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형 사교육업체, 강사 등 포함
문항 시가 10만~50만 원 수준 책정
수능 영어 23번 논란 사건도 검찰행
경찰 "대입 절차 공정성 보장 지원"
고액의 금전적 대가를 받고 시험 문제를 사고판 현직 교사와 대형 사교육업체 강사 등이 무더기로 검찰에 넘겨졌습니다.
오늘(17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중대범죄수사과에 따르면 '사교육 카르텔' 사건 수사 결과 126명이 입건됐고, 최종 100명이 검찰에 송치됐습니다.
송치된 100명 중 현직 교사는 72명, 사교육업체 법인 3곳, 강사 11명, 학원 대표 등 직원 9명, 평가원 직원·교수 등 5명입니다.
이 중에는 국내 대표적 대형 사교육업체와 소속 강사들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2023년 7월 교육부로부터 최초 수사 의뢰서를 접수한 경찰은 그해 8월 자체 첩보를 입수해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업무 외적으로 수능 관련 문항을 제작해 사교육업체나 강사에게 판매하고 1명당 최대 2억 6,000만 원을 받아 챙긴 현직 교사 47명이 덜미를 잡혔습니다.
이들에게 금전 대가를 제공한 사교육업체와 강사 19명도 검찰 조사를 받게 됐습니다.
문항 1개당 시가는 10만∼50만 원으로 책정됐고, 문항 20∼30개를 묶은 '세트' 단위로 거래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강사 1명이 문항을 사들이는 데 지불한 금액은 최대 5억 5,000만 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또 수능 출제·검토위원 경력이 있는 현직 교사 9명이 이른바 '문항 제작팀'을 구성해 여러 사교육 업체와 강사에게 조직적으로 문항을 판매해 6억 2,000만 원을 수수한 사례 등도 드러났습니다.
사설 모의고사와 판박이로 출제된 2023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영어 23번 문항 논란과 관련해 해당 문제를 출제한 교수 A 씨와 사건에 연루된 교원과 강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직원 등도 검찰에 송치됐습니다.
경찰 관계자는 "관계 기관과 지속적으로 협의해 대학입시 절차의 공정성이 보장되고 건전한 교육 질서가 확립되는 실효성 있는 제도 개선 방안이 마련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재연(Replay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문항 시가 10만~50만 원 수준 책정
수능 영어 23번 논란 사건도 검찰행
경찰 "대입 절차 공정성 보장 지원"

JIBS 자료사진
고액의 금전적 대가를 받고 시험 문제를 사고판 현직 교사와 대형 사교육업체 강사 등이 무더기로 검찰에 넘겨졌습니다.
오늘(17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중대범죄수사과에 따르면 '사교육 카르텔' 사건 수사 결과 126명이 입건됐고, 최종 100명이 검찰에 송치됐습니다.
송치된 100명 중 현직 교사는 72명, 사교육업체 법인 3곳, 강사 11명, 학원 대표 등 직원 9명, 평가원 직원·교수 등 5명입니다.
이 중에는 국내 대표적 대형 사교육업체와 소속 강사들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2023년 7월 교육부로부터 최초 수사 의뢰서를 접수한 경찰은 그해 8월 자체 첩보를 입수해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업무 외적으로 수능 관련 문항을 제작해 사교육업체나 강사에게 판매하고 1명당 최대 2억 6,000만 원을 받아 챙긴 현직 교사 47명이 덜미를 잡혔습니다.

JIBS 자료사진
이들에게 금전 대가를 제공한 사교육업체와 강사 19명도 검찰 조사를 받게 됐습니다.
문항 1개당 시가는 10만∼50만 원으로 책정됐고, 문항 20∼30개를 묶은 '세트' 단위로 거래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강사 1명이 문항을 사들이는 데 지불한 금액은 최대 5억 5,000만 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또 수능 출제·검토위원 경력이 있는 현직 교사 9명이 이른바 '문항 제작팀'을 구성해 여러 사교육 업체와 강사에게 조직적으로 문항을 판매해 6억 2,000만 원을 수수한 사례 등도 드러났습니다.
사설 모의고사와 판박이로 출제된 2023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영어 23번 문항 논란과 관련해 해당 문제를 출제한 교수 A 씨와 사건에 연루된 교원과 강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직원 등도 검찰에 송치됐습니다.
경찰 관계자는 "관계 기관과 지속적으로 협의해 대학입시 절차의 공정성이 보장되고 건전한 교육 질서가 확립되는 실효성 있는 제도 개선 방안이 마련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JIBS 자료사진
JIBS 제주방송 김재연(Replay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