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길 막은 철새, 사고 실마리 될까?
복행·동체 착륙.. 숨막혔던 ‘4분 7초’
블랙박스가 멈춘 그 순간.. 진실은?
지난해 12월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와 관련해,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한 첫 번째 예비보고서가 27일 공개됐습니다.
이날,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는 사고 발생 30일째를 맞아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와 사고 관련국에 예비보고서를 제출했다고 밝혔습니다. 보고서는 사고의 초기 조사 내용을 담아 국제민간항공협약 규정에 따라 사고 발생 30일 이내에 공유하도록 의무화된 문서입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사고기는 무안공항 활주로로부터 약 2km 떨어진 해상에서 블랙박스 기록이 갑작스럽게 멈췄습니다. 기록이 중단된 시각은 오전 8시 58분 50초로, 충돌 사고가 발생하기 약 4분 전이었습니다. 해당 시점에서 항공기는 시속 약 298km의 속도로 낮게 비행 중이었으며, 고도는 151m에 불과했습니다.
■ 엔진에 빨려든 가창오리, 사고의 도화선?
예비조사 결과, 사고 당시 겨울 철새인 가창오리가 양쪽 엔진에 빨려 들어간 흔적이 발견됐습니다. 엔진 내부에서 가창오리의 깃털과 혈흔이 확인되었지만, 정확한 충돌 시점과 조류의 개체 수는 추가 분석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사조위는 “충돌한 조류의 종류가 가창오리뿐인지, 추가적인 조류가 포함되었는지도 조사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조류 충돌은 항공기 사고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엔진 고장뿐만 아니라 비행기 전자 장비와 블랙박스의 기능 이상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이번 사고에서 블랙박스 기록이 조류 충돌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는 향후 정밀 분석을 통해 밝혀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긴박했던 4분, 비상 선언과 동체 착륙의 전말은?
블랙박스 기록이 끊긴 지 6초 후, 기장의 긴박한 메이데이(Mayday) 선언이 이어졌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장은 즉시 고도를 높이는 복행을 시도했으나, 활주로 반대 방향으로 선회하며 동체 착륙을 감행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최종적으로 사고기는 착륙장치가 내려오지 않은 상태에서 19번 활주로에 동체 착륙하며 흙더미에 파묻혔습니다.
■ 사고 원인 규명, “아직 갈 길 멀어”
사조위는 조류 충돌, 엔진 분해, 블랙박스 자료 분석, 관제 기록 검토 등 다각적인 조사를 통해 명확한 사고 원인을 규명하겠다는 방침입니다. 특히 조사 과정에서 발견된 안전상의 문제에 대해 긴급 안전권고를 발행할 계획입니다.
■ 흙더미 속 진실, 엔진과 블랙박스가 말해줄까?
예비보고서는 사고 현장의 참상을 생생히 보여주는 사진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흙더미에 묻힌 양쪽 엔진과 기체의 처참한 상태는 사고의 충격을 고스란히 담아내고 있습니다.
사조위는 “엔진의 면밀한 분해와 정밀 검사를 통해 사고 원인을 철저히 규명할 것”이라며, “예비보고서는 초기 분석 결과에 불과하며, 최종 보고서에서는 보다 구체적이고 정확한 내용을 반영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모든 조사 과정을 공정하고 투명하게 진행해 사고의 원인을 명확히 밝히고, 다시는 이러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이라고 덧붙였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복행·동체 착륙.. 숨막혔던 ‘4분 7초’
블랙박스가 멈춘 그 순간.. 진실은?

사고 제주항공 여객기의 총 비행경로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의 예비보고서)
지난해 12월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와 관련해,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한 첫 번째 예비보고서가 27일 공개됐습니다.
이날,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는 사고 발생 30일째를 맞아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와 사고 관련국에 예비보고서를 제출했다고 밝혔습니다. 보고서는 사고의 초기 조사 내용을 담아 국제민간항공협약 규정에 따라 사고 발생 30일 이내에 공유하도록 의무화된 문서입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사고기는 무안공항 활주로로부터 약 2km 떨어진 해상에서 블랙박스 기록이 갑작스럽게 멈췄습니다. 기록이 중단된 시각은 오전 8시 58분 50초로, 충돌 사고가 발생하기 약 4분 전이었습니다. 해당 시점에서 항공기는 시속 약 298km의 속도로 낮게 비행 중이었으며, 고도는 151m에 불과했습니다.

비행기록장치의 기록 중단 지점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의 예비보고서)
■ 엔진에 빨려든 가창오리, 사고의 도화선?
예비조사 결과, 사고 당시 겨울 철새인 가창오리가 양쪽 엔진에 빨려 들어간 흔적이 발견됐습니다. 엔진 내부에서 가창오리의 깃털과 혈흔이 확인되었지만, 정확한 충돌 시점과 조류의 개체 수는 추가 분석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사조위는 “충돌한 조류의 종류가 가창오리뿐인지, 추가적인 조류가 포함되었는지도 조사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조류 충돌은 항공기 사고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엔진 고장뿐만 아니라 비행기 전자 장비와 블랙박스의 기능 이상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이번 사고에서 블랙박스 기록이 조류 충돌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는 향후 정밀 분석을 통해 밝혀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위부터) 운항승무원 비행 경력, 무안국제공항의 2024년 12월 29일 오전 9시 정시기상관측정보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의 예비보고서)
■ 긴박했던 4분, 비상 선언과 동체 착륙의 전말은?
블랙박스 기록이 끊긴 지 6초 후, 기장의 긴박한 메이데이(Mayday) 선언이 이어졌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장은 즉시 고도를 높이는 복행을 시도했으나, 활주로 반대 방향으로 선회하며 동체 착륙을 감행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최종적으로 사고기는 착륙장치가 내려오지 않은 상태에서 19번 활주로에 동체 착륙하며 흙더미에 파묻혔습니다.
■ 사고 원인 규명, “아직 갈 길 멀어”
사조위는 조류 충돌, 엔진 분해, 블랙박스 자료 분석, 관제 기록 검토 등 다각적인 조사를 통해 명확한 사고 원인을 규명하겠다는 방침입니다. 특히 조사 과정에서 발견된 안전상의 문제에 대해 긴급 안전권고를 발행할 계획입니다.

사고 제주항공 여객기의 FDR(비행기록장치) (국토교통부 제공)
■ 흙더미 속 진실, 엔진과 블랙박스가 말해줄까?
예비보고서는 사고 현장의 참상을 생생히 보여주는 사진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흙더미에 묻힌 양쪽 엔진과 기체의 처참한 상태는 사고의 충격을 고스란히 담아내고 있습니다.
사조위는 “엔진의 면밀한 분해와 정밀 검사를 통해 사고 원인을 철저히 규명할 것”이라며, “예비보고서는 초기 분석 결과에 불과하며, 최종 보고서에서는 보다 구체적이고 정확한 내용을 반영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모든 조사 과정을 공정하고 투명하게 진행해 사고의 원인을 명확히 밝히고, 다시는 이러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무안국제공항의 로컬라이저 (SBS 캡처)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