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 상대적으로 소주 인지도 높아
10명 중 6명 "韓 주류 마실 의향 있어"
가장 먹고 싶은 한식 메뉴 비빔밥 1위
외국인이 가장 잘 알고 있는 한국 술은 '소주'이고, 가장 인기 있는 한식 간편식은 '비빔밥'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식진흥원은 지난해 8∼10월 해외 16개국 18개 도시에서 현지인 20∼59세 9,000명을 대상으로 '해외 한식 소비자 조사'를 진행한 결과를 오늘(10일) 발표했습니다.
조사에서 전체 응답자의 41.1%(중복응답)는 한국 술로 '소주'를 알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이번 조사에서 '한국 술'은 전통주가 아닌 한국 회사가 제조한 주류입니다.
소주 다음으로는 맥주(31.6%)와 과실주(22.8%), 청주(17.9%), 탁주(14.5%) 등 순으로 높은 인지도를 보였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소주를 알고 있다는 응답자 비중은 동남아시아에서 62.7%로 다른 곳보다 상대적으로 높았습니다.
북미와 유럽에서 소주를 안다는 대답은 각각 33.0%, 20.6%였습니다.
앞으로 한국 주류를 마실 의향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 비중은 전체의 57.7%로 전년(53.4%)보다 4.3%포인트(p) 높아졌습니다.
지역별로는 동남아시아(65.5%), 북미(59.3%), 오세아니아·중남미·중동(58.4%), 동북아시아(55.8%), 유럽(47.7%) 등 순이었습니다. 북미의 경우 전년(47.2%)보다 12.1%p 상승했습니다.
한국 술을 알고 있다고 답한 4,839명에게 최근 2년 동안 마셔본 적 있는 한국 술(중복응답)을 묻자 소주(47.9%)가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어 맥주(36.2%), 과실주(24.1%), 청주(18.1%), 탁주(13.2%)가 뒤를 이었습니다.
한국 술을 마시는 이유로는 35.1%(중복응답)가 '맛이 있어서'였고, '추천을 받아서(16.0%)', '한국 드라마·영화에서 접해서(15.5%)', '향이 좋아서(11.6%)' 등의 답변이 나왔습니다.
또 이번 조사에서 전체 응답자의 39.2%가 한식 간편식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지역별 인지율은 동남아시아(60.6%)가 1위, 동북아시아(52.7%)가 각각 2위였고 오세아니아·중남미·중동(28.2%), 북미(26.1%), 유럽(20.7%) 등이 뒤따랐습니다.
한식 간편식을 알고 있다는 4,768명 중 실제 먹어본 경험이 있다고 답변한 비율은 85.7%로 집계됐고, 구매 경험이 가장 많은 나라는 동남아시아(89.6%)가 1위였습니다.
주로 구매하는 한식 간편식은 즉석 가열 식품이 39.3%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고, 이어 즉석 조리식품(32.6%), 즉석 섭취 식품(28.1%) 등이 꼽혔습니다.
한식 간편식을 먹어본 사람 4,08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가장 먹고 싶은 한식 간편식 메뉴는 비빔밥(22.8%)이 1위에 올랐습니다. 다음은 김밥(19.1%), 김치볶음밥(13.0%), 라면(11.5%), 자장면(4.9%) 등이었습니다.
외국인이 한식 간편식을 구매할 때 고려하는 중요한 요인은 맛(21.0%)에 이어 가격(13.5%)이라는 답변이 많았습니다. 그 외 품질(11.5%), 편리성(10.7%), 안전성(9.6%) 등 순이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재연(Replay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10명 중 6명 "韓 주류 마실 의향 있어"
가장 먹고 싶은 한식 메뉴 비빔밥 1위

소주 자료사진
외국인이 가장 잘 알고 있는 한국 술은 '소주'이고, 가장 인기 있는 한식 간편식은 '비빔밥'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식진흥원은 지난해 8∼10월 해외 16개국 18개 도시에서 현지인 20∼59세 9,000명을 대상으로 '해외 한식 소비자 조사'를 진행한 결과를 오늘(10일) 발표했습니다.
조사에서 전체 응답자의 41.1%(중복응답)는 한국 술로 '소주'를 알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이번 조사에서 '한국 술'은 전통주가 아닌 한국 회사가 제조한 주류입니다.
소주 다음으로는 맥주(31.6%)와 과실주(22.8%), 청주(17.9%), 탁주(14.5%) 등 순으로 높은 인지도를 보였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소주를 알고 있다는 응답자 비중은 동남아시아에서 62.7%로 다른 곳보다 상대적으로 높았습니다.
북미와 유럽에서 소주를 안다는 대답은 각각 33.0%, 20.6%였습니다.

소주 자료사진
앞으로 한국 주류를 마실 의향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 비중은 전체의 57.7%로 전년(53.4%)보다 4.3%포인트(p) 높아졌습니다.
지역별로는 동남아시아(65.5%), 북미(59.3%), 오세아니아·중남미·중동(58.4%), 동북아시아(55.8%), 유럽(47.7%) 등 순이었습니다. 북미의 경우 전년(47.2%)보다 12.1%p 상승했습니다.
한국 술을 알고 있다고 답한 4,839명에게 최근 2년 동안 마셔본 적 있는 한국 술(중복응답)을 묻자 소주(47.9%)가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어 맥주(36.2%), 과실주(24.1%), 청주(18.1%), 탁주(13.2%)가 뒤를 이었습니다.
한국 술을 마시는 이유로는 35.1%(중복응답)가 '맛이 있어서'였고, '추천을 받아서(16.0%)', '한국 드라마·영화에서 접해서(15.5%)', '향이 좋아서(11.6%)' 등의 답변이 나왔습니다.

비빔밥 자료사진
또 이번 조사에서 전체 응답자의 39.2%가 한식 간편식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지역별 인지율은 동남아시아(60.6%)가 1위, 동북아시아(52.7%)가 각각 2위였고 오세아니아·중남미·중동(28.2%), 북미(26.1%), 유럽(20.7%) 등이 뒤따랐습니다.
한식 간편식을 알고 있다는 4,768명 중 실제 먹어본 경험이 있다고 답변한 비율은 85.7%로 집계됐고, 구매 경험이 가장 많은 나라는 동남아시아(89.6%)가 1위였습니다.
주로 구매하는 한식 간편식은 즉석 가열 식품이 39.3%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고, 이어 즉석 조리식품(32.6%), 즉석 섭취 식품(28.1%) 등이 꼽혔습니다.
한식 간편식을 먹어본 사람 4,08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가장 먹고 싶은 한식 간편식 메뉴는 비빔밥(22.8%)이 1위에 올랐습니다. 다음은 김밥(19.1%), 김치볶음밥(13.0%), 라면(11.5%), 자장면(4.9%) 등이었습니다.
외국인이 한식 간편식을 구매할 때 고려하는 중요한 요인은 맛(21.0%)에 이어 가격(13.5%)이라는 답변이 많았습니다. 그 외 품질(11.5%), 편리성(10.7%), 안전성(9.6%) 등 순이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재연(Replay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민생쿠폰 다 썼더니 또 5만원?...'특별 소비쿠폰' 참여 방법은
- ∙ “결제까지 끝냈는데, 비즈니스 좌석이 사라졌다”.. 아시아나 ‘전산 오류’에, 사과도 없었다
- ∙ 현금 4억여원 훔친 환전소 직원 붙잡히자 '아이폰 비번 말 못 해'
- ∙ “또 낚싯줄에”.. 제주 바다, 남방큰돌고래 새끼가 계속 죽어간다
- ∙ "경로가 무슨" 부활한 제8호 태풍 꼬마이...필리핀·日 오키나와 거쳐 중국으로
- ∙ “계약직 11년, 마침내 정규직”.. 제주 첫 이주여성, ‘론다비’가 남긴 시간
- ∙ '구치소 선배' 정청래, 특검 불응 尹에 "내가 살아봐서 아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