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2년 제주 1인 가구 12만 돌파 전망
70대 이상 37.8%, 60살 이상은 60%
‘혼자 사는 노년’.. 준비는 누가 책임지나
2052년, 제주도 1인 가구 10곳 중 6곳은 ‘노인’이 차지할 것이란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그중 절반 이상은 70살 이상.
더 이상 ‘홀로’라는 생활 양식은 젊은이의 라이프스타일이 아니라, 고령사회의 구조적 필연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늘어나는 것만 문제가 아니라, 그 증가 속도와 복합적 위험성이 심각성을 더하고 있습니다.
■ 고령 1인가구, ‘변화’ 아닌 ‘구조’가 되다
23일 호남지방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제주 지역 1인 가구는 전체의 33.7%인 9만 3,739가구로 집계됐습니다.
그러나 불과 30년 뒤인 2052년에는 12만 3,293가구, 전체 가구의 39.3%까지 늘어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목되는 건 이 중 37.8%인 4만 6,658가구가 70살 이상 고령층이라는 점입니다.
여기에 60대를 포함하면 무려 59.7%(7만 3,568가구)에 달합니다. 1인 가구 10곳 중 6곳이 고령층, 그중 3곳 이상이 ‘초고령’인 사회가 되는 셈입니다.
■ 50대의 정점은 지나간다.. “2030·40대 1인 가구, 지속 감소”
2023년 기준으로는 50대가 20.7%로 가장 많았지만, 향후 20~~50대 비중은 급격히 줄어들 것으로 예측됩니다. 2052년에는 29살 이하가 5.1%, 30대는 8.5%, 40대는 9.4%로 각각 6~~8%p 감소할 전망입니다.
이는 비혼 증가와 이른 독립이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인구 자체 감소와 청년 유출이 맞물려 발생한 현상입니다. 즉, ‘젊은 1인 가구’는 줄고, ‘노인 1인 가구’는 늘어나는 쏠림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 ‘혼자’ 사는 이유, 더는 자발적이지 않아
2023년 제주에서 1인 가구가 된 이유 중 가장 많은 응답은 ‘배우자 사망’(40.5%)이었습니다. 이는 2020년보다 무려 8.4%포인트(p) 상승한 수치로, 타 연령대 대비 노년층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는 방증입니다. ‘혼자 살고 싶어서’(15.7%)나 ‘학업·직장’(13.1%)은 큰 폭으로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자발적 1인 가구’에서 ‘불가피한 독거노인’으로의 전환이 구조화되고 있는 것입니다.
■ 의료비가 ‘가장 무거운 부담’.. 식비보다 높아
같은 보고서에서 제주지역 1인가구는 가장 부담되는 지출 항목으로 ‘의료비’(35.7%)를 꼽았습니다. 전국 평균에서는 식비가 42.9%로 가장 높았던 것과 비교됩니다.
이는 제주지역 의료 접근성 한계, 즉 ‘수도권 원정 진료’와 연계된 문제로 풀이됩니다. 의료 공백이 재정 압박으로 직결되는 구조입니다.
■ “건강은 좋아졌지만, 미래는 걱정”
자신의 건강 상태를 ‘좋다’고 평가한 제주 1인 가구 비율은 2020년 대비 14.2%p 늘어난 56.5%에 달했습니다.
하지만 ‘가장 우려되는 미래 위험’으로는 57.0%가 ‘질병·건강 악화’를 꼽았습니다. 현재의 건강 인식과 미래의 불안이 동시에 공존하는 이중 구조입니다.
■ “늙는 사람은 늘어나는데, 준비된 집은 여전히 부족하다”
2023년 기준 제주 1인 가구의 주거 유형은 여전히 단독주택(46.6%) 비중이 가장 높았습니다.
다만 아파트 거주 비율은 20.7%로, 2015년보다 2.0%포인트 높아졌습니다.
특히 70살 이상 고령층의 아파트 거주율은 22.0%로, 같은 기간 6.6%p나 상승했습니다. 주
거 형태는 천천히 바뀌고 있지만, 변화의 속도는 그리 여유롭지 않아 보입니다.
전문가들은 “이제는 ‘혼자 사는 노년’의 시대에 맞는 주거 기준을 새로 정해야 할 때”라며 “늙는 속도보다 느린 준비가 더는 방치돼선 안 된다”고 말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70대 이상 37.8%, 60살 이상은 60%
‘혼자 사는 노년’.. 준비는 누가 책임지나

2052년, 제주도 1인 가구 10곳 중 6곳은 ‘노인’이 차지할 것이란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그중 절반 이상은 70살 이상.
더 이상 ‘홀로’라는 생활 양식은 젊은이의 라이프스타일이 아니라, 고령사회의 구조적 필연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늘어나는 것만 문제가 아니라, 그 증가 속도와 복합적 위험성이 심각성을 더하고 있습니다.
■ 고령 1인가구, ‘변화’ 아닌 ‘구조’가 되다
23일 호남지방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제주 지역 1인 가구는 전체의 33.7%인 9만 3,739가구로 집계됐습니다.
그러나 불과 30년 뒤인 2052년에는 12만 3,293가구, 전체 가구의 39.3%까지 늘어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목되는 건 이 중 37.8%인 4만 6,658가구가 70살 이상 고령층이라는 점입니다.
여기에 60대를 포함하면 무려 59.7%(7만 3,568가구)에 달합니다. 1인 가구 10곳 중 6곳이 고령층, 그중 3곳 이상이 ‘초고령’인 사회가 되는 셈입니다.

■ 50대의 정점은 지나간다.. “2030·40대 1인 가구, 지속 감소”
2023년 기준으로는 50대가 20.7%로 가장 많았지만, 향후 20~~50대 비중은 급격히 줄어들 것으로 예측됩니다. 2052년에는 29살 이하가 5.1%, 30대는 8.5%, 40대는 9.4%로 각각 6~~8%p 감소할 전망입니다.
이는 비혼 증가와 이른 독립이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인구 자체 감소와 청년 유출이 맞물려 발생한 현상입니다. 즉, ‘젊은 1인 가구’는 줄고, ‘노인 1인 가구’는 늘어나는 쏠림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 ‘혼자’ 사는 이유, 더는 자발적이지 않아
2023년 제주에서 1인 가구가 된 이유 중 가장 많은 응답은 ‘배우자 사망’(40.5%)이었습니다. 이는 2020년보다 무려 8.4%포인트(p) 상승한 수치로, 타 연령대 대비 노년층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는 방증입니다. ‘혼자 살고 싶어서’(15.7%)나 ‘학업·직장’(13.1%)은 큰 폭으로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자발적 1인 가구’에서 ‘불가피한 독거노인’으로의 전환이 구조화되고 있는 것입니다.
■ 의료비가 ‘가장 무거운 부담’.. 식비보다 높아
같은 보고서에서 제주지역 1인가구는 가장 부담되는 지출 항목으로 ‘의료비’(35.7%)를 꼽았습니다. 전국 평균에서는 식비가 42.9%로 가장 높았던 것과 비교됩니다.
이는 제주지역 의료 접근성 한계, 즉 ‘수도권 원정 진료’와 연계된 문제로 풀이됩니다. 의료 공백이 재정 압박으로 직결되는 구조입니다.

■ “건강은 좋아졌지만, 미래는 걱정”
자신의 건강 상태를 ‘좋다’고 평가한 제주 1인 가구 비율은 2020년 대비 14.2%p 늘어난 56.5%에 달했습니다.
하지만 ‘가장 우려되는 미래 위험’으로는 57.0%가 ‘질병·건강 악화’를 꼽았습니다. 현재의 건강 인식과 미래의 불안이 동시에 공존하는 이중 구조입니다.
■ “늙는 사람은 늘어나는데, 준비된 집은 여전히 부족하다”
2023년 기준 제주 1인 가구의 주거 유형은 여전히 단독주택(46.6%) 비중이 가장 높았습니다.
다만 아파트 거주 비율은 20.7%로, 2015년보다 2.0%포인트 높아졌습니다.
특히 70살 이상 고령층의 아파트 거주율은 22.0%로, 같은 기간 6.6%p나 상승했습니다. 주
거 형태는 천천히 바뀌고 있지만, 변화의 속도는 그리 여유롭지 않아 보입니다.
전문가들은 “이제는 ‘혼자 사는 노년’의 시대에 맞는 주거 기준을 새로 정해야 할 때”라며 “늙는 속도보다 느린 준비가 더는 방치돼선 안 된다”고 말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