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은 늘고, 결시는 더 늘었다”.. 숫자로 포장된 공직 매력, 결국 외면당해
정부, 월급 올렸지만 MZ는 ‘유턴’.. ‘공시 탈출’, 이제는 트렌드 아닌 현실
2025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필기시험 응시율이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정부가 월급 인상과 복지 확대를 내세워 공직 매력을 되살리려 했지만, 실제 시험장에는 수험생 5명 중 1명이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공무원을 향한 열기가 식고, ‘공시 신화’는 구조적으로 막을 내리고 있다는 신호로 읽힙니다.
6일 인사혁신처에 따르면 전날 전국 17개 시·도에서 시행된 2025년 국가공무원 9급 공개채용 필기시험 응시율은 75.2%로 집계됐습니다. 전체 응시 대상자 10만 4,952명 가운데 실제 시험에 응시한 인원은 7만 8,894명에 불과했습니다.
이는 2024년의 75.8%, 2023년의 78.5%보다도 낮은 수치입니다. 3년 연속 하락입니다.
정부가 처우를 손보며 대응에 나섰다고 하는데, 정작 시험장 기피는 더 깊어지고 있는 셈입니다.
정부는 올해 9급 초임 공무원 월급을 269만원에서 내년 284만원으로 인상하고, 2027년까지 300만원 수준으로 올릴 계획입니다. 여기에 가족돌봄휴가 확대, 연가보상비 현실화 등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정책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원자들의 판단은 달랐던 것으로 보입니다.
오히려 ‘시험은 썼지만 안 가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올해 접수자는 지난해보다 1,514명 늘어난 10만4952명이지만, 실제 응시율은 더 떨어졌습니다.
정부는 올해 4,330명을 선발할 예정입니다. 경쟁률은 24.3대 1로 지난해(21.8대 1)보다 다소 높아졌지만, 이는 실질적인 인기 회복과는 거리가 멉니다.
실제 민간 기업의 채용이 늘어나고 ‘MZ세대’ 가치관이 바뀌면서, 시험장에 나타나지 않는 ‘이탈형 지원자’들이 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공무원의 안정성은 여전히 매력이라고 하지만 업무 강도와 조직 문화에 대한 회의감, ‘평생직장’에 대한 기대가 줄어들며, 그 매력은 수험표에만 남게 됐다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향후 응시율 하락세가 이어질 경우, 정부의 인력 수급과 정책 집행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인원 충원 수준의 문제가 아닌, 공직 자체의 인력 기반이 약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2025년 국가직 9급 필기시험 합격자는 다음 달 9일 발표하고, 면접은 5월 28일부터 6월 2일까지 진행합니다.
최종 합격자는 6월 20일에 공개합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부, 월급 올렸지만 MZ는 ‘유턴’.. ‘공시 탈출’, 이제는 트렌드 아닌 현실

2025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필기시험 응시율이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정부가 월급 인상과 복지 확대를 내세워 공직 매력을 되살리려 했지만, 실제 시험장에는 수험생 5명 중 1명이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공무원을 향한 열기가 식고, ‘공시 신화’는 구조적으로 막을 내리고 있다는 신호로 읽힙니다.
6일 인사혁신처에 따르면 전날 전국 17개 시·도에서 시행된 2025년 국가공무원 9급 공개채용 필기시험 응시율은 75.2%로 집계됐습니다. 전체 응시 대상자 10만 4,952명 가운데 실제 시험에 응시한 인원은 7만 8,894명에 불과했습니다.
이는 2024년의 75.8%, 2023년의 78.5%보다도 낮은 수치입니다. 3년 연속 하락입니다.
정부가 처우를 손보며 대응에 나섰다고 하는데, 정작 시험장 기피는 더 깊어지고 있는 셈입니다.

정부는 올해 9급 초임 공무원 월급을 269만원에서 내년 284만원으로 인상하고, 2027년까지 300만원 수준으로 올릴 계획입니다. 여기에 가족돌봄휴가 확대, 연가보상비 현실화 등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정책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원자들의 판단은 달랐던 것으로 보입니다.
오히려 ‘시험은 썼지만 안 가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올해 접수자는 지난해보다 1,514명 늘어난 10만4952명이지만, 실제 응시율은 더 떨어졌습니다.
정부는 올해 4,330명을 선발할 예정입니다. 경쟁률은 24.3대 1로 지난해(21.8대 1)보다 다소 높아졌지만, 이는 실질적인 인기 회복과는 거리가 멉니다.
실제 민간 기업의 채용이 늘어나고 ‘MZ세대’ 가치관이 바뀌면서, 시험장에 나타나지 않는 ‘이탈형 지원자’들이 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공무원의 안정성은 여전히 매력이라고 하지만 업무 강도와 조직 문화에 대한 회의감, ‘평생직장’에 대한 기대가 줄어들며, 그 매력은 수험표에만 남게 됐다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향후 응시율 하락세가 이어질 경우, 정부의 인력 수급과 정책 집행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인원 충원 수준의 문제가 아닌, 공직 자체의 인력 기반이 약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2025년 국가직 9급 필기시험 합격자는 다음 달 9일 발표하고, 면접은 5월 28일부터 6월 2일까지 진행합니다.
최종 합격자는 6월 20일에 공개합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