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점지’ 의혹까지.. 단일화 명분 흔들리는 보수 야권
대통령 후보 단일화를 둘러싼 국민의힘 내 갈등이 정점을 향하고 있습니다.
김문수 후보에 대한 당 지도부의 노골적인 압박을 두고, 안철수 의원은 “가위바위보가 낫다”, “이런 방식이라면 대선은 시작도 전에 끝난다”며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단일화의 필요성엔 공감하면서도, 절차 없는 ‘몰아치기 단일화’에 대한 반발이 격화되면서 대선 전략은 물론 정당의 존립 기반까지 흔들리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 “김문수는 들러리인가”.. 안철수, 지도부 정조준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7일 자신의 SNS를 통해 “이럴 거면 차라리 가위바위보로 후보를 정하는 게 낫다”며 당의 단일화 추진 방식을 강도 높게 비판했습니다.
안 의원은 “만약 한덕수 후보가 애초에 점지된 인물이라면, 당내 경선에 참여했던 후보들은 대체 뭐였나. 그들이 들러리였다는 말이냐”고 직격했습니다.
단일화 필요성엔 동의하지만, 당 지도부가 특정 후보를 밀어붙이는 방식은 공정성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특히 “김문수 후보가 시기와 절차, 전략을 주도해야 단일화의 효과가 극대화될 것”이라며 “지금처럼 일방적이고 몰아치는 단일화는 시작도 전에 대선을 끝장내는 셈”이라고 했습니다.
■ 단일화 명분 흔들.. ‘형식만 남은 절차’ 우려 확산
정당의 단일화는 야권 승리를 위한 전략 카드지만, 그 과정에서 후보의 자율성과 정당성, 민주적 절차가 배제된다면 오히려 역풍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실제 김문수 후보에 대한 ‘사퇴 압박’은 단일화를 향한 유권자 신뢰를 갉아먹는 양상입니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한덕수 후보를 단일 후보로 만들기 위해 당이 전력을 쏟고 있다”는 인식이 퍼지는 실정에, 이는 경선을 거쳐 나온 김 후보를 실질적으로 ‘패싱’하고 있다는 비판으로 번지는 모습입니다.
안 의원이 “당 지도부는 책임을 통감하고 처신을 분명히 하라”며 권영세 비대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를 실명으로 거론한 것도 이러한 불신의 방증으로 풀이됩니다.
■ 단일화의 탈을 쓴 내부 균열.. 정당성 시험대에 선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가 거부한 것은 단일화 그 자체가 아니라, 시기와 방식 모두를 배제한 일방적인 절차입니다.
경선을 거친 후보를 단일화 ‘대상’으로만 취급하고, 여론조사 등 외부 방식을 통해 사실상 교체하려는 시도는 정당 내부 절차의 신뢰를 흔들 수밖에 없습니다.
안철수 의원은 “차라리 가위바위보가 낫다”, “이런 방식이라면 대선은 시작도 전에 끝난다”고 지적하며, 단일화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정당성과 절차를 훼손하는 방식에는 분명한 선을 그었습니다.
정당이 스스로 세운 경선 룰을 뒤집는 순간, 단일화는 물론 정당 자체의 정당성마저 설득력을 잃게 된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우려도 좀처럼 가시질 않고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본인 페이스북 캡처)
대통령 후보 단일화를 둘러싼 국민의힘 내 갈등이 정점을 향하고 있습니다.
김문수 후보에 대한 당 지도부의 노골적인 압박을 두고, 안철수 의원은 “가위바위보가 낫다”, “이런 방식이라면 대선은 시작도 전에 끝난다”며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단일화의 필요성엔 공감하면서도, 절차 없는 ‘몰아치기 단일화’에 대한 반발이 격화되면서 대선 전략은 물론 정당의 존립 기반까지 흔들리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 “김문수는 들러리인가”.. 안철수, 지도부 정조준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7일 자신의 SNS를 통해 “이럴 거면 차라리 가위바위보로 후보를 정하는 게 낫다”며 당의 단일화 추진 방식을 강도 높게 비판했습니다.

안철수 의원 본인 페이스북 캡처
안 의원은 “만약 한덕수 후보가 애초에 점지된 인물이라면, 당내 경선에 참여했던 후보들은 대체 뭐였나. 그들이 들러리였다는 말이냐”고 직격했습니다.
단일화 필요성엔 동의하지만, 당 지도부가 특정 후보를 밀어붙이는 방식은 공정성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특히 “김문수 후보가 시기와 절차, 전략을 주도해야 단일화의 효과가 극대화될 것”이라며 “지금처럼 일방적이고 몰아치는 단일화는 시작도 전에 대선을 끝장내는 셈”이라고 했습니다.

김문수(왼쪽)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한덕수 前 국무총리
■ 단일화 명분 흔들.. ‘형식만 남은 절차’ 우려 확산
정당의 단일화는 야권 승리를 위한 전략 카드지만, 그 과정에서 후보의 자율성과 정당성, 민주적 절차가 배제된다면 오히려 역풍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실제 김문수 후보에 대한 ‘사퇴 압박’은 단일화를 향한 유권자 신뢰를 갉아먹는 양상입니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한덕수 후보를 단일 후보로 만들기 위해 당이 전력을 쏟고 있다”는 인식이 퍼지는 실정에, 이는 경선을 거쳐 나온 김 후보를 실질적으로 ‘패싱’하고 있다는 비판으로 번지는 모습입니다.
안 의원이 “당 지도부는 책임을 통감하고 처신을 분명히 하라”며 권영세 비대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를 실명으로 거론한 것도 이러한 불신의 방증으로 풀이됩니다.
■ 단일화의 탈을 쓴 내부 균열.. 정당성 시험대에 선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가 거부한 것은 단일화 그 자체가 아니라, 시기와 방식 모두를 배제한 일방적인 절차입니다.
경선을 거친 후보를 단일화 ‘대상’으로만 취급하고, 여론조사 등 외부 방식을 통해 사실상 교체하려는 시도는 정당 내부 절차의 신뢰를 흔들 수밖에 없습니다.
안철수 의원은 “차라리 가위바위보가 낫다”, “이런 방식이라면 대선은 시작도 전에 끝난다”고 지적하며, 단일화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정당성과 절차를 훼손하는 방식에는 분명한 선을 그었습니다.
정당이 스스로 세운 경선 룰을 뒤집는 순간, 단일화는 물론 정당 자체의 정당성마저 설득력을 잃게 된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우려도 좀처럼 가시질 않고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