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해제 표결 불참 이유 두고 논란.. 민주당, ‘책임 회피’ 비판
담 넘은 동료 의원들↔당사 향한 나경원.. 국민, ‘책임 정치’ 요구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 12·3 계엄 사태 당시 국회에 진입하지 못한 이유를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 탓으로 돌리면서 파문이 일고 있습니다.
19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현안질의에서 나 의원은 “민주당 의원들은 어떻게 일찍 들어왔는지 몰라도, 우리 당 의원들은 국회 진입을 시도할 때 민주당 지지자들이 국회를 모두 포위하고 있었다”라고 발언하면서 야당의 격렬한 반발을 샀습니다.
문제의 발언은 비상계엄 해제 표결 당시의 상황을 두고 나온 것으로, 나 의원은 “일부 의원들은 경내로 진입하려다가 민주당 지지자들의 심한 욕설에 당사로 복귀했다”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당시 국민의힘 내부 단체 대화방에서조차 명확히 반박되는 부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당시 경찰의 국회 폐쇄 조치와 계엄군의 진입이 주요 원인이었다는 기록이 다수 남아있는 탓입니다.
■ “담 넘은 의원들, 당사로 향한 나경원.. 같은 상황 다른 선택”
실제 비상계엄 해제 표결에 참여한 국민의힘 의원 중 18명은 담을 넘거나 다른 경로를 통해 국회에 진입한 것으로 확인됩니다.
같은 당 박수민 의원은 4일 오전 12시 4분 “담을 타고 국회에 들어갔다”라는 메시지를 남기며 진입 성공을 알렸습니다. 반면 나경원 의원을 포함한 일부 의원들은 국회 대신 당사를 택해 대통령실에 해제 요구 의사를 전달했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 경찰의 폐쇄 조치와 계엄군의 위헌적 행태가 아닌, 특정 정치 세력의 지지자들을 이유로 국회에 진입하지 못했다고 밝힌 것은 논란의 불씨가 됐습니다. 여야 할 것 없이 모든 의원이 위험을 감수하고 국회에 모였던 당시 상황에서 나 의원의 발언은 ‘책임 회피’로 비쳐질 여지가 큽니다.
■ “국민 때문인가? 국민 탓인가?”
김한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같은 나경원 의원 발언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그는 자신의 SNS를 통해 “계엄군을 막으려 목숨 걸고 국회를 지킨 국민들 덕분에 지금 나 의원이 상임위에서 발언할 수 있는 것”이라며, “국민 탓을 한다는 것이 참담하다”라고 밝혔습니다.
야권 의원들은 “국민이 아니라 국회의 책임이 우선”이라는 입장을 강조하며, 나 의원의 발언이 당시의 본질을 흐리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국회 내에서도 나 의원의 발언은 국민적 공감대를 저버린 것이란 비판이 제기됩니다. “담 넘는 것도 국회의원들의 책임과 의지”라며 “국회의원은 그날 국민과 헌법을 위해 위험을 무릅쓰고 행동해야 했던 자리”라는 의견이 다수였습니다.
■ “책임 있는 정치, 국민의 신뢰를 얻기 위한 자세는 무엇”
나경원 의원의 발언은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논란의 중심이 되고 있습니다. 단체 대화방에는 경찰 통제로 인해 국회 진입이 어렵다는 메시지가 다수 올라왔음에도, 계엄 사태의 책임을 타 정당 지지자들에게 전가하는 듯한 태도가 적절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은 치열한 권력 경쟁과 경제적 위기의 교차로에 서 있는 양상입니다.
나아가 이번 논란은 과거를 둘러싼 해석 차원을 넘어, 앞으로 정치권이 국민의 신뢰를 얻기 위해 어떤 자세를 보여야 할지를 묻는 시험대라는 시각도 나옵니다.
한 정치권 인사는 “국민은 변명이 아니라 책임을 요구하고 있다”라며, “비상계엄 해제와 탄핵 절차라는 역사적 순간에서 정치인들이 보여준 선택은 단순히 그날의 행동에만 그치지 않고, 오랫동안 국민의 기억 속에 자리할 수밖에 없다”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나 의원의 이번 발언이 그 선택의 가치를 퇴색시키는 또 다른 논란으로 남을지, 아니면 정치권의 성찰과 변화를 이끄는 계기가 될지는 더 지켜볼 일”이라며, 정치적 책임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담 넘은 동료 의원들↔당사 향한 나경원.. 국민, ‘책임 정치’ 요구

윤석열 대통령이 3일 밤 비상계엄 선포를 한 가운데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문에서 계엄군이 국회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SBS 캡처)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 12·3 계엄 사태 당시 국회에 진입하지 못한 이유를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 탓으로 돌리면서 파문이 일고 있습니다.
19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현안질의에서 나 의원은 “민주당 의원들은 어떻게 일찍 들어왔는지 몰라도, 우리 당 의원들은 국회 진입을 시도할 때 민주당 지지자들이 국회를 모두 포위하고 있었다”라고 발언하면서 야당의 격렬한 반발을 샀습니다.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 SNS 일부 (본인 페이스북 캡처)
문제의 발언은 비상계엄 해제 표결 당시의 상황을 두고 나온 것으로, 나 의원은 “일부 의원들은 경내로 진입하려다가 민주당 지지자들의 심한 욕설에 당사로 복귀했다”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당시 국민의힘 내부 단체 대화방에서조차 명확히 반박되는 부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당시 경찰의 국회 폐쇄 조치와 계엄군의 진입이 주요 원인이었다는 기록이 다수 남아있는 탓입니다.
■ “담 넘은 의원들, 당사로 향한 나경원.. 같은 상황 다른 선택”
실제 비상계엄 해제 표결에 참여한 국민의힘 의원 중 18명은 담을 넘거나 다른 경로를 통해 국회에 진입한 것으로 확인됩니다.
같은 당 박수민 의원은 4일 오전 12시 4분 “담을 타고 국회에 들어갔다”라는 메시지를 남기며 진입 성공을 알렸습니다. 반면 나경원 의원을 포함한 일부 의원들은 국회 대신 당사를 택해 대통령실에 해제 요구 의사를 전달했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 경찰의 폐쇄 조치와 계엄군의 위헌적 행태가 아닌, 특정 정치 세력의 지지자들을 이유로 국회에 진입하지 못했다고 밝힌 것은 논란의 불씨가 됐습니다. 여야 할 것 없이 모든 의원이 위험을 감수하고 국회에 모였던 당시 상황에서 나 의원의 발언은 ‘책임 회피’로 비쳐질 여지가 큽니다.

김한규 더불어민주당 의원 SNS 일부 (본인 페이스북 캡처)
■ “국민 때문인가? 국민 탓인가?”
김한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같은 나경원 의원 발언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그는 자신의 SNS를 통해 “계엄군을 막으려 목숨 걸고 국회를 지킨 국민들 덕분에 지금 나 의원이 상임위에서 발언할 수 있는 것”이라며, “국민 탓을 한다는 것이 참담하다”라고 밝혔습니다.
야권 의원들은 “국민이 아니라 국회의 책임이 우선”이라는 입장을 강조하며, 나 의원의 발언이 당시의 본질을 흐리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국회 내에서도 나 의원의 발언은 국민적 공감대를 저버린 것이란 비판이 제기됩니다. “담 넘는 것도 국회의원들의 책임과 의지”라며 “국회의원은 그날 국민과 헌법을 위해 위험을 무릅쓰고 행동해야 했던 자리”라는 의견이 다수였습니다.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
■ “책임 있는 정치, 국민의 신뢰를 얻기 위한 자세는 무엇”
나경원 의원의 발언은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논란의 중심이 되고 있습니다. 단체 대화방에는 경찰 통제로 인해 국회 진입이 어렵다는 메시지가 다수 올라왔음에도, 계엄 사태의 책임을 타 정당 지지자들에게 전가하는 듯한 태도가 적절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은 치열한 권력 경쟁과 경제적 위기의 교차로에 서 있는 양상입니다.
나아가 이번 논란은 과거를 둘러싼 해석 차원을 넘어, 앞으로 정치권이 국민의 신뢰를 얻기 위해 어떤 자세를 보여야 할지를 묻는 시험대라는 시각도 나옵니다.
한 정치권 인사는 “국민은 변명이 아니라 책임을 요구하고 있다”라며, “비상계엄 해제와 탄핵 절차라는 역사적 순간에서 정치인들이 보여준 선택은 단순히 그날의 행동에만 그치지 않고, 오랫동안 국민의 기억 속에 자리할 수밖에 없다”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나 의원의 이번 발언이 그 선택의 가치를 퇴색시키는 또 다른 논란으로 남을지, 아니면 정치권의 성찰과 변화를 이끄는 계기가 될지는 더 지켜볼 일”이라며, 정치적 책임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