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유가 하락해도 국내 휘발유·경유 가격은 보합·반등
유류세 인하폭 축소 효과.. 5월 둘째 주부터 체감 인상 예고
11주 연속 내리던 휘발유 가격은 멈췄고, 경유는 12주 만에 오름세로 전환했습니다.
국제 유가가 하락했음에도 국내 주유소 가격은 반등 조짐을 보이며, 정부의 유류세 인하율 축소 효과가 본격적으로 반영되기 시작했습니다.
기름값은 더 이상 ‘찔끔’이 아닐 수 있습니다.
다음 주, 주유소에서 마주할 숫자가 진짜 시작일 수 있습니다.
3일 한국석유공사 오피넷에 따르면 4월 다섯째 주(4월 27일~5월 1일) 전국 평균 휘발유 가격은 리터(L)당 1,635.5원으로 전주 대비 0.1원 하락하며 사실상 보합세를 기록했습니다.
경유는 0.2원 상승한 L당 1,502.4원으로, 12주 만에 오름세로 돌아섰습니다.
휘발유 가격이 가장 높은 서울은 전주 대비 4.4원 올라 L당 1,707.4원, 가장 낮은 대구는 2.1원 오른 1,594.9원을 기록했습니다.
상표별로는 SK에너지가 평균 1,645.9원으로 가장 비쌌고, 알뜰주유소는 1,608원으로 가장 저렴했습니다.
■ 제주 기름값도 반등.. 서울 이어 전국 두 번째 고가
제주 지역도 흐름을 함께했습니다. 4월 말 기준 L당 1,693원이었던 휘발유 가격은 3일 기준 1,695원으로, 경유는 1,543원에서 1,549원으로 각각 소폭 상승했습니다.
전국에서 서울 다음으로 높은 가격대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격 흐름은 국제 유가와의 시간차 영향, 유류세 정책 변화가 맞물린 결과로 해석됩니다.
■ 국제 유가는 하락.. 국내 가격은 왜 멈춰?
국제 유가는 최근 주요국 경기 둔화 우려와 OPEC+의 증산 가능성 등으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두바이유는 배럴당 64.7달러로 전주 대비 3.6달러 내렸으며, 국제 휘발유(75달러)와 자동차용 경유(81달러)도 각각 1.4달러씩 하락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유가 하락이 곧바로 국내 가격에 반영되지는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국제 유가가 국내 가격에 반영되기까지는 2~3주가량의 시차가 존재합니다.
지난 2주 정도는 국제 휘발유 및 경유 가격이 상승했던 여파가 이제 막 반영되기 시작한 시점으로 보고 있습니다.
■ 유류세 인하폭 축소.. 5월부터 체감 상승 본격화
정부는 지난달 말 종료 예정이던 유류세 한시 인하 조치를 오는 6월 30일까지 연장하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인하율은 축소됐습니다.
휘발유는 기존 15%에서 10%, 경유는 23%에서 15%로 조정되면서, 이달 1일부터 각각 L당 40원, 46원씩 가격 인상 요인이 발생했습니다.
즉, 가격 인상의 발단은 국제 유가가 아니라 세금에서 비롯된 셈입니다.
유류업계 관계자는 “유류세 인하율 축소와 최근 국제제품 가격의 반영으로 다음 주부터 국내 판매 가격은 상승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습니다.
■ 소비자 체감물가, 다시 '기름값 인상'이 견인?
국내 물가는 여전히 2%대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지만, 생활물가나 외식비, 공공요금 등은 지속적인 체감 고통을 유발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기름값까지 다시 오를 경우, 장바구니 부담은 다시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기름값이 인상될 경우 물류비와 생산비 상승을 자극해 전체 물가 흐름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제주와 같이 기름값이 상시 고가를 유지하는 지역에선 이중 부담이 불가피합니다.
■ 본격 인상은 5월 둘째 주?.. 관전 포인트는 유류세 반영 속도
국내 주유소 유가 흐름은 5월 둘째 주를 기점으로 본격적인 변곡점에 접어들 전망입니다.
유류세 인하폭 축소분이 가격에 온전히 반영되고, 국제유가 하락분이 아직 반영되기 전까지는 일시적인 ‘반짝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다만 업계는 국제유가가 뚜렷한 하락 흐름을 지속할 경우, 5월 하순 이후에는 국내 가격도 다시 조정 국면에 들어설 수 있다고 예상했습니다.
미국의 이란 제재 가능성 등 지정학적 변수는 여전히 유가 하방을 제한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어, 당분간 유가 흐름은 유동적인 국면을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류세 인하폭 축소 효과.. 5월 둘째 주부터 체감 인상 예고

11주 연속 내리던 휘발유 가격은 멈췄고, 경유는 12주 만에 오름세로 전환했습니다.
국제 유가가 하락했음에도 국내 주유소 가격은 반등 조짐을 보이며, 정부의 유류세 인하율 축소 효과가 본격적으로 반영되기 시작했습니다.
기름값은 더 이상 ‘찔끔’이 아닐 수 있습니다.
다음 주, 주유소에서 마주할 숫자가 진짜 시작일 수 있습니다.
3일 한국석유공사 오피넷에 따르면 4월 다섯째 주(4월 27일~5월 1일) 전국 평균 휘발유 가격은 리터(L)당 1,635.5원으로 전주 대비 0.1원 하락하며 사실상 보합세를 기록했습니다.
경유는 0.2원 상승한 L당 1,502.4원으로, 12주 만에 오름세로 돌아섰습니다.
휘발유 가격이 가장 높은 서울은 전주 대비 4.4원 올라 L당 1,707.4원, 가장 낮은 대구는 2.1원 오른 1,594.9원을 기록했습니다.
상표별로는 SK에너지가 평균 1,645.9원으로 가장 비쌌고, 알뜰주유소는 1,608원으로 가장 저렴했습니다.

■ 제주 기름값도 반등.. 서울 이어 전국 두 번째 고가
제주 지역도 흐름을 함께했습니다. 4월 말 기준 L당 1,693원이었던 휘발유 가격은 3일 기준 1,695원으로, 경유는 1,543원에서 1,549원으로 각각 소폭 상승했습니다.
전국에서 서울 다음으로 높은 가격대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격 흐름은 국제 유가와의 시간차 영향, 유류세 정책 변화가 맞물린 결과로 해석됩니다.
■ 국제 유가는 하락.. 국내 가격은 왜 멈춰?
국제 유가는 최근 주요국 경기 둔화 우려와 OPEC+의 증산 가능성 등으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두바이유는 배럴당 64.7달러로 전주 대비 3.6달러 내렸으며, 국제 휘발유(75달러)와 자동차용 경유(81달러)도 각각 1.4달러씩 하락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유가 하락이 곧바로 국내 가격에 반영되지는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국제 유가가 국내 가격에 반영되기까지는 2~3주가량의 시차가 존재합니다.
지난 2주 정도는 국제 휘발유 및 경유 가격이 상승했던 여파가 이제 막 반영되기 시작한 시점으로 보고 있습니다.

■ 유류세 인하폭 축소.. 5월부터 체감 상승 본격화
정부는 지난달 말 종료 예정이던 유류세 한시 인하 조치를 오는 6월 30일까지 연장하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인하율은 축소됐습니다.
휘발유는 기존 15%에서 10%, 경유는 23%에서 15%로 조정되면서, 이달 1일부터 각각 L당 40원, 46원씩 가격 인상 요인이 발생했습니다.
즉, 가격 인상의 발단은 국제 유가가 아니라 세금에서 비롯된 셈입니다.
유류업계 관계자는 “유류세 인하율 축소와 최근 국제제품 가격의 반영으로 다음 주부터 국내 판매 가격은 상승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습니다.
■ 소비자 체감물가, 다시 '기름값 인상'이 견인?
국내 물가는 여전히 2%대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지만, 생활물가나 외식비, 공공요금 등은 지속적인 체감 고통을 유발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기름값까지 다시 오를 경우, 장바구니 부담은 다시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기름값이 인상될 경우 물류비와 생산비 상승을 자극해 전체 물가 흐름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제주와 같이 기름값이 상시 고가를 유지하는 지역에선 이중 부담이 불가피합니다.
■ 본격 인상은 5월 둘째 주?.. 관전 포인트는 유류세 반영 속도
국내 주유소 유가 흐름은 5월 둘째 주를 기점으로 본격적인 변곡점에 접어들 전망입니다.
유류세 인하폭 축소분이 가격에 온전히 반영되고, 국제유가 하락분이 아직 반영되기 전까지는 일시적인 ‘반짝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다만 업계는 국제유가가 뚜렷한 하락 흐름을 지속할 경우, 5월 하순 이후에는 국내 가격도 다시 조정 국면에 들어설 수 있다고 예상했습니다.
미국의 이란 제재 가능성 등 지정학적 변수는 여전히 유가 하방을 제한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어, 당분간 유가 흐름은 유동적인 국면을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단일화 시계는 ‘째깍’, 김문수는 침묵 중.. 한덕수 “세 번 제안했다”, 돌아온 답은 “그냥 들었다”
- ∙︎ "휘핑크림 같네" 제주 상공에 신기한 구름...정체가?
- ∙︎ 어린이 삶도 고달파...정신과 찾는 아동 4년 새 2배 '껑충'
- ∙︎ “정말 6만 쪽 다 읽었나?”.. 이재명 판결에 정보공개청구 ‘폭발’
- ∙︎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신경전...한 '서두르자', 김 '숨 좀 돌리고'
- ∙︎ “감성 떼창으로는 사법 못 이긴다”.. 이준석, 노무현 소환해 이재명 직격
- ∙︎ 이재명 46.6% 한덕수 34.3% 이준석 5.9%...한 대신 김문수 넣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