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오을 “커피도 일” 해명에 “그건 탈세” 직격
배추 총리·갭투기 외교·음란물 장관까지.. 내각 도덕성 파열음
청문위원 맞고발, “검증 시스템 작동하나” 정면 비판
이재명 대통령이 지명한 초대 내각이 다시 도덕성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 권오을 씨의 ‘겹치기 급여 수령’ 의혹을 두고, 국민의힘 주진우 의원이 “커피 한 잔도 일이라는 해명은 탈세 소지”라고 직격하며 공세에 나섰습니다.
주 의원은 조현·한성숙·김민석 후보자 등을 싸잡아 “‘배추 총리’, ‘커피 장관’, ‘음란물 장관’까지.. 눈 돌아가는 포메이션”이라고 비판하며, 대통령실의 인사검증 시스템 자체에 붕괴 조짐이 보인다고 지적했습니다.
총리부터 장관 후보자까지 잇따라 부동산 투기·증여세 미납·형사 처벌 전력 등의 논란이 이어지며, 이재명 정부 인사의 도덕적 기준이 무너지고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주 의원은 급기야, 자신과 여당을 허위사실로 고발한 청문위원들과 관련자들을 무고 및 명예훼손 혐의로 역고발하며 공세 수위를 한층 끌어올렸습니다.
■ “커피 마시는 것도 일”.. 겹치기 급여 논란에 나온 해명
권오을 보훈부 장관 후보자는 2023년과 2024년 각각 4개 업체에서 약 1억 5,000만 원의 급여를 받았습니다.
전국에 흩어진 법인들이었고, 실제 물리적으로 가능한 근무 형태였는지를 두고 ‘겹치기 급여 수령’ 의혹이 불거졌습니다.
여기에 배우자까지 동일한 방식으로 급여를 받았다는 의혹이 더해지면서 ‘부부 동시 월급 수령’ 논란이 확산됐습니다.
이에 대해 권 후보자는 한 언론 질의에서 “옆에서 같이 커피 한잔하는 것도 일이다. 광고주 만날 때 동석한 것”이라는 해명을 내놨습니다.
주진우 의원은 이를 “황당한 해명”이라고 일갈했습니다.
“일하지 않고 급여만 받았다면, 그건 명백한 탈세”라며 “국민은 세금 한 푼에도 민감한데, 이런 식의 해명은 국민을 조롱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 배추·도로·음란물.. 인사 후보자 곳곳서 “상식 이탈”
주 의원은 이재명 정부 1기 내각 후보자 전반에 대해 도덕적 일탈 문제가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김민석 총리 후보자는 배추밭 투자 수익, 처가로부터의 2억 원 생활비 지원, 억대 출판기념회 수익 등 여러 경로로 ‘현금 수령’ 의혹이 불거졌으며, 현재는 증여세 누락과 탈세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습니다.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는 아들이 갭투기로 15억 원 수익을 얻고, 배우자는 한남뉴타운 개발 직전 도로를 매입해 10억 원 차익을 얻었다는 의혹에 휘말렸습니다.
주 의원은 이를 “도로에서 먹고 잔 것도 아닐 텐데”라며 전형적인 개발 투기라고 직격했습니다.
안보실장 내정자인 위성락 전 대사는 가족 명의로만 80억 원 상당의 부동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성숙 중기부 장관 후보자는 ‘음란물 유포’ 관련 업무 책임자로 과거 처벌 전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주 의원은 “배추 총리, 커피 보훈부장관, 도로 외교부 장관, 부동산 안보실장, 음란물 중기부장관까지, 도저히 눈이 돌아갈 포메이션”이라며 “이 정도면 검증 시스템이 아니라, 그냥 프리패스”라고 꼬집었습니다.
■ 인사청문 반박한 야당 의원들, ‘맞고발’로 반격
국무총리 인사청문회를 통해 김민석 후보자의 도덕성을 지적한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의원들을 향해, 국민의힘은 ‘무고죄·명예훼손죄·횡령’ 혐의로 역고발장을 접수했습니다.
주진우 의원은 페이스북에 “허위사실로 국민의힘을 고발한 정치권 인사들에 대해 반드시 책임을 물을 것”이라며 “국민의 알 권리를 침해하고, 정당의 명예를 훼손한 점에 대해 엄정한 수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해당 고발에는 김현·박균택·박선원·전용기·오기형 등 인사청문위원 7명과 김민석 후보자의 과거 후원회장이었던 강신성 씨가 포함됐습니다.
주 의원은 강 씨에 대해 “회삿돈 50억 원을 횡령했다는 의혹이 있다”며 검찰 수사 필요성까지 직접 거론했습니다.
그러면서 “인사검증 시스템이 작동되고 있는 것 맞나”라고 반문하며, 대통령실을 향한 의구심을 노골적으로 드러냈습니다.
이처럼 인사청문회가 도덕성 검증을 넘어 고발과 수사 공방으로까지 확산된 상황에서, 대통령실 인사라인의 시스템이 지금이라도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결과로 입증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추 총리·갭투기 외교·음란물 장관까지.. 내각 도덕성 파열음
청문위원 맞고발, “검증 시스템 작동하나” 정면 비판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 (본인 페이스북 캡처)
이재명 대통령이 지명한 초대 내각이 다시 도덕성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 권오을 씨의 ‘겹치기 급여 수령’ 의혹을 두고, 국민의힘 주진우 의원이 “커피 한 잔도 일이라는 해명은 탈세 소지”라고 직격하며 공세에 나섰습니다.
주 의원은 조현·한성숙·김민석 후보자 등을 싸잡아 “‘배추 총리’, ‘커피 장관’, ‘음란물 장관’까지.. 눈 돌아가는 포메이션”이라고 비판하며, 대통령실의 인사검증 시스템 자체에 붕괴 조짐이 보인다고 지적했습니다.
총리부터 장관 후보자까지 잇따라 부동산 투기·증여세 미납·형사 처벌 전력 등의 논란이 이어지며, 이재명 정부 인사의 도덕적 기준이 무너지고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주 의원은 급기야, 자신과 여당을 허위사실로 고발한 청문위원들과 관련자들을 무고 및 명예훼손 혐의로 역고발하며 공세 수위를 한층 끌어올렸습니다.
■ “커피 마시는 것도 일”.. 겹치기 급여 논란에 나온 해명
권오을 보훈부 장관 후보자는 2023년과 2024년 각각 4개 업체에서 약 1억 5,000만 원의 급여를 받았습니다.
전국에 흩어진 법인들이었고, 실제 물리적으로 가능한 근무 형태였는지를 두고 ‘겹치기 급여 수령’ 의혹이 불거졌습니다.
여기에 배우자까지 동일한 방식으로 급여를 받았다는 의혹이 더해지면서 ‘부부 동시 월급 수령’ 논란이 확산됐습니다.
이에 대해 권 후보자는 한 언론 질의에서 “옆에서 같이 커피 한잔하는 것도 일이다. 광고주 만날 때 동석한 것”이라는 해명을 내놨습니다.
주진우 의원은 이를 “황당한 해명”이라고 일갈했습니다.
“일하지 않고 급여만 받았다면, 그건 명백한 탈세”라며 “국민은 세금 한 푼에도 민감한데, 이런 식의 해명은 국민을 조롱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 배추·도로·음란물.. 인사 후보자 곳곳서 “상식 이탈”
주 의원은 이재명 정부 1기 내각 후보자 전반에 대해 도덕적 일탈 문제가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김민석 총리 후보자는 배추밭 투자 수익, 처가로부터의 2억 원 생활비 지원, 억대 출판기념회 수익 등 여러 경로로 ‘현금 수령’ 의혹이 불거졌으며, 현재는 증여세 누락과 탈세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습니다.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는 아들이 갭투기로 15억 원 수익을 얻고, 배우자는 한남뉴타운 개발 직전 도로를 매입해 10억 원 차익을 얻었다는 의혹에 휘말렸습니다.
주 의원은 이를 “도로에서 먹고 잔 것도 아닐 텐데”라며 전형적인 개발 투기라고 직격했습니다.
안보실장 내정자인 위성락 전 대사는 가족 명의로만 80억 원 상당의 부동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성숙 중기부 장관 후보자는 ‘음란물 유포’ 관련 업무 책임자로 과거 처벌 전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주 의원은 “배추 총리, 커피 보훈부장관, 도로 외교부 장관, 부동산 안보실장, 음란물 중기부장관까지, 도저히 눈이 돌아갈 포메이션”이라며 “이 정도면 검증 시스템이 아니라, 그냥 프리패스”라고 꼬집었습니다.
■ 인사청문 반박한 야당 의원들, ‘맞고발’로 반격
국무총리 인사청문회를 통해 김민석 후보자의 도덕성을 지적한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의원들을 향해, 국민의힘은 ‘무고죄·명예훼손죄·횡령’ 혐의로 역고발장을 접수했습니다.

주진우 의원 페이스북 캡처
주진우 의원은 페이스북에 “허위사실로 국민의힘을 고발한 정치권 인사들에 대해 반드시 책임을 물을 것”이라며 “국민의 알 권리를 침해하고, 정당의 명예를 훼손한 점에 대해 엄정한 수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해당 고발에는 김현·박균택·박선원·전용기·오기형 등 인사청문위원 7명과 김민석 후보자의 과거 후원회장이었던 강신성 씨가 포함됐습니다.
주 의원은 강 씨에 대해 “회삿돈 50억 원을 횡령했다는 의혹이 있다”며 검찰 수사 필요성까지 직접 거론했습니다.
그러면서 “인사검증 시스템이 작동되고 있는 것 맞나”라고 반문하며, 대통령실을 향한 의구심을 노골적으로 드러냈습니다.
이처럼 인사청문회가 도덕성 검증을 넘어 고발과 수사 공방으로까지 확산된 상황에서, 대통령실 인사라인의 시스템이 지금이라도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결과로 입증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