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0.1%, 최근 2년 새 상여금 25%↑
중위값 158배.. 상위 1% 1억 7,118만
상위 10% 5,786만 원 “전체 절반 차지”
상여금을 받는 직장인 가운데 상위 0.1%의 연평균 보너스 수준이 7억 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간 수준인 중위값과 차이는 무려 150배를 넘었습니다.
상위 1%만 해도 2억 원, 상위 10%는 6,000만 원에 근접했습니다. 전체 상여금 중 절반 이상이 상위 10%에게 돌아가는 등 연봉만 아니라 보너스까지도 격차를 키우면서 극과 극 양상을 보였습니다.
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상여금 천분위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상여금을 신고한 근로자는 979만 9,285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이가운데 수령액 상위 0.1%의 상여금은 평균 6억 8,526만 원으로, 중위값(434만 원)의 157.9배에 해당했습니다. 중위값은 상여금 수령액이 많은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가운데에 있는 근로자가 받은 상여금을 의미합니다.
이같은 상여금 ‘양극화’는 시간이 흐를 수록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상위 0.1%의 평균 상여금은 2020년 5억 4,885만 원, 2021년 6억 6,606만 원으로 늘었습니다. 2020년 대비 2022년 24.9% 증가했습니다.
반면 중위값은 2020년 405만 원, 2021년 433만 원으로 2년간 7.1% 늘어, 수령액 상위 0.1%의 증가 폭에 크게 못미치면서 규모 차이를 드러냈습니다.
이에 따라 중위값 대비 상위 0.1%의 상여금 비율은 2020년 135.5배였던게 2021년 153.9배 등으로 격차를 키웠습니다.
2022년 상위 1%의 상여금은 평균 1억 7,118만 원, 상위 10%는 5,786만 원으로 이들 상위권 수령 근로자들이 전체 상여금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커지는 추세입니다.
상위 0.1%의 상여금 비중은 2020년 5.8%에서 2022년 6.2%로, 상위 1%는 14.6%에서 15.4%로 확대됐습니다.
같은 기간 상위 10%는 48.6%를 차지했던데서 52.0%로 상승해, 전체 상여금의 절반을 넘어섰을 정도입니다.
상여금 상위 20%와 하위 20%의 격차도 확대양상을 보였습니다.
상위 20%의 상여금은 평균 3,927만 원으로, 하위 20%(37만 원)와 105.6배 차이가 났습니다. 2020년 상위 20%와 하위 20%차이는 93.1배였고, 2021년은 101.9배로 격차는 계속 커졌습니다.
양경숙 의원은 “경기 불황으로 인해 경영실적이 좋지 않은 기업들은 보너스를 지급하지 못하는 실정일 것”이라며 “근로소득자 간의 임금과 마찬가지로, 보너스에서 양극화 현상이 확연해지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중위값 158배.. 상위 1% 1억 7,118만
상위 10% 5,786만 원 “전체 절반 차지”

상여금을 받는 직장인 가운데 상위 0.1%의 연평균 보너스 수준이 7억 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간 수준인 중위값과 차이는 무려 150배를 넘었습니다.
상위 1%만 해도 2억 원, 상위 10%는 6,000만 원에 근접했습니다. 전체 상여금 중 절반 이상이 상위 10%에게 돌아가는 등 연봉만 아니라 보너스까지도 격차를 키우면서 극과 극 양상을 보였습니다.
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상여금 천분위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상여금을 신고한 근로자는 979만 9,285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이가운데 수령액 상위 0.1%의 상여금은 평균 6억 8,526만 원으로, 중위값(434만 원)의 157.9배에 해당했습니다. 중위값은 상여금 수령액이 많은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가운데에 있는 근로자가 받은 상여금을 의미합니다.
이같은 상여금 ‘양극화’는 시간이 흐를 수록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상위 0.1%의 평균 상여금은 2020년 5억 4,885만 원, 2021년 6억 6,606만 원으로 늘었습니다. 2020년 대비 2022년 24.9% 증가했습니다.

반면 중위값은 2020년 405만 원, 2021년 433만 원으로 2년간 7.1% 늘어, 수령액 상위 0.1%의 증가 폭에 크게 못미치면서 규모 차이를 드러냈습니다.
이에 따라 중위값 대비 상위 0.1%의 상여금 비율은 2020년 135.5배였던게 2021년 153.9배 등으로 격차를 키웠습니다.
2022년 상위 1%의 상여금은 평균 1억 7,118만 원, 상위 10%는 5,786만 원으로 이들 상위권 수령 근로자들이 전체 상여금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커지는 추세입니다.
상위 0.1%의 상여금 비중은 2020년 5.8%에서 2022년 6.2%로, 상위 1%는 14.6%에서 15.4%로 확대됐습니다.
같은 기간 상위 10%는 48.6%를 차지했던데서 52.0%로 상승해, 전체 상여금의 절반을 넘어섰을 정도입니다.
상여금 상위 20%와 하위 20%의 격차도 확대양상을 보였습니다.
상위 20%의 상여금은 평균 3,927만 원으로, 하위 20%(37만 원)와 105.6배 차이가 났습니다. 2020년 상위 20%와 하위 20%차이는 93.1배였고, 2021년은 101.9배로 격차는 계속 커졌습니다.
양경숙 의원은 “경기 불황으로 인해 경영실적이 좋지 않은 기업들은 보너스를 지급하지 못하는 실정일 것”이라며 “근로소득자 간의 임금과 마찬가지로, 보너스에서 양극화 현상이 확연해지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혼자 조업하던 선장 바다에 빠져.. 텅 빈 어선은 나홀로 24㎞ '둥둥'
- ∙ “발만 디뎌도 5만 원”.. 제주, 돈 뿌리는 관광 전쟁 시작됐다
- ∙ "회사 없어진다" 퇴사 브이로그 직원 정체는 '김건희 사진사'.. "안하무인" 평가도
- ∙ "단체객 땡잡았네" 제주공항 내리자마자 3만원 지역화폐 준다
- ∙ 정유라 "文, 날 못 죽였다.. 이제 우린 '약탈자', 좌파만 정권 뺏나"
- ∙ "헬기 정비 중인데" 성산일출봉 정상서 급성뇌경색 환자 발생.. "그때 마침"
- ∙ 검찰총장 임은정·복지장관 이국종 추천 쇄도?.. 여가부장관 이준석·선관위원장 황교안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