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생 환자 증가세 가팔라
우울증 등으로 병원을 찾은 어린이가 최근 4년 새 2배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우울증 등 정신건강의학과 관련 질환으로 의원을 찾은 18세 미만 아동 환자는 27만 625명이었습니다. 이는 2020년과 비교하면 2배 넘게 늘어난 수준입니다.
최근 5년간 정신건강의학과 관련 질환 관련 어린이 환자는 ▲2020년 13만4,235명 ▲2021년 17만2,441명 ▲2022년 21만2,451명 ▲2023년 24만4,884명 등 해마다 증가했습니다.
정신과 진료를 위해 의원을 찾은 어린이 환자는 같은 기간 연평균 19.4% 증가했습니다.
특히, 초등학생 나이대인 7~12세 환자의 증가세가 유독 가팔랐습니다. 이 연령대 여자 어린이 환자는 1만2,260명에서 2만 9,165명으로 2.4배 증가했습니다. 동일 연령대 남자 어린이 환자 역시 2020년 3만3,800명에서 2024년 7만6,159명으로 2.3배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같은 기간 미취학 어린이(0~6세)는 1.5배, 13~18세 청소년은 남성과 여성 각각 1.9배, 2.1배 늘었습니다.
어린이 환자가 가장 많이 진단받은 질환은 '우울에피소드', '운동 과다장애, '불안장애', '기분장애' 등이었습니다.
소아 우울증은 흔히 나타나는 증상은 아니지만, 최근엔 어린이들이 과도한 학업 압박 등 스트레스 상황에 노출되면서 점차 늘어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소아 우울증의 경우 우울한 기분을 느끼는 대신 작은 일에 예민하게 반응하거나 자주 짜증을 내는 모습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반항심 내지 사춘기로 혼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녀가 집중력이 심하게 떨어지거나 결정을 내리기 어려워하고, 자주 피로를 호소한다면 소아 우울증일 가능성이 있으니 의료기관을 방문해 상담을 받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신동원 (dongwon@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내용과 직접 연관 없음.
우울증 등으로 병원을 찾은 어린이가 최근 4년 새 2배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우울증 등 정신건강의학과 관련 질환으로 의원을 찾은 18세 미만 아동 환자는 27만 625명이었습니다. 이는 2020년과 비교하면 2배 넘게 늘어난 수준입니다.
최근 5년간 정신건강의학과 관련 질환 관련 어린이 환자는 ▲2020년 13만4,235명 ▲2021년 17만2,441명 ▲2022년 21만2,451명 ▲2023년 24만4,884명 등 해마다 증가했습니다.
정신과 진료를 위해 의원을 찾은 어린이 환자는 같은 기간 연평균 19.4% 증가했습니다.
특히, 초등학생 나이대인 7~12세 환자의 증가세가 유독 가팔랐습니다. 이 연령대 여자 어린이 환자는 1만2,260명에서 2만 9,165명으로 2.4배 증가했습니다. 동일 연령대 남자 어린이 환자 역시 2020년 3만3,800명에서 2024년 7만6,159명으로 2.3배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같은 기간 미취학 어린이(0~6세)는 1.5배, 13~18세 청소년은 남성과 여성 각각 1.9배, 2.1배 늘었습니다.
어린이 환자가 가장 많이 진단받은 질환은 '우울에피소드', '운동 과다장애, '불안장애', '기분장애' 등이었습니다.
소아 우울증은 흔히 나타나는 증상은 아니지만, 최근엔 어린이들이 과도한 학업 압박 등 스트레스 상황에 노출되면서 점차 늘어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소아 우울증의 경우 우울한 기분을 느끼는 대신 작은 일에 예민하게 반응하거나 자주 짜증을 내는 모습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반항심 내지 사춘기로 혼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녀가 집중력이 심하게 떨어지거나 결정을 내리기 어려워하고, 자주 피로를 호소한다면 소아 우울증일 가능성이 있으니 의료기관을 방문해 상담을 받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신동원 (dongwon@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