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나이 87살.. 드라마가 깨운 기억이 붓으로 이어져
농협창고가 예술공간으로.. 감정·기억이 환기한 창작 본능
비전문성의 미학, 노년의 창조성.. “다시 태어난 예술”
# “그림은 원래, 살아본 사람이 그리는 거예요.”
제주의 작은 마을 선흘에서 아홉 명의 할머니들이 붓을 들었습니다.
넷플릭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의 여운은 오래된 기억을 일으켰고 그 기억은 종이 위에 선으로, 색으로, 생의 감정으로 번졌습니다.
삶과 감정이 응축된 그리기의 시간은 이제 ‘예술’이라는 이름으로 우리 앞에 놓였습니다.
평균 연령 87살의 ‘그림할망’들과 이 작업을 함께한 예술가 최소연.
열 명의 작가가 그린 장면들이 지금, 조천읍 선흘리의 옛 농협창고를 감각의 공간으로 바꾸고 있습니다.
2일부터 시작한 ‘폭싹 속았수다 - 똘도, 어멍도, 할망도’ 전시입니다.
드라마 속 장면을 모티프로 한 회화 96점을 선보이면서, 매주 새로운 작품을 발표하고 현장 판매까지 이루어지는 오픈 스튜디오 형식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 “그림이 팔리다니.. 살면서 이런 날도 있네요”
그림할망들은 모두 선흘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평생을 살아온 여성들입니다.
‘무화과할망’ 박인수 작가는 선흘 아랫동네 초등학교 옆 초가에서 태어나 수천 평 귤밭을 일구며 살아왔습니다.
농부의 손으로 무화과 열매를 닮은 감정을 조심스레 쿡쿡 눌러 담는 작가는, “요즘엔 그림을 그리고 있으면 어멍 생각도 나고, 그리다 보면 내 마음이 잠잠해진다” 말합니다.
2025년 신작 ‘다 컸으니까 결혼하지’ 시리즈엔 애순이와 관식이의 도망, 못다 한 연애, 작은 질투가 부드러우면서 달콤한 무화과향으로 스며 있습니다.
‘초록할망’ 홍태옥 작가는 “내 그림을 누가 기다렸다는 게, 아직도 믿기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여덟 살 때 제주4·3 당시 집이 불탄 뒤, 돌무더기 사이에 좁씨를 심어 초록이 솟아나는 장면을 본 기억이 그림의 원천이 되었습니다.
당시의 기억을 목탄과 초록으로 그려낸 ‘양배추 드로잉’ 시리즈로 관객과 마주합니다.
“캄캄한 마음에도 초록은 난다”는 말처럼, 삶의 어둠 속에서도 감각과 생명이 피어난다는 걸 그림으로 증명합니다.
이처럼 각자의 삶에서 건져 올린 장면은 기술이나 형식의 세련됨보다, 진솔한 감정과 직관이 담긴 예술로 관람객의 내면에 말을 건넵니다
■ “가르친 사람이 아니라, 함께 그린 사람이죠”.. 예술감독 최소연의 말
이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는 예술감독 최소연 작가는 자신을 “가르친 사람이라기보다, 함께 그린 사람”으로 소개합니다.
그는 그림할망들과.작업을 “일방적인 전달이 아닌, 감각을 함께 발견하는 여정”이라 말합니다.
최 작가는 “어떤 날은 한 선생님이 붓을 내려놓고 한참 그림을 바라보며 말없이 웃었다. 그 순간이 예술이구나 싶었다”라며, 말보다 감각이 앞서는 이 작업의 본질을 설명합니다.
또 “지역 여성들의 감정과 생애사를 예술 언어로 번역하는 일이었고, 동시에 공동체의 기억을 다시 꺼내는 시간이었다”라며, “이 작업은 ‘커뮤니티 아트’를 넘어 감각과 삶을 공유하는 하나의 예술 플랫폼으로 확장될 수 있다고 믿는다”고 전했습니다.
■ 감각의 귀환.. ‘몸의 기억’이 예술을 다시 불러낸다
미국 철학자 리처드 슈스터만(Richard Shusterman)은 예술을 “삶 속 감각의 회복”이라 정의합니다.
예술을 억눌린 감정을 해방하고 감각을 다시 깨우는 훈련으로 바라보며, 감각을 잃은 삶을 회복하는 데 예술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반면, 미국의 미술철학자 아서 단토(Arthur Coleman Danto)는 앤디 워홀의 ‘브릴로 상자( Brillo Box·1964)’를 보고 “예술은 이제 철학이다”라고 선언했습니다.
평범한 사물이 예술이 되는 시대, 감각은 더 이상 예술을 판단하는 기준이 아니게 되었다는 말입니다.
하지만 선흘의 그림할망들은 다시 질문을 던집니다.
“꼭 설명해야만 예술인가요?”
그림할망들의 선은 세련되진 않았지만 단단하고, 색은 조심스럽지만 깊이를 가집니다. 이론이나 개념을 빌리지 않아도, 살아낸 몸이 기억한 감각은 그 자체로 의미를 드러냅니다.
감각이 복권(復權)되는 이 지점에서, 예술은 다시 살아납니다.
■ 공항에 선 그림할망.. 예술은 출현한다
그림할망들이 공항을 가로지릅니다.
패랭이를 눌러쓰고, 야광빛 스카프를 두른 채, 그림이 실린 트렁크를 끌고 지나가는 그 모습은 일상 속에 깃든 예술의 한 장면처럼 느껴집니다.
최소연 작가는 이를 “삶의 의상을 입고 예술의 감각을 짊어진 등장”이라 표현합니다.
말이 없어도 옷차림과 걸음, 눈빛이 말을 겁니다. 그들의 출현은 누군가가 꾸며낸 퍼포먼스가 아니라, 살아온 방식 그대로 드러나는 삶의 발화(發話) 입니다.
농사의 리듬으로 생을 이어왔습니다. 해가 뜨면 모자를 눌러쓰고, 바람이 불면 천을 덧대는 몸의 감각이 오랜 시간 쌓이면서 지금 이 자리에서 고유한 미학이 됩니다.
그 옷차림은 기능이면서 동시에 회화이고, 말없이 감각을 증언하는 하나의 장르입니다.
공항에 스민 낯선 기류, 머문 시선 속에서 느껴지는 미세한 떨림.
정적 너머, 예술은 어느새 세상 위로 조용히 모습을 드러냅니다.
■ “전시는 계속된다”.. 삶을 그리는 시간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전시는 오는 6월 29일까지 매주 금·토·일, 제주시 조천읍 선흘 그림작업장에서 이어집니다.
관람은 무료이며, 작품 판매 수익은 그림할망들의 창작 활동에 쓰입니다.
예약과 자세한 정보는 소셜뮤지엄 공식 홈페이지 또는 인스타그램(@socialmuseum.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시 기간, 관객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함께 운영합니다.
매주 토요일에는 조한혜정 문화인류학자와 함께 드라마의 서사와 그림할망 프로젝트를 해석하는 ‘선흘포럼’을 진행하고, 그림할망들과 직접 이야기를 나누는 ‘작가와의 대화’, 붓을 들고 감각을 나누는 ‘그림워크숍’, 전통 간판을 제작해보는 ‘간판워크숍’도 마련했습니다.
전시는 이후 도록 출간과 국내외 순회 전시, 다큐멘터리 영상화로 확장하고 회화뿐 아니라 문학, 건축, 디자인 등 다양한 장르의 예술가들을 위한 창작자 레지던시 프로그램으로 이어갈 예정입니다.
예술은 지금, 선흘에서 다시 태어나고 있습니다.
이제, ‘그림할망’들을 만나러 갈 시간입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농협창고가 예술공간으로.. 감정·기억이 환기한 창작 본능
비전문성의 미학, 노년의 창조성.. “다시 태어난 예술”

# “그림은 원래, 살아본 사람이 그리는 거예요.”
제주의 작은 마을 선흘에서 아홉 명의 할머니들이 붓을 들었습니다.
넷플릭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의 여운은 오래된 기억을 일으켰고 그 기억은 종이 위에 선으로, 색으로, 생의 감정으로 번졌습니다.
삶과 감정이 응축된 그리기의 시간은 이제 ‘예술’이라는 이름으로 우리 앞에 놓였습니다.
평균 연령 87살의 ‘그림할망’들과 이 작업을 함께한 예술가 최소연.
열 명의 작가가 그린 장면들이 지금, 조천읍 선흘리의 옛 농협창고를 감각의 공간으로 바꾸고 있습니다.
2일부터 시작한 ‘폭싹 속았수다 - 똘도, 어멍도, 할망도’ 전시입니다.
드라마 속 장면을 모티프로 한 회화 96점을 선보이면서, 매주 새로운 작품을 발표하고 현장 판매까지 이루어지는 오픈 스튜디오 형식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전시에 참여한 ‘그림할망’ 아홉 명의 얼굴을 한 장의 사진으로 담았다. 사진 속 인물은 (위쪽 왼쪽부터 차례대로) 조수용, 고순자, 강희선, 오가자, 김인자, 박인수, 김옥순, 홍태욱, 허계생 작가다. 제주 작은 마을 선흘에서 각자의 이름으로 첫 전시를 연 이들은, 평균 나이 87살의 신인 작가들이다. 삶을 살아낸 얼굴이 그대로 예술의 증언이 되었고, 웃음 속엔 지나온 기억과 지금의 감각이 겹쳐진다. 한 사람 한 사람이 곧 하나의 장면이다. 설명보다 더 많은 것을 전하는 얼굴이, 이제 세상과 마주 서기 시작했다. (사진 ‘소셜뮤지엄’ 캡처)
■ “그림이 팔리다니.. 살면서 이런 날도 있네요”
그림할망들은 모두 선흘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평생을 살아온 여성들입니다.
‘무화과할망’ 박인수 작가는 선흘 아랫동네 초등학교 옆 초가에서 태어나 수천 평 귤밭을 일구며 살아왔습니다.
농부의 손으로 무화과 열매를 닮은 감정을 조심스레 쿡쿡 눌러 담는 작가는, “요즘엔 그림을 그리고 있으면 어멍 생각도 나고, 그리다 보면 내 마음이 잠잠해진다” 말합니다.
2025년 신작 ‘다 컸으니까 결혼하지’ 시리즈엔 애순이와 관식이의 도망, 못다 한 연애, 작은 질투가 부드러우면서 달콤한 무화과향으로 스며 있습니다.
‘초록할망’ 홍태옥 작가는 “내 그림을 누가 기다렸다는 게, 아직도 믿기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여덟 살 때 제주4·3 당시 집이 불탄 뒤, 돌무더기 사이에 좁씨를 심어 초록이 솟아나는 장면을 본 기억이 그림의 원천이 되었습니다.
당시의 기억을 목탄과 초록으로 그려낸 ‘양배추 드로잉’ 시리즈로 관객과 마주합니다.
“캄캄한 마음에도 초록은 난다”는 말처럼, 삶의 어둠 속에서도 감각과 생명이 피어난다는 걸 그림으로 증명합니다.
이처럼 각자의 삶에서 건져 올린 장면은 기술이나 형식의 세련됨보다, 진솔한 감정과 직관이 담긴 예술로 관람객의 내면에 말을 건넵니다

전시 공간 벽에는 드라마 속 명장면을 ‘그림할망’들이 재해석한 작품이 걸려 있다. (‘소셜뮤지엄’ 인스타그램)
■ “가르친 사람이 아니라, 함께 그린 사람이죠”.. 예술감독 최소연의 말
이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는 예술감독 최소연 작가는 자신을 “가르친 사람이라기보다, 함께 그린 사람”으로 소개합니다.
그는 그림할망들과.작업을 “일방적인 전달이 아닌, 감각을 함께 발견하는 여정”이라 말합니다.
최 작가는 “어떤 날은 한 선생님이 붓을 내려놓고 한참 그림을 바라보며 말없이 웃었다. 그 순간이 예술이구나 싶었다”라며, 말보다 감각이 앞서는 이 작업의 본질을 설명합니다.
또 “지역 여성들의 감정과 생애사를 예술 언어로 번역하는 일이었고, 동시에 공동체의 기억을 다시 꺼내는 시간이었다”라며, “이 작업은 ‘커뮤니티 아트’를 넘어 감각과 삶을 공유하는 하나의 예술 플랫폼으로 확장될 수 있다고 믿는다”고 전했습니다.

넷플릭스 ‘폭싹 속았수다’ 마을잔치에 초청받은 ‘그림할망’들이 드라마 장면을 모티프로 한 각자 그림을 펼쳐 보이고 있다. (‘소셜뮤지엄’ 인스타그램)
■ 감각의 귀환.. ‘몸의 기억’이 예술을 다시 불러낸다
미국 철학자 리처드 슈스터만(Richard Shusterman)은 예술을 “삶 속 감각의 회복”이라 정의합니다.
예술을 억눌린 감정을 해방하고 감각을 다시 깨우는 훈련으로 바라보며, 감각을 잃은 삶을 회복하는 데 예술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반면, 미국의 미술철학자 아서 단토(Arthur Coleman Danto)는 앤디 워홀의 ‘브릴로 상자( Brillo Box·1964)’를 보고 “예술은 이제 철학이다”라고 선언했습니다.
평범한 사물이 예술이 되는 시대, 감각은 더 이상 예술을 판단하는 기준이 아니게 되었다는 말입니다.
하지만 선흘의 그림할망들은 다시 질문을 던집니다.
“꼭 설명해야만 예술인가요?”
그림할망들의 선은 세련되진 않았지만 단단하고, 색은 조심스럽지만 깊이를 가집니다. 이론이나 개념을 빌리지 않아도, 살아낸 몸이 기억한 감각은 그 자체로 의미를 드러냅니다.
감각이 복권(復權)되는 이 지점에서, 예술은 다시 살아납니다.

제주공항에서 피리를 불며 이륙을 기다리는 ‘그림할망’. 야광빛 스카프와 손수 만든 패랭이, 그림이 담긴 트렁크는 모두 ‘몸의 언어’다. 일상 속 예술의 출현, 선흘에서 시작한 장면이 도시를 향해 출발을 알린다. ('소셜뮤지엄’ 홈페이지)
■ 공항에 선 그림할망.. 예술은 출현한다
그림할망들이 공항을 가로지릅니다.
패랭이를 눌러쓰고, 야광빛 스카프를 두른 채, 그림이 실린 트렁크를 끌고 지나가는 그 모습은 일상 속에 깃든 예술의 한 장면처럼 느껴집니다.
최소연 작가는 이를 “삶의 의상을 입고 예술의 감각을 짊어진 등장”이라 표현합니다.
말이 없어도 옷차림과 걸음, 눈빛이 말을 겁니다. 그들의 출현은 누군가가 꾸며낸 퍼포먼스가 아니라, 살아온 방식 그대로 드러나는 삶의 발화(發話) 입니다.
농사의 리듬으로 생을 이어왔습니다. 해가 뜨면 모자를 눌러쓰고, 바람이 불면 천을 덧대는 몸의 감각이 오랜 시간 쌓이면서 지금 이 자리에서 고유한 미학이 됩니다.
그 옷차림은 기능이면서 동시에 회화이고, 말없이 감각을 증언하는 하나의 장르입니다.
공항에 스민 낯선 기류, 머문 시선 속에서 느껴지는 미세한 떨림.
정적 너머, 예술은 어느새 세상 위로 조용히 모습을 드러냅니다.

선흘 그림작업장 전시장 앞에서 당당한 포즈를 취한 ‘그림할망’. 그림을 통해 스스로 이름을 되찾은 순간이자, 마을의 시간이 예술이 되는 장면이다. (‘소셜뮤지엄’ 홈페이지)
■ “전시는 계속된다”.. 삶을 그리는 시간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전시는 오는 6월 29일까지 매주 금·토·일, 제주시 조천읍 선흘 그림작업장에서 이어집니다.
관람은 무료이며, 작품 판매 수익은 그림할망들의 창작 활동에 쓰입니다.
예약과 자세한 정보는 소셜뮤지엄 공식 홈페이지 또는 인스타그램(@socialmuseum.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시 기간, 관객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함께 운영합니다.
매주 토요일에는 조한혜정 문화인류학자와 함께 드라마의 서사와 그림할망 프로젝트를 해석하는 ‘선흘포럼’을 진행하고, 그림할망들과 직접 이야기를 나누는 ‘작가와의 대화’, 붓을 들고 감각을 나누는 ‘그림워크숍’, 전통 간판을 제작해보는 ‘간판워크숍’도 마련했습니다.

조한혜정 문화인류학자 ('소셜뮤지엄’ 홈페이지)
전시는 이후 도록 출간과 국내외 순회 전시, 다큐멘터리 영상화로 확장하고 회화뿐 아니라 문학, 건축, 디자인 등 다양한 장르의 예술가들을 위한 창작자 레지던시 프로그램으로 이어갈 예정입니다.
예술은 지금, 선흘에서 다시 태어나고 있습니다.
이제, ‘그림할망’들을 만나러 갈 시간입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