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인협회 설문조사
국민 10명 가운데 6명은 '물가 안정'을 최우선 민생 과제로 생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한국경제인협회가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민생 과제 조사 결과에서 전체 응답자의 60.9%가 '물가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선택했습니다.
이어 양질의 일자리 창출(17.6%), 주거 안정(9.5%), 지역경제 활성화(7.8%), 취약계층 지원 강화(3.8%)가 뒤를 이었습니다.
'물가 안정'은 모든 연령대에서도 가장 높은 선택을 받았습니다.
20대 이하(57.2%), 30대(56.3%), 40대(63.5%), 50대(64.9%), 60대 이상(60.7%) 등 전 세대에서 물가 안정 응답률이 높았습니다.
물가 안정 외에는 20대 이하(23.0%)와 50대(19.3%)에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높았습니다.
30대에서는 '주거 안정'(16.9%)과 '일자리 창출'(16.9%)이 같은 수준으로 집계됐습니다.
민생경제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고물가 및 생활비 부담증가'(53.5%)가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어 일자리 문제 및 고용불안(11.3%), 주거비 상승 및 전월세 부담(10.0%), 경기 둔화 및 내수 위축(7.2%), 소득 정체 및 실질임금 감소(6.8%)가 뒤를 이었습니다.
한경협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최근 2%대 초반으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고물가가 장기간 지속되면서 국민들이 여전히 높은 체감 물가를 느끼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실제로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 2016년 95.78에서 2020년 100으로 상승한 뒤 올해 4월 까지 116.38까지 올랐습니다.
정부가 물가 안정을 위해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는 '농축산물·생필품 가격 안정'이 35.9%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공공요금 부담 경감(21.8%), 환율 변동성 완화 및 수입 물가 안정(17.2%), 세금 부담 완화 및 생활비 지원(17.1%), 에너지·원자재 가격 안정(7.8%)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관련해서는 청년·여성·고령층 맞춤형 고용 지원 강화(31.9%), 첨단산업 및 신성장 분야 일자리 창출(21.0%), 노동시장 개혁 및 근로환경 개선(20.6%), 중소기업·스타트업 육성 통한 고용 확대(20.0%) 등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주거 안정 방안으로는 주택 공급 확대 및 부동산 시장 안정(36.3%)이 가장 높았으며 전월세 가격 안정 및 세입자 보호(27.4%), 주거 취약계층 지원(16.1%), 주택 금융·세제 지원 확대(13.2%)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밖에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으로는 교통·물류망 등 인프라 개선(31.4%), 지역 관광 및 전통시장 활성화(23.1%) 등이 제시됐습니다.
JIBS 제주방송 이효형 (getstarted@hanmail.net)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민 10명 가운데 6명은 '물가 안정'을 최우선 민생 과제로 생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한국경제인협회가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민생 과제 조사 결과에서 전체 응답자의 60.9%가 '물가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선택했습니다.
이어 양질의 일자리 창출(17.6%), 주거 안정(9.5%), 지역경제 활성화(7.8%), 취약계층 지원 강화(3.8%)가 뒤를 이었습니다.
'물가 안정'은 모든 연령대에서도 가장 높은 선택을 받았습니다.
20대 이하(57.2%), 30대(56.3%), 40대(63.5%), 50대(64.9%), 60대 이상(60.7%) 등 전 세대에서 물가 안정 응답률이 높았습니다.
물가 안정 외에는 20대 이하(23.0%)와 50대(19.3%)에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높았습니다.
30대에서는 '주거 안정'(16.9%)과 '일자리 창출'(16.9%)이 같은 수준으로 집계됐습니다.

한국경제인협회 제공
민생경제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고물가 및 생활비 부담증가'(53.5%)가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어 일자리 문제 및 고용불안(11.3%), 주거비 상승 및 전월세 부담(10.0%), 경기 둔화 및 내수 위축(7.2%), 소득 정체 및 실질임금 감소(6.8%)가 뒤를 이었습니다.
한경협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최근 2%대 초반으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고물가가 장기간 지속되면서 국민들이 여전히 높은 체감 물가를 느끼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실제로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 2016년 95.78에서 2020년 100으로 상승한 뒤 올해 4월 까지 116.38까지 올랐습니다.
정부가 물가 안정을 위해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는 '농축산물·생필품 가격 안정'이 35.9%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공공요금 부담 경감(21.8%), 환율 변동성 완화 및 수입 물가 안정(17.2%), 세금 부담 완화 및 생활비 지원(17.1%), 에너지·원자재 가격 안정(7.8%)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관련해서는 청년·여성·고령층 맞춤형 고용 지원 강화(31.9%), 첨단산업 및 신성장 분야 일자리 창출(21.0%), 노동시장 개혁 및 근로환경 개선(20.6%), 중소기업·스타트업 육성 통한 고용 확대(20.0%) 등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주거 안정 방안으로는 주택 공급 확대 및 부동산 시장 안정(36.3%)이 가장 높았으며 전월세 가격 안정 및 세입자 보호(27.4%), 주거 취약계층 지원(16.1%), 주택 금융·세제 지원 확대(13.2%)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밖에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으로는 교통·물류망 등 인프라 개선(31.4%), 지역 관광 및 전통시장 활성화(23.1%) 등이 제시됐습니다.
JIBS 제주방송 이효형 (getstarted@hanmail.net)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대선 사전투표 막아달라" 법대 교수 가처분 신청.. 헌재 '기각'
- ∙︎ “경제는 모르고 정권은 노쇼?”.. ‘호텔경제’ 한마디가 판을 갈랐다
- ∙︎ 표는 나뉘어도 흐름은 기운다.. ‘구조적 우세’ 드러난 이재명 지표
- ∙︎ '김문수 임명장' 수만 장 살포 가능성..."임명장 번호가 3만대"
- ∙︎ “대통령 3년, 국회의원 30명 줄인다”.. 김문수의 ‘정치 리셋’ 개헌안 전격 공개
- ∙︎ “하늘 아닌 바다로 진로 튼다” 크루즈 준모항 시대.. 이제 사람에 투자한다
- ∙︎ ‘청산’이냐 ‘트로이목마’냐.. 대선 앞둔 국민의힘, 내전 본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