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덕 "9년 약속 안 지키는 일본 정부...이미 예견된 일"
일본 정부의 군함도 역사 왜곡이 고쳐지지 않는 가운데 서경덕 성신여자대학교 교수가 "대일 외교 전략을 바꿔야 한다"라고 목소리를 냈습니다.
한국 홍보 전문가로 알려진 서 교수는 이날 본인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일본이 9년 전 군함도를 세계유산으로 등재할 때 강제동원한 역사를 충분히 반영하기로 한 약속을 아직까지 이행하지 않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서 교수에 따르면, 유네스코 측이 '전체 역사를 반영하라'고 시정요구를 했지만, 지난달 31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공개한 일본의 유산 관련 후속조치 보고서에는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그는 이에 대해 "이미 예견된 일"이라며, "군함도 전체 역사를 알리겠다고 만든 산업유산정보센터(군함도 전시관)를 군함도에서 1,000km 떨어진 도쿄에 세울 때부터 알아봤다"라고 했습니다.
서 교수는 이와 관련해 세 가지 문제점을 지적했습니다.
그는 "이 군함도 전시관의 첫 번째 문제점은 찾아가기도 쉽지 않다는 점"이라고 했습니다.
이어 "대로변에 위치한 것이 아니라 후미진 곳에 위치하고 있어 접근성이 매우 떨어진다"라며, "이는 일본 정부가 이 시설에 대해 무언가 떳떳하지 못한 상황이라는 점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두 번째 문제점은 내부 전시물에 대한 사진과 영상은 절대로 찍을 수가 없다는 점"이라며, "이는 전시물이 외부로 유출돼 왜곡된 상황이 널리 알려질까봐 두려운 마음에 행한 조치라고 판단된다"라고 주장했습니다.
마지막으론 "가장 중요한 세 번째 문제점은 조선인 강제동원, 심각한 차별 등 피해자들이 군함도에서 겪었던 참혹한 역사적 사실을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라고 짚었습니다.
서 교수는 "지난 9년 동안 일본에게 속아 왔다"라며, "그렇다면 이젠 대일 외교 전략을 바꿔야만 할 것이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건 강제동원 역사에 대한 우리 국민들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할 때이다"라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하시마 탄광으로 불리는 군함도는 일제강점기 조선인 600여 명이 끌려가 상당수가 익사나 질병, 탄광사고 등으로 숨진 것으로 알려진 곳입니다.
JIBS 제주방송 신동원 (dongwon@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군함도 (서경덕 교수 제공)
일본 정부의 군함도 역사 왜곡이 고쳐지지 않는 가운데 서경덕 성신여자대학교 교수가 "대일 외교 전략을 바꿔야 한다"라고 목소리를 냈습니다.
한국 홍보 전문가로 알려진 서 교수는 이날 본인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일본이 9년 전 군함도를 세계유산으로 등재할 때 강제동원한 역사를 충분히 반영하기로 한 약속을 아직까지 이행하지 않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서 교수에 따르면, 유네스코 측이 '전체 역사를 반영하라'고 시정요구를 했지만, 지난달 31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공개한 일본의 유산 관련 후속조치 보고서에는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그는 이에 대해 "이미 예견된 일"이라며, "군함도 전체 역사를 알리겠다고 만든 산업유산정보센터(군함도 전시관)를 군함도에서 1,000km 떨어진 도쿄에 세울 때부터 알아봤다"라고 했습니다.

군함도 전시관(서경덕 교수 제공)
서 교수는 이와 관련해 세 가지 문제점을 지적했습니다.
그는 "이 군함도 전시관의 첫 번째 문제점은 찾아가기도 쉽지 않다는 점"이라고 했습니다.
이어 "대로변에 위치한 것이 아니라 후미진 곳에 위치하고 있어 접근성이 매우 떨어진다"라며, "이는 일본 정부가 이 시설에 대해 무언가 떳떳하지 못한 상황이라는 점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두 번째 문제점은 내부 전시물에 대한 사진과 영상은 절대로 찍을 수가 없다는 점"이라며, "이는 전시물이 외부로 유출돼 왜곡된 상황이 널리 알려질까봐 두려운 마음에 행한 조치라고 판단된다"라고 주장했습니다.
마지막으론 "가장 중요한 세 번째 문제점은 조선인 강제동원, 심각한 차별 등 피해자들이 군함도에서 겪었던 참혹한 역사적 사실을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라고 짚었습니다.
서 교수는 "지난 9년 동안 일본에게 속아 왔다"라며, "그렇다면 이젠 대일 외교 전략을 바꿔야만 할 것이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건 강제동원 역사에 대한 우리 국민들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할 때이다"라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하시마 탄광으로 불리는 군함도는 일제강점기 조선인 600여 명이 끌려가 상당수가 익사나 질병, 탄광사고 등으로 숨진 것으로 알려진 곳입니다.
JIBS 제주방송 신동원 (dongwon@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尹, 비상 계엄 직권남용 혐의로 추가 기소..검찰 보완 수사 후 추가로 재판 넘겨
- ∙︎ “정년 연장” 띄운 이재명.. 이번엔, ‘일하는 전 국민’이 대상이다
- ∙︎ "어버이날 용돈 줄여야겠네요"...지난해 보다 8만원 줄어
- ∙︎ “김정숙 여사 옷값, 특활비였나” 尹·文 모두 압수수색.. 전·현직 영부인, 동시에 수사 선상에
- ∙︎ ‘42%’ 이재명 독주 속.. 보수는 삼두마차? “한덕수 등장에 흔들리는 판세”
- ∙︎ “무죄여도 무자격”.. 이재명·한덕수, 대선판 뒤흔드는 ‘정치 자격’ 충돌
- ∙︎ “‘현무암의 섬’이라더니”.. 한라산 모세왓, 제주서 처음 드러난 ‘밝은 화산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