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의원 불참 속 계엄 해제 표결 진행
‘책임론’ 확산..신동욱 “투표 불참 유감”에도
강유정 의원에 사과 요구.. 논란 ‘심화’
문체위 파행.. 국민의힘 대응은 실종
12월 3일의 비상계엄 사태와 그 해제를 둘러싼 논란이 국회의 무능을 드러내는 상징적 사건으로 번지고 있습니다.
특히나 국민의힘 의원들이 계엄 해제 표결에 불참하며 논란을 키운 가운데, 이를 둘러싼 책임 공방이 정치적 후폭풍을 낳고 있습니다.
특히 신동욱 국민의힘 의원의 행적이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신 의원은 본회의장에 있었음에도 표결에 참여하지 않았고, 이를 두고 강유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헌정을 위협하는 행위”라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20일 국회에서 열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긴급현안질의에서 신 의원은 “정치공세와 인신공격”이라고 반발했지만, 표결 불참에 대한 책임 회피 논란은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
■ “국민의힘, 책임 회피로 일관”… 비난 여론 확산
신동욱 의원은 20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표결에 참여하지 못한 점은 유감”이라면서도 강 의원의 비판을 “정치공세”로 규정하며 사과를 요구했습니다.
그러나 국민의힘 소속 의원들이 계엄 해제라는 중대한 결정에 집단적으로 불참한 점에 대해 명확한 해명이나 사과 없이 공방으로 대응한 것은 국민적 실망을 키우고 있는 게 현실이기도 합니다.
계엄 해제 표결에 여당 의원 일부가 불참했다는 민주당의 지적에 국민의힘은 격렬히 반발하며 회의장을 떠난 게 전부였습니다.
정치권에서는 국민의힘의 태도가 비판의 중심이 되고 있습니다.
민주당 측은 “국민의힘 의원들이 당시 표결에 불참한 것은 명백히 헌정 질서를 위협하는 행위”라며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한 야권 의원은 “국회가 민주주의의 최후 보루라지만, 국민의힘은 이를 스스로 무너뜨리는 행동을 했다”라고 꼬집기도 했습니다.
■ 유인촌 장관, 사퇴 의사 표명… “계엄은 있어선 안 될 일”
한편, 유인촌 문체부 장관은 계엄 선포와 해제 과정을 두고 “있어서는 안 될 일”이라며 현 정부의 계엄 선포를 비판했습니다.
그러나 정작 내란죄나 위헌성에 대한 질문에는 답변을 회피해 또 다른 논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유 장관은 “사퇴하겠다”라는 입장을 밝혔지만, 당장 물러나지 않는 이유로 “국무회의 유지가 필요하다”라는 현실적인 이유를 들었습니다. 이를 두고 민주당은 “책임을 회피하려는 핑계”라며 압박을 이어갔습니다.
■ 국민적 신뢰 잃는 국민의힘, 정치적 파장 불가피
이번 사태는 국민의힘이 국민적 신뢰를 잃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특히, 국민의힘 의원들이 계엄 해제 표결 과정에서 보여준 집단적 무책임은 “정치적 기회주의”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는 시각도 제기됩니다.
한 정치 전문가는 “계엄 해제라는 민주주의의 중대한 순간에 국민의힘은 책임을 다하기는커녕, 표결 불참과 책임 회피로 일관하며 정치적 논란만 키웠다”라면서, “이 같은 태도가 결국 당 전체의 신뢰를 떨어뜨릴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 계엄 해제 논란, 국민은 묻고 있다 “국민의힘은 무엇을 했는가”
비상계엄 해제라는 역사적 순간에서 국민의힘이 보여준 행동은 그저 실수가 아니라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표결에 불참하고 책임을 회피한 행동은 국민의 정치 불신을 키웠으며, 급기야 이러한 무책임이 지속된다면 당 전체에 정치적 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 역시도 안팎에서 불거지는 실정입니다.
“계엄 해제를 방치하고도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을까?”라는 국민적 물음은 국민의힘이 회피할 수 없는 질문으로 남아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 여전히 국민은 묻고 있습니다. “책임 없는 정치는 과연 무엇을 위한 것인가?”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책임론’ 확산..신동욱 “투표 불참 유감”에도
강유정 의원에 사과 요구.. 논란 ‘심화’
문체위 파행.. 국민의힘 대응은 실종

윤석열 대통령이 3일 밤 비상계엄 선포를 한 가운데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문에서 계엄군이 국회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SBS 캡처)
12월 3일의 비상계엄 사태와 그 해제를 둘러싼 논란이 국회의 무능을 드러내는 상징적 사건으로 번지고 있습니다.
특히나 국민의힘 의원들이 계엄 해제 표결에 불참하며 논란을 키운 가운데, 이를 둘러싼 책임 공방이 정치적 후폭풍을 낳고 있습니다.

강유정 더불어민주당 의원 (SBS 캡처)
특히 신동욱 국민의힘 의원의 행적이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신 의원은 본회의장에 있었음에도 표결에 참여하지 않았고, 이를 두고 강유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헌정을 위협하는 행위”라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신동욱 국민의힘 의원 (SBS 캡처)
20일 국회에서 열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긴급현안질의에서 신 의원은 “정치공세와 인신공격”이라고 반발했지만, 표결 불참에 대한 책임 회피 논란은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
■ “국민의힘, 책임 회피로 일관”… 비난 여론 확산
신동욱 의원은 20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표결에 참여하지 못한 점은 유감”이라면서도 강 의원의 비판을 “정치공세”로 규정하며 사과를 요구했습니다.

신동욱 의원은 20일 페이스북에 “비상계엄 해제 투표에 참여하지 못한 점에 유감을 표한다”라면서도, 강유정 의원의 발언을 “정치공세와 인신공격”으로 규정하며 사과를 촉구했다. (신동욱 의원 페이스북(중간 생략))
그러나 국민의힘 소속 의원들이 계엄 해제라는 중대한 결정에 집단적으로 불참한 점에 대해 명확한 해명이나 사과 없이 공방으로 대응한 것은 국민적 실망을 키우고 있는 게 현실이기도 합니다.
계엄 해제 표결에 여당 의원 일부가 불참했다는 민주당의 지적에 국민의힘은 격렬히 반발하며 회의장을 떠난 게 전부였습니다.
정치권에서는 국민의힘의 태도가 비판의 중심이 되고 있습니다.
민주당 측은 “국민의힘 의원들이 당시 표결에 불참한 것은 명백히 헌정 질서를 위협하는 행위”라며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한 야권 의원은 “국회가 민주주의의 최후 보루라지만, 국민의힘은 이를 스스로 무너뜨리는 행동을 했다”라고 꼬집기도 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3일 밤 비상계엄 선포를 한 가운데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문에서 계엄군이 국회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SBS 캡처)
■ 유인촌 장관, 사퇴 의사 표명… “계엄은 있어선 안 될 일”
한편, 유인촌 문체부 장관은 계엄 선포와 해제 과정을 두고 “있어서는 안 될 일”이라며 현 정부의 계엄 선포를 비판했습니다.
그러나 정작 내란죄나 위헌성에 대한 질문에는 답변을 회피해 또 다른 논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유 장관은 “사퇴하겠다”라는 입장을 밝혔지만, 당장 물러나지 않는 이유로 “국무회의 유지가 필요하다”라는 현실적인 이유를 들었습니다. 이를 두고 민주당은 “책임을 회피하려는 핑계”라며 압박을 이어갔습니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SBS 캡처)
■ 국민적 신뢰 잃는 국민의힘, 정치적 파장 불가피
이번 사태는 국민의힘이 국민적 신뢰를 잃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특히, 국민의힘 의원들이 계엄 해제 표결 과정에서 보여준 집단적 무책임은 “정치적 기회주의”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는 시각도 제기됩니다.
한 정치 전문가는 “계엄 해제라는 민주주의의 중대한 순간에 국민의힘은 책임을 다하기는커녕, 표결 불참과 책임 회피로 일관하며 정치적 논란만 키웠다”라면서, “이 같은 태도가 결국 당 전체의 신뢰를 떨어뜨릴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 계엄 해제 논란, 국민은 묻고 있다 “국민의힘은 무엇을 했는가”
비상계엄 해제라는 역사적 순간에서 국민의힘이 보여준 행동은 그저 실수가 아니라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표결에 불참하고 책임을 회피한 행동은 국민의 정치 불신을 키웠으며, 급기야 이러한 무책임이 지속된다면 당 전체에 정치적 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 역시도 안팎에서 불거지는 실정입니다.
“계엄 해제를 방치하고도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을까?”라는 국민적 물음은 국민의힘이 회피할 수 없는 질문으로 남아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 여전히 국민은 묻고 있습니다. “책임 없는 정치는 과연 무엇을 위한 것인가?”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