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 무자녀 신혼, 2015년 18%
지난해 30%.. “2배 정도 늘어”
소득 높을 수록.. 자녀 수도 적어
외벌이 유자녀 비중.. 점점 감소
지난해, 함께 벌면서 자녀가 없는 ‘딩크족’(DINK. Double Income, No Kids. 맞벌이 무자녀 기혼 부부)인 초혼 부부가 10쌍 중 3쌍 꼴로, 다른 부부 유형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7년 전 10쌍 중 2쌍이 안됐던게, 더 늘었습니다. 소득이 높을 수록, 갖는 자녀 수는 더 적어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오늘(18일) 통계청의 ‘2022년 신혼부부 통계 결과’, 지난해 혼인 신고를 한 지 5년이 되지 않은 초혼 신혼부부 81만 5,357쌍 가운데 둘이 벌면서 자녀를 갖지 않는 부부가 23만 4,066쌍(28.7%)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앞서 7년전인 2015년에는 초혼 신혼부부 중 이같은 ‘딩크족’이 21만 2,733쌍으로 18.0%를 차지했던게 2018년 21.7%, 2020년 25.8% 등으로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다, 지난해 역대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조사에서 맞벌이·유자녀 부부는 23만 2,459쌍으로 28.5%, 외벌이·유자녀 부부(18만 5,155쌍·22.7%), 외벌이·무자녀 부부(12만 6,531쌍·15.5%)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2015년 가장 흔한 신혼부부 유형이던 혼자 벌어 애를 키우는 외벌이·유자녀 부부 비중은 2018년 30.0%, 2020년 26.2% 등으로 꾸준히 줄었습니다.
반면 ‘딩크족’ 비중은 2021년 27.7%로 외벌이·유자녀 비중(24.3%)을 처음 역전했습니다.
이를 두고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늘어, 자녀를 낳지 않아도 괜찮다는 인식이 확산된 결과라는 시각도 제기됩니다.
통계청의 ‘한국의 사회동향 2023’ 보고서에 따르면 20∼30대에서 무자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2015년 27.7%에서 2020년 44.1%로 16.4%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맞벌이로 소득은 높지만 자녀를 갖지 않은 부부가 늘어, 초혼 신혼부부 역시도 소득이 높을 수록 평균 자녀 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소득 구간별 평균 자녀 수는 연 소득이 1,000만 원 미만일 때 자녀 수는 0.77명,, 1,000만∼3,000만 원 미만은 0.71명, 3,000만∼5,000만원 미만은 0.72명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5,000만 원∼7,000만 원 미만은 0.66명, 7,000만∼1억 원 미만은 0.55명, 1억 원 이상은 0.57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맞벌이 부부 평균 소득은 8,433만 원으로 외벌이(4,994만 원) 1.7배로 나타났습니다.
자녀를 가진다 해도, 출산 시기는 점점 늦춰져 결혼생활 기간별로 5년치 이상일 때 첫째를 낳는 경우가 2012년 5.3%에서 지난해 11.5%로 2배 늘었습니다. 이는 결혼생활이 5년 미만인 신혼 때 자녀를 갖지 않은 경우가 늘어난다는 뜻으로도 해석됩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지난해 30%.. “2배 정도 늘어”
소득 높을 수록.. 자녀 수도 적어
외벌이 유자녀 비중.. 점점 감소
지난해, 함께 벌면서 자녀가 없는 ‘딩크족’(DINK. Double Income, No Kids. 맞벌이 무자녀 기혼 부부)인 초혼 부부가 10쌍 중 3쌍 꼴로, 다른 부부 유형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7년 전 10쌍 중 2쌍이 안됐던게, 더 늘었습니다. 소득이 높을 수록, 갖는 자녀 수는 더 적어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오늘(18일) 통계청의 ‘2022년 신혼부부 통계 결과’, 지난해 혼인 신고를 한 지 5년이 되지 않은 초혼 신혼부부 81만 5,357쌍 가운데 둘이 벌면서 자녀를 갖지 않는 부부가 23만 4,066쌍(28.7%)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앞서 7년전인 2015년에는 초혼 신혼부부 중 이같은 ‘딩크족’이 21만 2,733쌍으로 18.0%를 차지했던게 2018년 21.7%, 2020년 25.8% 등으로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다, 지난해 역대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조사에서 맞벌이·유자녀 부부는 23만 2,459쌍으로 28.5%, 외벌이·유자녀 부부(18만 5,155쌍·22.7%), 외벌이·무자녀 부부(12만 6,531쌍·15.5%)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2015년 가장 흔한 신혼부부 유형이던 혼자 벌어 애를 키우는 외벌이·유자녀 부부 비중은 2018년 30.0%, 2020년 26.2% 등으로 꾸준히 줄었습니다.
반면 ‘딩크족’ 비중은 2021년 27.7%로 외벌이·유자녀 비중(24.3%)을 처음 역전했습니다.
이를 두고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늘어, 자녀를 낳지 않아도 괜찮다는 인식이 확산된 결과라는 시각도 제기됩니다.
통계청의 ‘한국의 사회동향 2023’ 보고서에 따르면 20∼30대에서 무자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2015년 27.7%에서 2020년 44.1%로 16.4%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맞벌이로 소득은 높지만 자녀를 갖지 않은 부부가 늘어, 초혼 신혼부부 역시도 소득이 높을 수록 평균 자녀 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소득 구간별 평균 자녀 수는 연 소득이 1,000만 원 미만일 때 자녀 수는 0.77명,, 1,000만∼3,000만 원 미만은 0.71명, 3,000만∼5,000만원 미만은 0.72명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5,000만 원∼7,000만 원 미만은 0.66명, 7,000만∼1억 원 미만은 0.55명, 1억 원 이상은 0.57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맞벌이 부부 평균 소득은 8,433만 원으로 외벌이(4,994만 원) 1.7배로 나타났습니다.
자녀를 가진다 해도, 출산 시기는 점점 늦춰져 결혼생활 기간별로 5년치 이상일 때 첫째를 낳는 경우가 2012년 5.3%에서 지난해 11.5%로 2배 늘었습니다. 이는 결혼생활이 5년 미만인 신혼 때 자녀를 갖지 않은 경우가 늘어난다는 뜻으로도 해석됩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메타세쿼이아 나무 아래서 결혼했습니다” 경북의 작은 결혼식, 결혼문화의 새로운 전환점
- ∙︎ [제주날씨] 주말 내내 흐리고 비.. 추자도 한때 '폭풍해일특보'
- ∙︎ "오래전부터 하고 싶었다" 이낙연, 유튜브 시작.. "국가 도움 된다면 무엇이든"
- ∙︎ 제주 평화로서 차량 4대 연속 추돌.. 4명 다쳐
- ∙︎ 제주도, 옛 제주경찰청 부지 맞교환 논의
- ∙︎ "제주 인구 전체 투약하고도 남을 양" 코앞까지 파고든 마약에 '초비상'
- ∙︎ “내릴 이유가 없다” 불황 속에도 버티는 대중형 골프장... 그린피 그대로 “그러니 경쟁력도 제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