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29일) 오후 4시 12분쯤 일본 가고시마현 남남서쪽 278㎞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5.1 지진 (사진, 기상청)
일본 해역에서 일주일 새 수백 회에 이르는 소규모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SNS 등에서 '7월 대지진설'이 급속히 확산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지리적 특성과 지진의 규모 등을 근거로 이 소문이 과학적 근거가 없다고 보고 있습니다.
오늘(29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도카라 열도에서는 지난 21일부터 전날 오후 6시까지 진도 1이 넘는 지진이 525회 관측됐습니다.
일본 기상청 지진 등급인 진도는 절대 강도를 의미하는 규모와는 달리 지진이 일어났을 때 해당 지역에 있는 사람 느낌이나 주변 물체 흔들림 정도 등을 수치로 나타낸 상대적 개념입니다.
1이 흔들림이 가장 약하고 7이 가장 강합니다.
도카라 열도에서는 이날도 40회 넘는 지진이 일어났습니다.
최대 규모는 4.7이었고, 이 지진으로 일부 지역에서 대부분의 사람이 놀라는 진도 4의 흔들림이 감지됐습니다.
도카라 열도에서는 2021년 12월과 2023년 9월에도 각각 300회가 넘는 소규모 지진이 연이어 발생한 바 있습니다.
이에 일본 현지 SNS나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는 이른바 '도카라의 법칙'이라는 속설이 회자됐습니다.
이 법칙은 도카라 열도 근해에서 지진이 연이어 발생하면 이후 다른 장소에서 대지진이 일어난다는 것입니다.
특히 이 소문은 일본의 인기 만화가 다쓰기 료가 다음 달 5일 일본 서남부에 대지진이 발생할 것이라고 예측한 점과 맞물리면서 급속도로 퍼졌습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과학적 근거가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요코세 히사요시 구마모토대 교수는 마이니치신문에 "이번 지진은 모두 소규모"라며 "이 정도 지진이 거대 지진을 유발한다고는 생각하기 힘들다"고 밝혔습니다.
나카지마 준이치 도쿄과학대 교수도 닛케이에 "일본은 지진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군발지진이 있는 동안 다른 장소에서 지진이 일어나는 것이 드물지 않다"며 "과학적으로 도카라 지진과 거대 지진이 관계돼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또 나카지마 교수는 일본 열도 남부 난카이 해곡에서 30년 이내에 발생할 확률이 80% 정도로 알려진 규모 8∼9의 대지진과 관련해서도 "해역이 달라 관계가 없다"고 분석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재연(Replay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