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간 203회 차단·160회 퇴거
남해어업관리단 등 공동 대응
제주 해역의 어족자원을 노리는 불법조업 중국어선에 대해 해경이 지난 1년 동안 벌인 봉쇄 작전이 효과를 거뒀습니다.
오늘(27일) 제주지방해양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무허가 중국어선에 대해 203회 차단과 160회 퇴거 조치가 이뤄졌습니다.
이 기간 해경은 허가수역 내에 배치한 대형 경비함정 6척 등을 앞세워 321회에 걸친 정밀 검문검색을 실시하고, 남해어업관리단과 공동 대응에 나섰습니다.
또 무인헬기와 드론 등 첨단 장비를 동원한 중국어선 위치 파악은 물론 중국 저인망 조업이 재개되는 지난 10월부터 위성영상 분석 자료를 활용해 중국어선 분포, 이동현황 등을 분석했습니다.
올해 무허가, 제한조건 위반 등으로 해경에 나포된 불법조업 중국어선은 모두 14척에 달합니다.
해경 관계자는 "지능화되는 중국어선의 불법조업에 한층 더 강화된 대응 체계를 펼쳤다"며 "제주해역과 어족자원 보호를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화면제공 제주지방해양경찰청)
JIBS 제주방송 김재연(Replay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남해어업관리단 등 공동 대응
제주 해역의 어족자원을 노리는 불법조업 중국어선에 대해 해경이 지난 1년 동안 벌인 봉쇄 작전이 효과를 거뒀습니다.
오늘(27일) 제주지방해양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무허가 중국어선에 대해 203회 차단과 160회 퇴거 조치가 이뤄졌습니다.
이 기간 해경은 허가수역 내에 배치한 대형 경비함정 6척 등을 앞세워 321회에 걸친 정밀 검문검색을 실시하고, 남해어업관리단과 공동 대응에 나섰습니다.
또 무인헬기와 드론 등 첨단 장비를 동원한 중국어선 위치 파악은 물론 중국 저인망 조업이 재개되는 지난 10월부터 위성영상 분석 자료를 활용해 중국어선 분포, 이동현황 등을 분석했습니다.
올해 무허가, 제한조건 위반 등으로 해경에 나포된 불법조업 중국어선은 모두 14척에 달합니다.
해경 관계자는 "지능화되는 중국어선의 불법조업에 한층 더 강화된 대응 체계를 펼쳤다"며 "제주해역과 어족자원 보호를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화면제공 제주지방해양경찰청)
JIBS 제주방송 김재연(Replay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이것들 봐라?”.. 李 파기환송에 민주당 격앙, “한 달만 기다려라” 공개 경고
- ∙︎ 고 2 대입, 제주대 수시모집 축소..전국 대학 수시모집은 확대
- ∙︎ 제주 갈치는 모두 '제주산'..원산지 위반 'ZERO'
- ∙︎ “비행기는 더 뜨지만, 사람들은 떠나고 있었다” 내국인은 줄고 외국인만 늘어.. 제주 관광, 균형이 무너진다
- ∙︎ “사퇴가 아니라 출정이다”.. 한덕수, 총리직 던지고 ’정권 레이스’ 진입 선언
- ∙︎ 파기환송 되자 "대통령 권한 대행 사퇴한다"...한덕수 "더 큰일 하겠다" 대선 출마 출사표
- ∙︎ “대법, 이재명 2심 무죄 뒤집었다”... 유죄 취지 파기환송, 대선판 흔든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