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도민연대 "道가 광주 학살지 조사해야"
지난 2019년 광주교도소에서 나온 신원불명의 유해 261구 중 한국전쟁 당시 광무형무소에서 목숨을 잃은 제주4·3 희생자의 유해가 포함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제주4·3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한 도민연대(4·3도민연대)는 오늘(23일) 제주자치도의회 도민카페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제주자치도가 4·3 당시 광주형무소에 수감됐다 희생된 제주도민들의 실태조사를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4·3도민연대에 따르면, 지난 2019년 광주광역시 문흥동 소재 옛 광주교도소 터에 있던 무연고자 공동묘지에 대한 감식이 이뤄졌습니다. 당시 감식은 5·18민주화운동 때 계엄군이 주둔했던 광주교도소가 5·18 행방불명자의 암매장된 장소로 지목되면서 진행됐습니다.
감식 결과, 무연고자 묘지 내 합장묘 1곳에서 신원 미상의 유골 261기가 발견됐습니다. 그런데 유골에서 5·18 관련 행불자와의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4·3도민연대는 이 유골들이 4·3때 광주형무소에 끌려갔다가 옥사한 제주도 출신 수형인일 개연성이 크다고 주장했습니다.
당시 재판 기록에 따르면 최소 179명의 제주도민이 재판을 받고 광주형무소에 수감됐습니다. 광무형무소는 4·3이 발발한 이후 제주사람들이 처음으로 수감된 육지부 형무소입니다.
한국전쟁 발발 초기인 1950년 7월께 당시 광주형무소엔 약 3천 명의 수감자가 있었는데 전황이 불리해지자 퇴각하던 자국 군경에 의해 인근 골짜기 등으로 끌려가 학살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당시 수감됐다가 행방불명 된 제주도민도 이 당시 휘말린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이번에 언급된 유골은 옥에서 숨은 거둔 수형인들의 유해일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입니다.
당시 광주 동명동에 있던 광주형무소는 1971년 유골이 발굴된 광주교도소로 자리를 옮기는데, 이때 광주형무소에 있던 무연고자 합장묘도 함께 옮겨진 것으로 보인다고 4·3도민연대는 설명했습니다.
4·3도민연대는 "광주 학살지는 현재까지 한 번도 제대로 실태 조사가 진행된 적이 없다"라며 "제주자치도가 광주시와의 적극적인 협업을 통해 감식된 261구의 유골의 정보를 공유받고 4·3 희생자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를 위해 감식이 이뤄진 유골에 대한 유전자 정보를 확보하고, 광주형무소 수형인의 유족에 대한 채혈을 해야한다고 했습니다.
또 "한국전쟁 당시 광주 곳곳에서 학살이 자행된 곳에 대한 실태조사와 유해발굴이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단체가 지목한 학살터는 민간 차원에서만 조사가 이뤄진 △장구봉 △불공고개 △도동고개 △밀양(학동) △한두재 등 5곳이었습니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은 4·3 당시 광주형무소에 끌려갔다가 행방불명된 희생자의 유족이 참석해 억울함을 토로했습니다. 이들은 "아버지 얼굴도 모른 채 자랐다"며 "죄가 있다면 그 만큼의 벌을 받으면 되는 것이지 왜 국가에서 사람을 죽였는지 모르겠다. 죽기 전에 아버지가 어디서, 어떻게 돌아가셨고 알고 싶다. 유골도 꼭 찾고 싶다"고 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신동원 (dongwon@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23일) 열린 제주4·3도민연대 기자회견에서 양동윤 도민연대 대표가 발언하는 모습. (사진, 신동원 기자)
지난 2019년 광주교도소에서 나온 신원불명의 유해 261구 중 한국전쟁 당시 광무형무소에서 목숨을 잃은 제주4·3 희생자의 유해가 포함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제주4·3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한 도민연대(4·3도민연대)는 오늘(23일) 제주자치도의회 도민카페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제주자치도가 4·3 당시 광주형무소에 수감됐다 희생된 제주도민들의 실태조사를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4·3도민연대에 따르면, 지난 2019년 광주광역시 문흥동 소재 옛 광주교도소 터에 있던 무연고자 공동묘지에 대한 감식이 이뤄졌습니다. 당시 감식은 5·18민주화운동 때 계엄군이 주둔했던 광주교도소가 5·18 행방불명자의 암매장된 장소로 지목되면서 진행됐습니다.
감식 결과, 무연고자 묘지 내 합장묘 1곳에서 신원 미상의 유골 261기가 발견됐습니다. 그런데 유골에서 5·18 관련 행불자와의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4·3도민연대는 이 유골들이 4·3때 광주형무소에 끌려갔다가 옥사한 제주도 출신 수형인일 개연성이 크다고 주장했습니다.
당시 재판 기록에 따르면 최소 179명의 제주도민이 재판을 받고 광주형무소에 수감됐습니다. 광무형무소는 4·3이 발발한 이후 제주사람들이 처음으로 수감된 육지부 형무소입니다.
한국전쟁 발발 초기인 1950년 7월께 당시 광주형무소엔 약 3천 명의 수감자가 있었는데 전황이 불리해지자 퇴각하던 자국 군경에 의해 인근 골짜기 등으로 끌려가 학살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당시 수감됐다가 행방불명 된 제주도민도 이 당시 휘말린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이번에 언급된 유골은 옥에서 숨은 거둔 수형인들의 유해일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입니다.

광주광역시 동명동 소재 광주형무소 옛터. 현재는 주택가가 들어서 있다. (사진, 제주4·3기념사업위원회)
당시 광주 동명동에 있던 광주형무소는 1971년 유골이 발굴된 광주교도소로 자리를 옮기는데, 이때 광주형무소에 있던 무연고자 합장묘도 함께 옮겨진 것으로 보인다고 4·3도민연대는 설명했습니다.
4·3도민연대는 "광주 학살지는 현재까지 한 번도 제대로 실태 조사가 진행된 적이 없다"라며 "제주자치도가 광주시와의 적극적인 협업을 통해 감식된 261구의 유골의 정보를 공유받고 4·3 희생자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를 위해 감식이 이뤄진 유골에 대한 유전자 정보를 확보하고, 광주형무소 수형인의 유족에 대한 채혈을 해야한다고 했습니다.
또 "한국전쟁 당시 광주 곳곳에서 학살이 자행된 곳에 대한 실태조사와 유해발굴이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단체가 지목한 학살터는 민간 차원에서만 조사가 이뤄진 △장구봉 △불공고개 △도동고개 △밀양(학동) △한두재 등 5곳이었습니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은 4·3 당시 광주형무소에 끌려갔다가 행방불명된 희생자의 유족이 참석해 억울함을 토로했습니다. 이들은 "아버지 얼굴도 모른 채 자랐다"며 "죄가 있다면 그 만큼의 벌을 받으면 되는 것이지 왜 국가에서 사람을 죽였는지 모르겠다. 죽기 전에 아버지가 어디서, 어떻게 돌아가셨고 알고 싶다. 유골도 꼭 찾고 싶다"고 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신동원 (dongwon@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55만 원 준다더니, 쓸 데가 없다?”.. 정부 소비쿠폰, 왜 마트·배달앱은 막았나
- ∙ 밭일 나가 연락 끊긴 80대.. 폭염 속 11시간 동안 경운기에 깔려 있었다
- ∙ “비행기는 넘쳤는데, 왜 사람은 줄었나” 제주 하늘길의 역설.. 이젠 ‘남는 시간’이 아니라 ‘머무는 이유’를 묻는다
- ∙ '전 국민 민생지원금 신청' 눌렀는데 유료 서비스 가입.. 방통위 "기만 행위"
- ∙ 4호 태풍 '다나스' 곧 발생.. 제주 영향 촉각
- ∙ "안에 계세요?" 뱀 나오는 덤불에 파묻힌 집.. 설득 후 이틀 치웠더니 폐기물만 10톤
- ∙ “계엄령도 지시도 없었다?”.. 尹, 9시간 조사 끝 부인 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