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의정 갈등 해소를 위한 새 정부와 의사 단체 간 대화가 시작된 가운데 환자단체가 전공의와 의대생들에게 복귀를 위한 특혜를 줘선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오늘(8일) 성명을 내고 "약 1만 명의 전공의가 집단 사직하면서 환자는 응급실 뺑뺑이에 노출됐고, 가족들은 울분을 삼켰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연합회는 "새 정부가 의료계를 만나 목소리를 청취하는 것은 환영할 일이지만, 의료 공백 사태의 최대 피해자인 환자의 목소리를 듣지 않는 상황"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당연히 의정 갈등과 의료공백 문제는 환자 중심으로 해결될 것으로 기대했다"며 "그런데 핵심이 전공의, 의대생의 복귀 조건에 있으며, 여기에 수련·학사 관련 특혜성 조치도 포함될 수 있다는 언론 보도가 나오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이들은 "전공의와 의대생은 1년 5개월 전 자발적으로 사직·휴학했다는 이유로 정부는 개입하지 말라고 주장했다"며 "새 정부에서도 사직·휴학한 전공의, 의대생 복귀는 조건 없이 자발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또 "특혜성 조치는 먼저 자발적으로 복귀한 전공의, 의대생이 앞으로 겪을 피해를 고려하면 정부에 의한 2차 가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며 "끝까지 복귀하지 않다가 특혜성 조치에 기대어 돌아온 전공의, 의대생이 우대받는다면 이는 정의와 상식에도 반한다"고 꼬집었습니다.
그러면서 "환자 없는 의료는 존재할 수 없다"며 "새 정부는 환자에게도 제도적, 입법적 의견을 전달할 기회를 주기 바란다"고 촉구했습니다.
한편 김민석 국무총리는 취임 첫날인 어제(7일) 대한의사협회장과 대한전공의협의회,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 비상대책위원장을 만나 현안에 관한 의견을 들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JIBS 제주방송 김재연(Replay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