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만들어진 허구 인물
SNS 등에 가짜 사진 확산
러브버그 학살을 멈춰 달라는 한 동물보호운동가의 인터뷰가 온라인에서 확산되는 가운데 이는 인공지능으로 만든 가짜인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8일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에는 고기영이라는 이름의 동물보호운동가가 '러브버그 권리 위원회'라고 적힌 팻말을 들고 누군가와 인터뷰하는 모습이 갈무리돼 올라왔습니다.
이 운동가는 눈물을 흘리며 "지금 이 순간에도 죄 없는 러브버그들이 학살 당하고 있다"며 "학살을 멈추고 공존하는 사회가 되었으면 (한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다른 사진에서 이 운동가는 자신의 얼굴과 몸에 러브버그가 달라붙자 돌연 "아 XX! 얼굴에 붙었어! XX 꺼져!"라며 욕설을 내뱉었습니다.
해당 사진을 SNS에 올린 게시자는 이 운동가가 "이율배반적"이라며 강한 비난을 쏟아냈고, 운동가를 조롱하는 댓글도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AFP 통신이 검증한 결과 두 사진 모두 AI가 만든 가짜 사진이었습니다.
동물보호운동가 고기영 씨 또한 존재하지 않는 허구의 인물이었습니다.
AFP가 구글에서 역검색을 한 결과, 해당 사진의 최초 게시자는 AI로 각종 풍자물을 만드는 '릴 도지'라는 인물이었습니다.
당초 릴 도지는 SNS에 해당 사진들을 올리면서 "실화 바탕의 AI로 제작된 이미지"라는 설명을 붙였지만, 온라인 상에선 실제 이뤄진 인터뷰처럼 번져나간 것으로 보입니다.
AFP는 해당 이미지가 AI 합성물에 나타나는 전형적인 오류들이 있다고 설명하기도 했습니다.
한 손에 손가락이 6개 달려 있거나 기자가 들고 있는 마이크에 전선이 두 개 달려있는 등 입니다.
AFP는 "이와 같은 시각적 왜곡 현상은 AI 합성물에서 흔히 발견되며, 이러한 결함을 찾아내는 것이 현재로서는 조작된 이미지를 식별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전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이효형 (getstarted@hanmail.net)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등에 가짜 사진 확산

인공지능으로 만들어진 환경운동가의 인터뷰 사진 (온라인 커뮤니티 갈무리)
러브버그 학살을 멈춰 달라는 한 동물보호운동가의 인터뷰가 온라인에서 확산되는 가운데 이는 인공지능으로 만든 가짜인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8일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에는 고기영이라는 이름의 동물보호운동가가 '러브버그 권리 위원회'라고 적힌 팻말을 들고 누군가와 인터뷰하는 모습이 갈무리돼 올라왔습니다.
이 운동가는 눈물을 흘리며 "지금 이 순간에도 죄 없는 러브버그들이 학살 당하고 있다"며 "학살을 멈추고 공존하는 사회가 되었으면 (한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다른 사진에서 이 운동가는 자신의 얼굴과 몸에 러브버그가 달라붙자 돌연 "아 XX! 얼굴에 붙었어! XX 꺼져!"라며 욕설을 내뱉었습니다.
해당 사진을 SNS에 올린 게시자는 이 운동가가 "이율배반적"이라며 강한 비난을 쏟아냈고, 운동가를 조롱하는 댓글도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AFP 통신이 검증한 결과 두 사진 모두 AI가 만든 가짜 사진이었습니다.
동물보호운동가 고기영 씨 또한 존재하지 않는 허구의 인물이었습니다.
AFP가 구글에서 역검색을 한 결과, 해당 사진의 최초 게시자는 AI로 각종 풍자물을 만드는 '릴 도지'라는 인물이었습니다.
당초 릴 도지는 SNS에 해당 사진들을 올리면서 "실화 바탕의 AI로 제작된 이미지"라는 설명을 붙였지만, 온라인 상에선 실제 이뤄진 인터뷰처럼 번져나간 것으로 보입니다.
AFP는 해당 이미지가 AI 합성물에 나타나는 전형적인 오류들이 있다고 설명하기도 했습니다.
한 손에 손가락이 6개 달려 있거나 기자가 들고 있는 마이크에 전선이 두 개 달려있는 등 입니다.
AFP는 "이와 같은 시각적 왜곡 현상은 AI 합성물에서 흔히 발견되며, 이러한 결함을 찾아내는 것이 현재로서는 조작된 이미지를 식별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전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이효형 (getstarted@hanmail.net)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