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호남 사람" 자처하더니 '광주사태' 표현
오월단체 "민주화운동 공적 가치 정면 부정" 사과 촉구
강기정 광주시장 "'호남사람'? 더 부끄러움 밀려와"
민주당 "무지 넘어 무시...내란세력 용서하잔 뜻인가"
대선출마를 선언한 한덕수 무소속 후보가 '호남 출신'임을 앞세우며 지지세를 다지기에 나선 가운데, 5·18민주화운동을 '광주 사태'라고 말해 비판을 자초하고 있습니다. '광주 사태'는 5·18을 '폭동', '소요'로 칭하던 군사 반란 세력이 사건의 의미를 축소·왜곡하기 위해 사용해 온 표현이라는 설명입니다.
5·18기념재단과 5·18 공법 3단체(유족회·부상자회·공로자회)는 오늘(4일) 공동 성명을 통해 "5·18민주화운동이라는 국가에서 인정한 공식 명칭 대신 '광주 사태'라고 부른 한 후보는 스스로 내란 동조 세력이라는 것을 입증했다"고 지적했습니다.
한 후보는 지난 3일 헌정회를 예방한 뒤 가진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본인이 국립5·18민주묘지 참배를 시도했다가 광주 시민들의 거부로 무산된 상황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광주 사태'라는 표현을 입에 올렸습니다.
오원단체들은 "국회·헌법재판소·국가기관이 이미 확정한 민주화운동으로서의 공적 가치를 정면으로 부정한 것"이라며 "5·18명칭 왜곡 발언에 대해 사과하고, 오월 정신을 훼손한 것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전두환 군사정권 시절 고위 공직 경력을 바탕으로 국무총리에 오른 인물이자 헌정을 파괴한 내란세력의 통치 질서에 복무했던 자"라며, "5·18을 침묵으로 일관해 오다가 '호남 출신'을 강조하며 표심을 얻기 위해 기억의 현장(5·18민주묘지)을 정치적 무대로 삼는 이중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라고 꼬집었습니다.
강기정 광주시장도 본인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한덕수 후보가 5·18민주화운동을 자꾸 광주사태, 광주사태 라고 반복하는 것을 보며 참 부끄러움이 밀려온다"라며, "광주사태가 아니라 5·18민주화운동이다. 지난 45년 겹겹이 쌓인 기억과 아픔의 첫 겹조차 모르는 '호남사람'. 그래서 더 부끄럽고 화가 난다"라고 비판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도 이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냈습니다.
민주당 조승래 선거대책위원회 수석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무지를 넘어 무시라고 볼 수 밖에 없다"라며, "더욱이 아직까지도 5·18 민주화운동을 '광주사태'로 멸칭한다는 사람이 대체 무슨 이유로 국립5·18민주묘지를 참배하려고 했나"라고 힐문했습니다.
조 수석대변인은 이어 "정부가 국가기념일로 지정하며 5·18민주화운동을 기린 것이 1997년"이라며 "평생을 정부에서 일한 사람이 이것을 몰랐다니 충격적"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한덕수 전 총리가 국립5·18민주묘지를 참배하려 하고 통합을 말하는 이유가 내란세력을 용서하자는 뜻이었나. 윤석열의 아바타답다"라고 직격했습니다.
한편, 5·18은 지난 1995년 특별법 제정이 이래 '민주화운동'으로 규정됐습니다. 특별법에는 5·18을 "1979년 12월12일과 1980년 5월18일을 전후하여 발생한 헌정질서 파괴범죄와 반인도적 범죄에 대항하여 시민들이 전개한 민주화운동을 말한다"라고 적시돼 있습니다. 정부는 또 1997년 5·18민주화운동을 법정 기념일로 지정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신동원 (dongwon@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월단체 "민주화운동 공적 가치 정면 부정" 사과 촉구
강기정 광주시장 "'호남사람'? 더 부끄러움 밀려와"
민주당 "무지 넘어 무시...내란세력 용서하잔 뜻인가"

한덕수 무소속 후보자 자료사진 (SBS 보도화면 갈무리)
대선출마를 선언한 한덕수 무소속 후보가 '호남 출신'임을 앞세우며 지지세를 다지기에 나선 가운데, 5·18민주화운동을 '광주 사태'라고 말해 비판을 자초하고 있습니다. '광주 사태'는 5·18을 '폭동', '소요'로 칭하던 군사 반란 세력이 사건의 의미를 축소·왜곡하기 위해 사용해 온 표현이라는 설명입니다.
5·18기념재단과 5·18 공법 3단체(유족회·부상자회·공로자회)는 오늘(4일) 공동 성명을 통해 "5·18민주화운동이라는 국가에서 인정한 공식 명칭 대신 '광주 사태'라고 부른 한 후보는 스스로 내란 동조 세력이라는 것을 입증했다"고 지적했습니다.
한 후보는 지난 3일 헌정회를 예방한 뒤 가진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본인이 국립5·18민주묘지 참배를 시도했다가 광주 시민들의 거부로 무산된 상황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광주 사태'라는 표현을 입에 올렸습니다.
오원단체들은 "국회·헌법재판소·국가기관이 이미 확정한 민주화운동으로서의 공적 가치를 정면으로 부정한 것"이라며 "5·18명칭 왜곡 발언에 대해 사과하고, 오월 정신을 훼손한 것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전두환 군사정권 시절 고위 공직 경력을 바탕으로 국무총리에 오른 인물이자 헌정을 파괴한 내란세력의 통치 질서에 복무했던 자"라며, "5·18을 침묵으로 일관해 오다가 '호남 출신'을 강조하며 표심을 얻기 위해 기억의 현장(5·18민주묘지)을 정치적 무대로 삼는 이중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라고 꼬집었습니다.
강기정 광주시장도 본인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한덕수 후보가 5·18민주화운동을 자꾸 광주사태, 광주사태 라고 반복하는 것을 보며 참 부끄러움이 밀려온다"라며, "광주사태가 아니라 5·18민주화운동이다. 지난 45년 겹겹이 쌓인 기억과 아픔의 첫 겹조차 모르는 '호남사람'. 그래서 더 부끄럽고 화가 난다"라고 비판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도 이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냈습니다.
민주당 조승래 선거대책위원회 수석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무지를 넘어 무시라고 볼 수 밖에 없다"라며, "더욱이 아직까지도 5·18 민주화운동을 '광주사태'로 멸칭한다는 사람이 대체 무슨 이유로 국립5·18민주묘지를 참배하려고 했나"라고 힐문했습니다.
조 수석대변인은 이어 "정부가 국가기념일로 지정하며 5·18민주화운동을 기린 것이 1997년"이라며 "평생을 정부에서 일한 사람이 이것을 몰랐다니 충격적"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한덕수 전 총리가 국립5·18민주묘지를 참배하려 하고 통합을 말하는 이유가 내란세력을 용서하자는 뜻이었나. 윤석열의 아바타답다"라고 직격했습니다.
한편, 5·18은 지난 1995년 특별법 제정이 이래 '민주화운동'으로 규정됐습니다. 특별법에는 5·18을 "1979년 12월12일과 1980년 5월18일을 전후하여 발생한 헌정질서 파괴범죄와 반인도적 범죄에 대항하여 시민들이 전개한 민주화운동을 말한다"라고 적시돼 있습니다. 정부는 또 1997년 5·18민주화운동을 법정 기념일로 지정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신동원 (dongwon@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