ∙ “파라솔 2만원 시대, 다시 제주다” 바가지 걷어낸 해변.. 올여름 ‘신뢰의 바다’ 열린다
- ∙ “확 찢어버리고 싶다”.. 김문수의 선전포고, 첫날부터 가짜 진보 정조준
- ∙ 수도요금 3만 원에 "왜 이리 많냐" 혼자 격분.. 여성 검침원 폭행
- ∙ “하루 1만 크루즈객 상륙”.. 전세버스 200대·통역 200명, 제주가 움직였다
- ∙ 침묵 깬 尹 "국힘 경선, 건강함 보여줬다.. 우린 전체주의에 맞서 싸워야" 본선 앞두고 직접 등판
- ∙ [제주 날씨] "봄비 수준 아니다" 200mm '물폭탄'에 태풍급 강풍 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