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지 참배 도중 항의 받아.. 교도소 터서 “소리지르는 사람들, 아픔 모른다”
유족과 접촉 없이 일정 마무리.. 참배 후 회의, 이재명 비판 발언도 병행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5·18 민주화운동 제45주년을 하루 앞둔 17일 광주를 방문해 국립5·18민주묘지를 참배한 뒤, 현장에서 항의한 시민들을 두고 “그 사람들이 5월의 아픔을 알겠나. 아무것도 모르고 소리지른다”고 말한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김 후보는 이날 오전 8시 30분께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를 찾아 헌화·분향하고, 박관현·윤상원 열사 묘역 및 무명열사 묘소를 차례로 참배했습니다. 방명록에는 “오월 광주 피로 쓴 민주주의”라고 적었습니다.
묘지 진입 과정에서는 시민단체 ‘광주전남 촛불행동’과 일부 대학생들이 “내란 공범은 광주를 떠나라”는 문구가 적힌 팻말을 들고 항의했고, 고함이 이어졌습니다. 김 후보는 이들과 대화하거나 유족들과 접촉하지 않은 채 일정 종료 후 현장을 떠났습니다.
김 후보는 이후 광주교도소 터를 방문해, 1980년대 초 노동운동으로 수감됐던 자신의 경험을 언급하며 당시 옥중에서 숨진 박관현 열사에 대해 “같은 방에서 생활한 적 있다. 아픈 기억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같은 장소에서 그는 앞서 묘지에서 항의했던 시민들을 겨냥해 “그 사람들이 5월의 아픔을 알겠나. 아무것도 모르고 소리지른다”고 발언했습니다.
이러한 발언은 현장에 동행한 취재진을 통해 언론에 공개됐습니다.
이어 오전 10시경, 김 후보는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국민의힘 중앙선거대책위원회 광주·전남·북 현장회의에 참석했습니다.
김 후보는 이 자리에서 “5·18의 희생은 대한민국 자유와 인권, 민주주의를 위한 밑그림이었다”며 “그 희생은 올바른 정치를 하라는 역사적 명령”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이재명 후보의 허위사실 공표 혐의를 민주당이 형법과 공직선거법에서 삭제하려 하고, 이를 수사한 검찰총장을 탄핵하려 하는 것이 과연 민주주의인가”라고 말하며 정치적 메시지를 이어갔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자진 탈당에 대해서는 “그 뜻을 존중한다. 앞으로 그 뜻을 잘 받아들여 더 혁신하고 국민의 뜻에 맞는 선거운동을 하겠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김용태 공동선대위원장은 “5·18 정신을 헌법 전문에 수록하겠다”고 공약하며, 광주 인공지능(AI) 2단계 사업 추진과 복합쇼핑몰 예정지 교통 인프라 확충 등 지역 현안에 대한 지원 의사도 밝혔습니다.
김 후보는 이날 광주 일정을 마친 뒤 전북으로 이동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족과 접촉 없이 일정 마무리.. 참배 후 회의, 이재명 비판 발언도 병행

김문수 대선 후보가 5·18 제45주년을 하루 앞둔 17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참배하고 있다. (국민의힘)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5·18 민주화운동 제45주년을 하루 앞둔 17일 광주를 방문해 국립5·18민주묘지를 참배한 뒤, 현장에서 항의한 시민들을 두고 “그 사람들이 5월의 아픔을 알겠나. 아무것도 모르고 소리지른다”고 말한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김 후보는 이날 오전 8시 30분께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를 찾아 헌화·분향하고, 박관현·윤상원 열사 묘역 및 무명열사 묘소를 차례로 참배했습니다. 방명록에는 “오월 광주 피로 쓴 민주주의”라고 적었습니다.
묘지 진입 과정에서는 시민단체 ‘광주전남 촛불행동’과 일부 대학생들이 “내란 공범은 광주를 떠나라”는 문구가 적힌 팻말을 들고 항의했고, 고함이 이어졌습니다. 김 후보는 이들과 대화하거나 유족들과 접촉하지 않은 채 일정 종료 후 현장을 떠났습니다.
김 후보는 이후 광주교도소 터를 방문해, 1980년대 초 노동운동으로 수감됐던 자신의 경험을 언급하며 당시 옥중에서 숨진 박관현 열사에 대해 “같은 방에서 생활한 적 있다. 아픈 기억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같은 장소에서 그는 앞서 묘지에서 항의했던 시민들을 겨냥해 “그 사람들이 5월의 아픔을 알겠나. 아무것도 모르고 소리지른다”고 발언했습니다.
이러한 발언은 현장에 동행한 취재진을 통해 언론에 공개됐습니다.

김문수 후보가 17일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아 헌화·분향한 뒤 방명록에 '오월 광주 피로 쓴 민주주의'(오른쪽 아래)라고 적고 있다. 김 후보는 이날 참배 후 시민 항의를 받았으며, 광주교도소 터 방문 중 “그 사람들이 5월의 아픔을 알겠나”라고 발언했다. (국민의힘)
이어 오전 10시경, 김 후보는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국민의힘 중앙선거대책위원회 광주·전남·북 현장회의에 참석했습니다.
김 후보는 이 자리에서 “5·18의 희생은 대한민국 자유와 인권, 민주주의를 위한 밑그림이었다”며 “그 희생은 올바른 정치를 하라는 역사적 명령”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이재명 후보의 허위사실 공표 혐의를 민주당이 형법과 공직선거법에서 삭제하려 하고, 이를 수사한 검찰총장을 탄핵하려 하는 것이 과연 민주주의인가”라고 말하며 정치적 메시지를 이어갔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자진 탈당에 대해서는 “그 뜻을 존중한다. 앞으로 그 뜻을 잘 받아들여 더 혁신하고 국민의 뜻에 맞는 선거운동을 하겠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김용태 공동선대위원장은 “5·18 정신을 헌법 전문에 수록하겠다”고 공약하며, 광주 인공지능(AI) 2단계 사업 추진과 복합쇼핑몰 예정지 교통 인프라 확충 등 지역 현안에 대한 지원 의사도 밝혔습니다.
김 후보는 이날 광주 일정을 마친 뒤 전북으로 이동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