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대상.. ‘고연봉자 관련 설문조사’ 결과
연령별 기준차 20대 7,860만↑·30대 8,470만↑
2명 중 1명.. “이직 통해 연봉 올리는 것도”
고연봉 기준이 연령에 따라 다르지만, 직장인들은 적어도 연봉 8,500만 원은 넘어야 고연봉이라 생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과감한 이직도 대안으로 꼽혔습니다. 승진을 기다리는 것보다, 이직을 통해 제 몸값을 올리는 것이 빠르다는 의견도 지배적으로 나타났습니다.
구인구직 플랫폼 잡코리아가 전국의 남녀 직장인 721명을 대상으로 ‘고연봉자가 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들은 평균적으로 한 해 8,550만 원 이상을 받아야 고연봉으로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연령별로 고연봉을 바라보는 기준이 달랐습니다.
20대 직장인들은 7,860만 원, 30대는 8,470만 원, 40대는 9,510만 원 이상을 고연봉의 시작점으로 생각했습니다.
고연봉자가 되는 방법에 대해서 직장인들의 절반 이상(51.2%)은 이직을 통해 연봉을 올리는 것이 가장 빠르다고 답했습니다.
이어 승진을 통해서 관리자나 임원급이 되어야 고연봉을 받을 수 있다는 의견은 46.3%로 뒤를 이었습니다. ‘경력과 근속년수가 쌓여야’(39.4%), ‘전문 자격증이 있어야’(22.3%) 고연봉을 받을 수 있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고연봉을 받기 위한 기본 조건으로 직장인들은 ‘기업 규모’(57.4%)를 첫 번째로 꼽았습니다. 그만큼 높은 연봉을 줄 수 있는 규모 있고 자본을 갖춘 기업에 근무해야 한다는 인식이 강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어서 ‘본인의 능력’(37.7%), ‘맡고 있는 직무’(31.5%), ‘업종’(25.7%), ‘최종 학력·학벌’(25.5%) 등이 고연봉자가 되기 위한 조건으로 꼽혔습니다.
잡코리아는 고연봉 인재들을 돕기 위한 관련 서비스를 준비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다양한 업종과 직종의 풍부한 경험을 보유한 헤드헌터가 구직 활동의 전 과정을 관리해 성공적인 이직과 연봉 인상을 돕는 서비스로, 잡코리아 관계자는 “이직을 통해 연봉을 높이고 싶다면 자신이 담당했던 직무와 업무를 성과 중심으로 잘 정리해 두어야 한다”라며 “처음부터 너무 높은 희망 연봉을 기재하기보다 전문가 도움을 받아 면접을 통해 협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연령별 기준차 20대 7,860만↑·30대 8,470만↑
2명 중 1명.. “이직 통해 연봉 올리는 것도”

고연봉 기준이 연령에 따라 다르지만, 직장인들은 적어도 연봉 8,500만 원은 넘어야 고연봉이라 생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과감한 이직도 대안으로 꼽혔습니다. 승진을 기다리는 것보다, 이직을 통해 제 몸값을 올리는 것이 빠르다는 의견도 지배적으로 나타났습니다.
구인구직 플랫폼 잡코리아가 전국의 남녀 직장인 721명을 대상으로 ‘고연봉자가 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들은 평균적으로 한 해 8,550만 원 이상을 받아야 고연봉으로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연령별로 고연봉을 바라보는 기준이 달랐습니다.
20대 직장인들은 7,860만 원, 30대는 8,470만 원, 40대는 9,510만 원 이상을 고연봉의 시작점으로 생각했습니다.

고연봉자가 되는 방법에 대해서 직장인들의 절반 이상(51.2%)은 이직을 통해 연봉을 올리는 것이 가장 빠르다고 답했습니다.
이어 승진을 통해서 관리자나 임원급이 되어야 고연봉을 받을 수 있다는 의견은 46.3%로 뒤를 이었습니다. ‘경력과 근속년수가 쌓여야’(39.4%), ‘전문 자격증이 있어야’(22.3%) 고연봉을 받을 수 있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고연봉을 받기 위한 기본 조건으로 직장인들은 ‘기업 규모’(57.4%)를 첫 번째로 꼽았습니다. 그만큼 높은 연봉을 줄 수 있는 규모 있고 자본을 갖춘 기업에 근무해야 한다는 인식이 강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어서 ‘본인의 능력’(37.7%), ‘맡고 있는 직무’(31.5%), ‘업종’(25.7%), ‘최종 학력·학벌’(25.5%) 등이 고연봉자가 되기 위한 조건으로 꼽혔습니다.
잡코리아는 고연봉 인재들을 돕기 위한 관련 서비스를 준비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다양한 업종과 직종의 풍부한 경험을 보유한 헤드헌터가 구직 활동의 전 과정을 관리해 성공적인 이직과 연봉 인상을 돕는 서비스로, 잡코리아 관계자는 “이직을 통해 연봉을 높이고 싶다면 자신이 담당했던 직무와 업무를 성과 중심으로 잘 정리해 두어야 한다”라며 “처음부터 너무 높은 희망 연봉을 기재하기보다 전문가 도움을 받아 면접을 통해 협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요구는 수용 안 됐지만”.. 한동훈, ‘침묵의 보수’ 지나 거리로 향했다
- ∙︎ '같은 날 입당'에도 극명한 온도차...김상욱 '민주 입당', 김계리 '국힘 입당'
- ∙︎ “민주당 간판 단 보수?”.. 허은아도 문 두드린 ‘이재명 빅텐트’, 어디까지 커지나
- ∙︎ “日 소비자, 왜 제주에 꽂혔나”.. 오사카 박람회서 터진 ‘폭싹 반응’
- ∙︎ "4년 연임제, 다른 대통령부터 적용".."임기 연장 개헌 아니다"
- ∙︎ “밥값 10만 원에 5년 정지?”.. 김혜경, 정치운명 대법 손에
- ∙︎ 비상 계엄에 자영업자 6만명 울었다....폐업 지원 신청도 3만건
- ∙ “확 찢어버리고 싶다”.. 김문수의 선전포고, 첫날부터 가짜 진보 정조준
- ∙ "어떡하냐 문수야".. 김문수 만난 이수정 '방긋' 두 손 악수
- ∙ “하루 1만 크루즈객 상륙”.. 전세버스 200대·통역 200명, 제주가 움직였다
- ∙ 침묵 깬 尹 "국힘 경선, 건강함 보여줬다.. 우린 전체주의에 맞서 싸워야" 본선 앞두고 직접 등판
- ∙ “하늘은 열렸는데, 관광은 멈췄다”.. ‘5천 원’ 항공권도 비싸다? “제주, 왜 외면받나”
- ∙ 소방관 부모님들 기내식 먹다 '왈칵'...눈물바다 된 비행기 안
- ∙ “진짜처럼 꾸며야 먹힌다”.. 한동훈, 지귀연 룸살롱 의혹에 ‘프레임 전쟁’ 반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