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애월읍 / 경작로 개설 전 위성사진
밭담을 경계로 농경지들이 옹기종기 모여있습니다.
도로가 연결되지 않은 이른바 맹지들입니다.
밭으로 가려면 열 곳이 넘는 주변 밭을 건너가야 할 정도로 접근이 어려웠습니다.
몇 년 전쯤에는 맹지로 통하던 길마저 토지주가 막으면서 소송까지 벌여야 했습니다.
장정윤 맹지 토지주
"차가 한대 들어오면 도저히 진입을 못했습니다. 상대방도 농사하기 때문에 그 사람이 일이 끝날 때까지 기다렸다가 하다 보니까 파종 시기도 늦어지고..."
'새완이' 농기계 경작로 / 오늘(24일) 오전
농경지 사이에 도로가 생겼습니다.
맹지 토지주들이 땅을 기부해 만든 농기계 경작로 입니다.
도로 폭 5.9m, 길이 516m로, 인근 토지주 15명이 기부 채납한 맹지 3,000여 ㎡가 포함됐습니다.
이번 경작로 개설로 19개 농가, 3만 6,000여 ㎡에 진입로가 생긴 겁니다.
홍세록 새완이농경로개설사업추진위원장
"농기계 트랙터 2대가 쌍방 교차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화물차도 여기를 달릴 수 있고, 정말 농사짓는 데 불편함이 없습니다."
지난해 농업 활동을 돕기 위해 기부채납 받은 맹지에 경작로를 개설할 수 있도록 하는 조례가 제정된 이후 첫 사례입니다.
농지소유자가 토지를 기부 채납하고, 길이 200m 이상, 5필지 이상이 편입되면 경작로를 개설할 수 있게 된 겁니다.
고태민 국민의힘 도의원
"농업 농촌 발전에 근간이 될 것이다. 농지 개발의 문제점도 있지만, 농사를 잘 지을 수 있도록 해주는 완화하는 정책이다 저는 생각합니다."
맹지로 인해 이웃 간 통행권 분쟁이 법정 다툼으로까지 번지는 현실에서,
맹지 토지주들이 십시일반 힘을 모아 경작로를 개설하는 사례는 더 늘어날 전망입니다.
JIBS 안수경입니다.
(영상취재 강명철)
JIBS 제주방송 안수경 (skan01@jibs.co.kr), 강명철 (kangjsp@naver.com)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면허값 2억 넘는데" 개인택시 보상은 1억 8천.. 감차 가능할까
- ∙ 10만원 넣으면 30만원 적립...'희망저축계좌' 가입자 모집 [모르면손해]
- ∙ 14㎏ 항아리로 女직원 '퍽퍽'.. 화장실 사용 막자 무차별 폭행
- ∙ "파라솔 2만원이라더니" 해수욕장 고무줄 요금 관광객 빈축
- ∙ “131만 원 돌려받는다”.. 2.8조 환급 시작, 그럼 나는 얼마나?
- ∙ 제주산 주문했더니, '포르투갈산'이 나왔다...삼겹살 2.2톤 속여 판 식당
- ∙ “동문시장보다 버스, 폭포보다 와이파이”.. 크루즈 37만, 시스템 채우면 “더 머물고 더 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