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라산 구상나무
한라산 구상나무의 개화 주기가 3년이라는 연구결과가 처음으로 나왔습니다.
제주자치도 세계유산본부는 한라산 영실과 성판악, 백록샘 등 7개 지역·10곳에서 조사구를 구축해 지난 2022년부터 100개체의 구상나무를 조사목으로 선정하고 개화와 결실 상황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조사 결과 지난 2022년 암꽃은 구상나무 한 그루에 평균 120개가 달렸고 2023년에는 평균 8.8개, 2024에는 평균 13.9개가 조사되었으며 올해는 평균 106.4개의 암꽃이 개화됐습니다.

최근 4년 사이 구상나무 암꽃개화 변화 (제주도 제공)
4년 간의 개화 상황을 모니터링한 결과 개화 주기가 3년으로 확인됐습니다.
자생지별로 윗새오름(2022년 120.6개→2025년 129.6개)과 방애오름(2022년 117개→2025년 123.8개)은 3년 단위로 그루당 평균 개화 상황이 비슷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반면 영실지역(2022년 94.6개→2025년 44.6개)과 큰두레왓지역(2022년 163.2개→2025년 45.0개)로 그루당 평균 개화 주기가 다른 지역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세계유산본부는 "한라산 구상나무 쇠퇴와 고사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구상나무 개화량 관련 연구가 구상나무 보전을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JIBS 제주방송 신효은 (yunk98@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