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투자은행 8곳 韓 경제 전망치 상향 조정
경제 성장률 전망치 상향, 1년 4개월 만에
새 정부 출범·2차 추경·미중갈등 완화 등 분석
해외 주요 투자은행들이 우리나라의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습니다.
오늘(4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주요 투자은행 8곳이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6월 말 기준 평균 0.9%p로 제시했습니다.
이는 전월 전망치(0.8%) 대비 0.1%p 오른 것입니다.
투자은행들이 전망치를 상향한 것은 지난해 2월 이후 1년 4개월 만입니다. 그간은 내리 하향 조정되거나 변동이 없었습니다.
은행별로 보면, 바클리가 1.0%에서 1.1%로, 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가 0.8%에서 1.0%로, UBS가 1.0%에서 1.2%로 각각 전망치를 올렸습니다.
골드만삭스는 1.1%, 노무라는 1.0%, HSBC는 0.7%, 씨티는 0.6%, JP모건은 0.5%를 각각 유지했습니다.
투자은행들의 상향 전망은 한국의 새 정부 출범에 따른 정책 안정성과 이번 추가경정예산안 등 정부의 확장 재정 정책 등 국내적 요인과, 미중간 관세 전쟁 완화에 따른 수출 시장 개선 기대 등 국제적 요인이 함께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특히, 경제계 쪽에선 이번 2차 추경이 투자은행들의 판단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최근 외신 인터뷰에서 "추경 패키지가 올해 성장률을 약 0.2%p 끌어올리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신동원 (dongwon@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제 성장률 전망치 상향, 1년 4개월 만에
새 정부 출범·2차 추경·미중갈등 완화 등 분석

해외 주요 투자은행들이 우리나라의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습니다.
오늘(4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주요 투자은행 8곳이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6월 말 기준 평균 0.9%p로 제시했습니다.
이는 전월 전망치(0.8%) 대비 0.1%p 오른 것입니다.
투자은행들이 전망치를 상향한 것은 지난해 2월 이후 1년 4개월 만입니다. 그간은 내리 하향 조정되거나 변동이 없었습니다.
은행별로 보면, 바클리가 1.0%에서 1.1%로, 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가 0.8%에서 1.0%로, UBS가 1.0%에서 1.2%로 각각 전망치를 올렸습니다.
골드만삭스는 1.1%, 노무라는 1.0%, HSBC는 0.7%, 씨티는 0.6%, JP모건은 0.5%를 각각 유지했습니다.
투자은행들의 상향 전망은 한국의 새 정부 출범에 따른 정책 안정성과 이번 추가경정예산안 등 정부의 확장 재정 정책 등 국내적 요인과, 미중간 관세 전쟁 완화에 따른 수출 시장 개선 기대 등 국제적 요인이 함께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특히, 경제계 쪽에선 이번 2차 추경이 투자은행들의 판단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최근 외신 인터뷰에서 "추경 패키지가 올해 성장률을 약 0.2%p 끌어올리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신동원 (dongwon@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전 국민 15만 원 소비쿠폰 오는 21일부터 지급.. 신청 다음 날 충전
- ∙︎ '지각 예고'로 특검과 기싸움 尹, '9시 1분'에 도착.. 설렁탕 먹고 계속 조사
- ∙︎ 밭일 나가 연락 끊긴 80대.. 폭염 속 11시간 동안 경운기에 깔려 있었다
- ∙︎ “55만 원 준다더니, 쓸 데가 없다?”.. 정부 소비쿠폰, 왜 마트·배달앱은 막았나
- ∙︎ “빚 갚은 361만 명은 뭐였나?”.. 연체자 탕감에 성실 상환자 ‘집단 분노’
- ∙︎ 李 "빚 탕감 도덕적 해이? 못 갚는 건 없애주는 게 맞아.. 받아내는 건 부당이득"
- ∙︎ 日 "대지진설 헛소문" 일축에도 연기 분출'지진 1,220회.. 불안 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