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상 60일째인 6월 3일, 대선일로 사실상 굳어져
같은 날 예정된 수능 모의평가, 교육부 ‘연기 검토’ 공식화
수험생·입시 현장 혼란 불가피.. “일정 재편 초읽기”
6월 3일, 대통령 선거와 수능 모의평가가 동시에 예정되면서 일정 충돌이 불가피해졌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인한 조기 대선일이 헌법상 시한인 6월 3일로 좁혀지는 가운데, 같은 날 치러질 예정인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교육부는 모의평가 일정 변경 가능성을 공식적으로 언급하였으며, 전국 고교와 입시 현장은 대응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대선 시한은 6월 3일.. “모의평가와 일정 겹쳐”
헌법 제68조 2항은 대통령이 궐위된 경우 60일 이내에 후임자를 선출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윤 전 대통령이 4월 4일 파면됨에 따라, 헌법상 마지막 날인 6월 3일이 조기 대선일로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습니다.
5일 정치권에 따르면 주말과 사전투표일, 유권자 편의 등을 고려해 평일인 5월 26일(월), 5월 27일(화), 6월 2일(월), 6월 3일(화) 중 하루가 선거일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법정 시한의 마지막 날인 6월 3일이 가장 유력한 날짜로 꼽힙니다. 참정권 보장을 위해 가능한 한 늦은 날짜에 선거를 치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판단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이에 따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오는 14일 이전, 즉 선거일 50일 전까지 대선일을 공식 지정·공고해야 합니다. 이 일정은 공직선거법 제35조 1항에 따라 명시돼 있습니다.
■ 공휴일 지정 시 전국 단위 시험 사실상 불가
한편 6월 3일에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가 예정돼 있습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지난 3월 말, 전국 고교와 수험생을 대상으로 6월 3일 모의평가 시행을 공식 안내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대통령 선거일로 확정될 경우, 해당일은 국가공휴일로 지정되며 전국 학교는 휴업에 들어갑니다. 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과 졸업생이 함께 치르는 전국 단위 시험인 모의평가는 현실적으로 시행이 불가능하게 됩니다.
이에 대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측은 “6월 3일 시행 예정인 6월 모의평가의 일정 변경 여부는 교육부의 정책 결정에 따른다”라고 밝혔습니다.
교육부 관계자도 “6월 모의평가 일정 변경은 가능하다”라며 “6월 3일에 조기 대선이 치러질 경우, 조속한 시일 내에 새로운 날짜를 결정해 공지할 예정”이라고 전하는 상황입니다.
■ 입시 일정 연쇄 영향.. 재수생·학원가 일정도 흔들
6월 모의평가는 고등학교 재학생뿐 아니라 졸업생이 함께 응시하는 첫 시험으로, 수험생 개인의 학습 전략과 대입 방향 설정에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특히 재수생 위주의 학원 커리큘럼은 이 시험일을 중심으로 설계돼 있어, 시험 일정 변경 시 전면적인 일정 재조정이 불가피합니다.
교육계 한 관계자는 “모의평가 일정이 밀리면 사설 모의고사부터 강의 일정까지 줄줄이 조정할 수밖에 없다”라며, “재학생과 졸업생 모두 학습 리듬에 영향을 받게 된다”라고 말했습니다.
■ 조기 대선과 수능 모의평가가 겹친 첫 사례
수능 모의평가와 조기 대선이 날짜까지 정확히 겹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실시된 조기 대선은 5월 9일에 치러져 수능 일정과 충돌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올해는 상황이 다릅니다. 대선일과 모의평가일이 동일하게 예정되면서, 교육 일정과 정치 일정이 정면으로 맞부딪치는 초유의 사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장에서는 불가피한 변수로 받아들이면서도 신속한 후속 조치를 촉구하고 있습니다.
입시 전문가들은 “모의평가는 단순히 연습이 아니라 수시·정시 전략을 결정하는 기준점”이라며 “정치 일정이 우선되더라도, 교육 일정의 혼선을 최소화하려면 당국의 일정 재공지와 안내를 서둘러야 한다”라고 말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같은 날 예정된 수능 모의평가, 교육부 ‘연기 검토’ 공식화
수험생·입시 현장 혼란 불가피.. “일정 재편 초읽기”

6월 3일, 대통령 선거와 수능 모의평가가 동시에 예정되면서 일정 충돌이 불가피해졌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인한 조기 대선일이 헌법상 시한인 6월 3일로 좁혀지는 가운데, 같은 날 치러질 예정인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교육부는 모의평가 일정 변경 가능성을 공식적으로 언급하였으며, 전국 고교와 입시 현장은 대응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대선 시한은 6월 3일.. “모의평가와 일정 겹쳐”
헌법 제68조 2항은 대통령이 궐위된 경우 60일 이내에 후임자를 선출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윤 전 대통령이 4월 4일 파면됨에 따라, 헌법상 마지막 날인 6월 3일이 조기 대선일로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습니다.
5일 정치권에 따르면 주말과 사전투표일, 유권자 편의 등을 고려해 평일인 5월 26일(월), 5월 27일(화), 6월 2일(월), 6월 3일(화) 중 하루가 선거일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법정 시한의 마지막 날인 6월 3일이 가장 유력한 날짜로 꼽힙니다. 참정권 보장을 위해 가능한 한 늦은 날짜에 선거를 치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판단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이에 따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오는 14일 이전, 즉 선거일 50일 전까지 대선일을 공식 지정·공고해야 합니다. 이 일정은 공직선거법 제35조 1항에 따라 명시돼 있습니다.

■ 공휴일 지정 시 전국 단위 시험 사실상 불가
한편 6월 3일에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가 예정돼 있습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지난 3월 말, 전국 고교와 수험생을 대상으로 6월 3일 모의평가 시행을 공식 안내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대통령 선거일로 확정될 경우, 해당일은 국가공휴일로 지정되며 전국 학교는 휴업에 들어갑니다. 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과 졸업생이 함께 치르는 전국 단위 시험인 모의평가는 현실적으로 시행이 불가능하게 됩니다.
이에 대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측은 “6월 3일 시행 예정인 6월 모의평가의 일정 변경 여부는 교육부의 정책 결정에 따른다”라고 밝혔습니다.
교육부 관계자도 “6월 모의평가 일정 변경은 가능하다”라며 “6월 3일에 조기 대선이 치러질 경우, 조속한 시일 내에 새로운 날짜를 결정해 공지할 예정”이라고 전하는 상황입니다.
■ 입시 일정 연쇄 영향.. 재수생·학원가 일정도 흔들
6월 모의평가는 고등학교 재학생뿐 아니라 졸업생이 함께 응시하는 첫 시험으로, 수험생 개인의 학습 전략과 대입 방향 설정에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특히 재수생 위주의 학원 커리큘럼은 이 시험일을 중심으로 설계돼 있어, 시험 일정 변경 시 전면적인 일정 재조정이 불가피합니다.
교육계 한 관계자는 “모의평가 일정이 밀리면 사설 모의고사부터 강의 일정까지 줄줄이 조정할 수밖에 없다”라며, “재학생과 졸업생 모두 학습 리듬에 영향을 받게 된다”라고 말했습니다.

■ 조기 대선과 수능 모의평가가 겹친 첫 사례
수능 모의평가와 조기 대선이 날짜까지 정확히 겹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실시된 조기 대선은 5월 9일에 치러져 수능 일정과 충돌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올해는 상황이 다릅니다. 대선일과 모의평가일이 동일하게 예정되면서, 교육 일정과 정치 일정이 정면으로 맞부딪치는 초유의 사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장에서는 불가피한 변수로 받아들이면서도 신속한 후속 조치를 촉구하고 있습니다.
입시 전문가들은 “모의평가는 단순히 연습이 아니라 수시·정시 전략을 결정하는 기준점”이라며 “정치 일정이 우선되더라도, 교육 일정의 혼선을 최소화하려면 당국의 일정 재공지와 안내를 서둘러야 한다”라고 말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