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대 2차 베이비붐 세대, 30년 후
80대 진입.. 자녀 없는 노인 1인 가구↑
경제 성장 혜택↓, 개인 삶 궁핍화 ‘ 속도’
“소득수준 낮거나 자산축적 등 어려운 탓”
선별적 취약계층 등 고령층 지원 주문도
2052년이면 한국 사회는 전례 없는 고령화에 직면할 것으로 보입니다. 저출생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노인층 1인 가구가 늘어 80대 이상 가구주가 전체 가구의 5분의 1, 즉 5가구 중 1가구꼴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제는 성장하지만, 개인의 삶은 점점 더 궁핍해지는 역설적인 현실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2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장래가구추계 2022∼2052년'에 따르면 가구주 연령이 80살이 넘는 가구는 2022년 119만 4,000가구에서 2052년 487만 6,000가구로 늘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30년간 368만 2,000가구가 늘어, 그 규모가 4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80대 이상 가구는 2033년 205만 8,000가구로 200만을 넘어선 이후, 6년 만인 2039년 300만 6,000가구로 300만을 넘어설 것으로 봤습니다.
이어 6년 뒤인 2045년만 해도 405만 1,000가구로 400만을 웃돌면서 2052년 487만 6,000가구까지 증가세를 내다봤습니다.
2052년 전체 가구(2,327만 7,000가구)의 20.9%, 즉 5가구 중에 1가구 이상 가구주가 80대 이상이 차지할 것이란 얘기입니다.
전체 가구에서 80대 이상 가구의 비중은 2022년 5.5%였으나 2036년에 10%를 돌파해 2051년 20%대에 진입합니다.
80대가 2022년 108만 7,000가구에서 2052년 379만 2,000가구로 3배 이상으로 늘어나는 반면, 같은 기간 90대는 10만 6,000가구에서 105만 2,000가구로 늘어 10배 가량이 됩니다. 100살 이상도 2,000가구에서 3만 2,000가구로 증가합니다. 그만큼 고령층 가구주의 증가세가 가파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2052년에는 2차 베이비붐 세대(1964∼1974년생)도 대부분 나이대가 80대 이상에 달하는 데다 배우자 사별 등으로 인해 노인 1인 가구가 크게 늘어 가구주의 연령대가 크게 높아지는 게 주요인으로 풀이됩니다.
그 중에서도 노인 1인 가구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제로 2052년 기준으로 80대 이상 가구를 가구원 수별로 분석했더니, 1인 가구가 228만 5,000가구로 가장 많아 전체 1인 가구(962만 가구)의 23.8%에 달할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또 80대 이상 2인 가구도 200만 7,000가구로 많았습니다.
다만 3인(47만 3,000가구), 4인(9만 1,000가구), 5인 이상(2만 가구)은 상대적으로 적었습니다.
가구주 연령을 65살 이상으로 넓히게 되면 2052년 전체 가구의 절반에 달하는 1,178만 8,000가구로 전망됐습니다.
2052년 가구주의 중위연령대는 65.4살이었습니다.
반면 30대 이하 청년 가구주 수는 2022년 498만 8,000가구에서 2039년 300만 대 진입하고 2052년 274만 4,000가구까지 줄 것으로 추계됐습니다.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3.0%에서 11.8%로 감소했습니다.
특히나 이처럼 노인 1인 가구 비중 증가로 인한 인구 구조만 아니라, 이들 노인 가구가 빈곤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는 게 우려를 키우고 있습니다.
고령화 속에서도 노인의 소득과 자산형성이 부족해 노인 빈곤율이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2018년 기준 처분가능소득으로 계산한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은 43.4%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았습니다. 10명 중 4명 이상 빈곤에 시달린다는 얘기로, OECD 평균 노인 빈곤율(13.1%)보다 3배 상당 높았습니다.
더구나 이런 빈곤율이 시간이 지나면서 개선될 기미는 보이지 않고, 더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 역시도 심각성을 더합니다. 2052년이 되면 1인 가구의 23.8%가 80대 이상에 이를텐데, 이들이 과연 경제적 자립을 이루며 살아갈 수 있을지 걱정을 더하는 실정입니다.
이들의 경제적 기반이 탄탄하지 않다는 점 역시 문제로 꼽혔습니다. 1950년대 이전에 태어난 세대는 급속한 경제 성장을 경험했지만, 그 혜택을 충분히 누리지 못한 탓에 자산 축적이 어렵고, 국민연금 역시 충분치 않아 빈곤의 악순환을 가속화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승희 KDI(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난해 발표한 ‘노인빈곤에 관한 연구: 소득과 소비를 중심으로’ 보고서에서 “우리나라 노인빈곤율은 자산이나 소비를 추가로 고려해도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특히 출생 세대별로 나눠 분석한 결과 1950년 이전 출생 세대의 경우 빈곤율이 50%에 가깝지만 1950년 이후 출생 세대의 경우 빈곤율은 30% 이하로, 차이가 컸습니다. 40년대 후반 출생 세대 중에서도 72~76살 노인빈곤율은 44.5%에 그친 반면, 40년대 전반 출생 세대의 동일 나이대 노인빈곤율은 51.3%로, 노인들 사이에서도 더 늦게 태어난 세대일수록 이전 세대보다 빈곤 문제가 덜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1950년 이전 출생 세대의 경우 급속한 경제 성장의 혜택을 적게 받아 소득수준이 낮거나 자산 축적이 어려웠고, 국민연금의 가입 기간이 짧아 수령액이 적은 영향으로 분석했습니다.
이에 대해 또다른 전문가들은 “결국 노인을 부양할 젊은 세대는 줄고, 노인 가구가 늘어나는 악순환이 우려된다”라면서 “이는 누가 더 많은 세금을 내고, 누가 그 세금으로 혜택을 누리느냐의 문제를 촉발시키면서, ‘젊은 세대 부담만 키운다’는 식의 사회적 갈등을 증폭시킬 우려도 크다”라고 내다봤습니다.
이어 “가파른 고령화 속에서, 준비되지 않는 노후빈곤이 미칠 타격이 결코 남의 일이 아니”라면서 “이 문제는 결국 모두가 직면할 현실이다. 젊은 세대 역시도 노후를 대비하지 않으면 같은 운명에 빠질 수 있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라고 정책 단계에서, 중장기적인 고령화와 빈곤 문제 해소책을 서둘러줄 것을 주문했습니다.
이에 따라 노인빈곤 완화 정책을 선별적인 취약계층(저소득-저자산 고령층) 지원에 집중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관련해 이 연구위원은 “기초연금은 재산을 고려한 소득인정액이 일정 수준 이하인 고령층에게만 지급해야 한다”라면서 “기초연금에 투입했던 재원을 다른 노인복지 제도에 투입해 고령층의 삶의 질을 높여야 할 것”이라고 주문하기도 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80대 진입.. 자녀 없는 노인 1인 가구↑
경제 성장 혜택↓, 개인 삶 궁핍화 ‘ 속도’
“소득수준 낮거나 자산축적 등 어려운 탓”
선별적 취약계층 등 고령층 지원 주문도

2052년이면 한국 사회는 전례 없는 고령화에 직면할 것으로 보입니다. 저출생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노인층 1인 가구가 늘어 80대 이상 가구주가 전체 가구의 5분의 1, 즉 5가구 중 1가구꼴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제는 성장하지만, 개인의 삶은 점점 더 궁핍해지는 역설적인 현실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2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장래가구추계 2022∼2052년'에 따르면 가구주 연령이 80살이 넘는 가구는 2022년 119만 4,000가구에서 2052년 487만 6,000가구로 늘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30년간 368만 2,000가구가 늘어, 그 규모가 4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80대 이상 가구는 2033년 205만 8,000가구로 200만을 넘어선 이후, 6년 만인 2039년 300만 6,000가구로 300만을 넘어설 것으로 봤습니다.
이어 6년 뒤인 2045년만 해도 405만 1,000가구로 400만을 웃돌면서 2052년 487만 6,000가구까지 증가세를 내다봤습니다.
2052년 전체 가구(2,327만 7,000가구)의 20.9%, 즉 5가구 중에 1가구 이상 가구주가 80대 이상이 차지할 것이란 얘기입니다.

전체 가구에서 80대 이상 가구의 비중은 2022년 5.5%였으나 2036년에 10%를 돌파해 2051년 20%대에 진입합니다.
80대가 2022년 108만 7,000가구에서 2052년 379만 2,000가구로 3배 이상으로 늘어나는 반면, 같은 기간 90대는 10만 6,000가구에서 105만 2,000가구로 늘어 10배 가량이 됩니다. 100살 이상도 2,000가구에서 3만 2,000가구로 증가합니다. 그만큼 고령층 가구주의 증가세가 가파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2052년에는 2차 베이비붐 세대(1964∼1974년생)도 대부분 나이대가 80대 이상에 달하는 데다 배우자 사별 등으로 인해 노인 1인 가구가 크게 늘어 가구주의 연령대가 크게 높아지는 게 주요인으로 풀이됩니다.
그 중에서도 노인 1인 가구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제로 2052년 기준으로 80대 이상 가구를 가구원 수별로 분석했더니, 1인 가구가 228만 5,000가구로 가장 많아 전체 1인 가구(962만 가구)의 23.8%에 달할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또 80대 이상 2인 가구도 200만 7,000가구로 많았습니다.
다만 3인(47만 3,000가구), 4인(9만 1,000가구), 5인 이상(2만 가구)은 상대적으로 적었습니다.
가구주 연령을 65살 이상으로 넓히게 되면 2052년 전체 가구의 절반에 달하는 1,178만 8,000가구로 전망됐습니다.
2052년 가구주의 중위연령대는 65.4살이었습니다.
반면 30대 이하 청년 가구주 수는 2022년 498만 8,000가구에서 2039년 300만 대 진입하고 2052년 274만 4,000가구까지 줄 것으로 추계됐습니다.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3.0%에서 11.8%로 감소했습니다.

특히나 이처럼 노인 1인 가구 비중 증가로 인한 인구 구조만 아니라, 이들 노인 가구가 빈곤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는 게 우려를 키우고 있습니다.
고령화 속에서도 노인의 소득과 자산형성이 부족해 노인 빈곤율이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2018년 기준 처분가능소득으로 계산한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은 43.4%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았습니다. 10명 중 4명 이상 빈곤에 시달린다는 얘기로, OECD 평균 노인 빈곤율(13.1%)보다 3배 상당 높았습니다.
더구나 이런 빈곤율이 시간이 지나면서 개선될 기미는 보이지 않고, 더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 역시도 심각성을 더합니다. 2052년이 되면 1인 가구의 23.8%가 80대 이상에 이를텐데, 이들이 과연 경제적 자립을 이루며 살아갈 수 있을지 걱정을 더하는 실정입니다.
이들의 경제적 기반이 탄탄하지 않다는 점 역시 문제로 꼽혔습니다. 1950년대 이전에 태어난 세대는 급속한 경제 성장을 경험했지만, 그 혜택을 충분히 누리지 못한 탓에 자산 축적이 어렵고, 국민연금 역시 충분치 않아 빈곤의 악순환을 가속화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승희 KDI(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난해 발표한 ‘노인빈곤에 관한 연구: 소득과 소비를 중심으로’ 보고서에서 “우리나라 노인빈곤율은 자산이나 소비를 추가로 고려해도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특히 출생 세대별로 나눠 분석한 결과 1950년 이전 출생 세대의 경우 빈곤율이 50%에 가깝지만 1950년 이후 출생 세대의 경우 빈곤율은 30% 이하로, 차이가 컸습니다. 40년대 후반 출생 세대 중에서도 72~76살 노인빈곤율은 44.5%에 그친 반면, 40년대 전반 출생 세대의 동일 나이대 노인빈곤율은 51.3%로, 노인들 사이에서도 더 늦게 태어난 세대일수록 이전 세대보다 빈곤 문제가 덜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1950년 이전 출생 세대의 경우 급속한 경제 성장의 혜택을 적게 받아 소득수준이 낮거나 자산 축적이 어려웠고, 국민연금의 가입 기간이 짧아 수령액이 적은 영향으로 분석했습니다.
이에 대해 또다른 전문가들은 “결국 노인을 부양할 젊은 세대는 줄고, 노인 가구가 늘어나는 악순환이 우려된다”라면서 “이는 누가 더 많은 세금을 내고, 누가 그 세금으로 혜택을 누리느냐의 문제를 촉발시키면서, ‘젊은 세대 부담만 키운다’는 식의 사회적 갈등을 증폭시킬 우려도 크다”라고 내다봤습니다.
이어 “가파른 고령화 속에서, 준비되지 않는 노후빈곤이 미칠 타격이 결코 남의 일이 아니”라면서 “이 문제는 결국 모두가 직면할 현실이다. 젊은 세대 역시도 노후를 대비하지 않으면 같은 운명에 빠질 수 있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라고 정책 단계에서, 중장기적인 고령화와 빈곤 문제 해소책을 서둘러줄 것을 주문했습니다.
이에 따라 노인빈곤 완화 정책을 선별적인 취약계층(저소득-저자산 고령층) 지원에 집중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관련해 이 연구위원은 “기초연금은 재산을 고려한 소득인정액이 일정 수준 이하인 고령층에게만 지급해야 한다”라면서 “기초연금에 투입했던 재원을 다른 노인복지 제도에 투입해 고령층의 삶의 질을 높여야 할 것”이라고 주문하기도 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