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미디어 분석업체 보고서
한국 콘텐츠 점유율 8~9%로 2위
전통 강호 영국·일본보다 높아
'오징어 게임'과 '폭싹 속았수다', '흑백요리사' 등 한국 콘텐츠가 넷플릭스에서 큰 주목을 끄는 가운데 시청시간으로도 미국에 이어 전 세계 2위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글로벌 미디어 시장분석업체 암페어는 현지시간으로 어제(15일) 낸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콘텐츠는 지난 2023년 이래 넷플릭스 전체 시청 시간에서 미국에 이어 2위를 기록했습니다.
미국 콘텐츠의 점유율은 56~59%로 가장 많았고, 8~9%의 점유율을 보인 한국은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습니다.
이는 전통적으로 드라마 시리즈에서 강세를 보여온 영국(7∼8%)과 애니메이션으로 세계적인 팬층을 확보한 일본(4∼5%) 콘텐츠를 넘어선 수치입니다.
암페어는 "현재 한국은 넷플릭스에서 가장 인기 있는 미국 외 프로그램과 영화 500개 중 17%인 85개를 차지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대표적인 히트작으로는 지난해 하반기 스트리밍 6억 1,990만 시간을 기록한 '오징어 게임 시즌2'를 비롯해 로맨스 드라마 '엄마친구아들', 요리 예능 '흑백요리사' 등이 꼽혔습니다.
여기에 '오징어 게임 시즌1'과 '눈물의 여왕', '사랑의 불시착' 등 수년 전부터 공개된 드라마들도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암페어는 작년 하반기 넷플릭스에서 상위 100위 안에 드는 한국 작품의 절반 이상이 자체 오리지널 작품이었고 31%는 넷플릭스 독점이었으며, 그중 대다수를 한국의 콘텐츠 강자인 CJ ENM이 제공했다고 짚었습니다.
그러면서 "넷플릭스가 오는 2028년까지 한국 콘텐츠에 25억 달러(약 3조 5,708억 원)를 투자하기로 한 것은 한국 콘텐츠 붐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이효형 (getstarted@hanmail.net)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 콘텐츠 점유율 8~9%로 2위
전통 강호 영국·일본보다 높아

넷플릭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 포스터 (넷플릭스 제공)
'오징어 게임'과 '폭싹 속았수다', '흑백요리사' 등 한국 콘텐츠가 넷플릭스에서 큰 주목을 끄는 가운데 시청시간으로도 미국에 이어 전 세계 2위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글로벌 미디어 시장분석업체 암페어는 현지시간으로 어제(15일) 낸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콘텐츠는 지난 2023년 이래 넷플릭스 전체 시청 시간에서 미국에 이어 2위를 기록했습니다.
미국 콘텐츠의 점유율은 56~59%로 가장 많았고, 8~9%의 점유율을 보인 한국은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습니다.
이는 전통적으로 드라마 시리즈에서 강세를 보여온 영국(7∼8%)과 애니메이션으로 세계적인 팬층을 확보한 일본(4∼5%) 콘텐츠를 넘어선 수치입니다.
암페어는 "현재 한국은 넷플릭스에서 가장 인기 있는 미국 외 프로그램과 영화 500개 중 17%인 85개를 차지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대표적인 히트작으로는 지난해 하반기 스트리밍 6억 1,990만 시간을 기록한 '오징어 게임 시즌2'를 비롯해 로맨스 드라마 '엄마친구아들', 요리 예능 '흑백요리사' 등이 꼽혔습니다.
여기에 '오징어 게임 시즌1'과 '눈물의 여왕', '사랑의 불시착' 등 수년 전부터 공개된 드라마들도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암페어는 작년 하반기 넷플릭스에서 상위 100위 안에 드는 한국 작품의 절반 이상이 자체 오리지널 작품이었고 31%는 넷플릭스 독점이었으며, 그중 대다수를 한국의 콘텐츠 강자인 CJ ENM이 제공했다고 짚었습니다.
그러면서 "넷플릭스가 오는 2028년까지 한국 콘텐츠에 25억 달러(약 3조 5,708억 원)를 투자하기로 한 것은 한국 콘텐츠 붐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이효형 (getstarted@hanmail.net)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