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선거론 집회’엔 총출동.. ‘출판기념회 금지법’엔 침묵
“정치개혁은 특권 반납부터”.. 사진 한 장으로 입장 명확히 해
국민의힘 지도부가 또다시 ‘윤석열 어게인’이라는 외침 앞에 고개를 숙였습니다.
부정선거론과 탄핵 철회 구호가 터져 나온 행사에 당 지도부가 총출동하자, 한동훈 전 대표는 단 두 개의 페이스북 게시물로 확실히 선을 그었습니다.
‘혁신’을 말하면서도 사실과 괴리된 구호를 외친 자리와 함께한 당의 행보를, ‘정치개혁’이라는 한 마디로 정면 겨냥했습니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앞서 14일, 국회에서 열린 윤상현 의원이 주최한 ‘리셋코리아 국민운동본부’ 발대식에 대거 참석했습니다.
이 행사는 ‘윤석열 어게인’ 세력이 주축이 된 정치 단체의 출범식이자, 부정선거론과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철회를 외치는 강성 지지층의 재집결 무대였습니다.
이날 현장에는 “윤석열 어게인”, “탄핵 철회”, “부정선거 음모론” 등의 구호가 거리낌 없이 쏟아졌습니다.
국민의힘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유상범 원내운영수석 등 당 지도부가 직접 얼굴을 드러낸 자리였습니다.
이튿날인 15일, 한동훈 전 대표는 해당 집회를 겨냥한 글을 페이스북에 올렸습니다.
“현 지도부는 ‘윤석열 어게인’, ‘부정선거 음모론’ 같은 메시지가 과연 ‘합리적 상식적 보수’를 지향하는 국민의힘 정신에 맞는다고 생각하느냐”고 반문했습니다.
이어 “대다수 국민과 지지자들은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실 것”이라며, 당의 정체성과 노선을 두고 명확한 선을 그었습니다.
질문은 짧았지만, 방향은 분명했습니다.
■ ‘윤 어게인’ 총출동 다음 날, 사진 한 장
한 전 대표는 같은 날, 별도의 페이스북 게시물에 사진 한 장을 올렸습니다.
조지연 국민의힘 의원이 ‘출판기념회 금지법’을 설명하는 기자회견 장면이었습니다.
사진 위에는 단 한 문장이 적혔습니다.
“정치개혁의 시작은 특권 반납입니다.”
출판기념회 금지법은 조 의원이 대표 발의한 법안입니다. 현행 공직선거법의 허점을 이용해, 출판기념회를 통해 사실상 정치자금을 편법으로 모금하는 행태를 차단하자는 취지입니다.
물론 한 전 대표는 법안 발의에는 직접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 장면을 선택해 공유한 것만으로도, 자신의 정치개혁 방향성과 입장을 명확히 밝혔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 “혁신 외치면서, 과거 껴안는 모순”
국민의힘은 총선 참패 이후 ‘쇄신’을 외쳐왔습니다. 윤희숙 혁신위원장이 주도하는 8대 과오 혁신안도 그 흐름 위에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다릅니다.
당 지도부는 ‘지켜보겠다’는 말만 반복할 뿐, 그 어떤 행동도 뒤따르고 있지 않습니다.
오히려 ‘윤 어게인’ 집회 같은 퇴행적 움직임과의 거리 두기조차 회피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조지연 의원이 국회의원 전원 서명을 목표로 추진 중인 출판기념회 금지법에도, 다수 의원들은 “나도 책 낼 건데”, “김민석 총리는 이미 다 했는데 왜 우리만 막아”라는 식으로 협조를 꺼리고 있는 분위기입니다.
출판기념회 수익은 정치자금법상 규제받지 않으며, 공개 의무도 없습니다.
말 그대로 정치자금의 회색지대입니다.
한 전 대표는 이에 대해 말 대신 ‘그 장면’을 공유했습니다.
이 메시지는 정치개혁이 구호가 아닌 실천임을 상기시킵니다.
■ ‘지도부’는 침묵, ‘한동훈’은 경고
국민의힘 지도부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극우 지지층과 손을 맞잡았습니다.
이에 대해 한동훈 전 대표는 부정선거 구호를 지적하며, 출판기념회 금지법 이미지를 통해 정치개혁의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사진 한 장, 글 한 줄이 지도부의 침묵보다 더 크게 울리고 있습니다.
국민은 지금, 그 차이를 보고 있습니다.
국민의힘 쇄신의 진짜 시험은 지금부터입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치개혁은 특권 반납부터”.. 사진 한 장으로 입장 명확히 해
한동훈 전 대표가 15일 연이어 페이스북에 올린 게시물. ‘윤석열 어게인’ 집회를 비판한 글과 ‘출판기념회 금지법’ 발표 장면을 담은 이미지를 함께 게시하며 당 지도부의 정체성과 개혁 방향을 동시에 지적했다.
국민의힘 지도부가 또다시 ‘윤석열 어게인’이라는 외침 앞에 고개를 숙였습니다.
부정선거론과 탄핵 철회 구호가 터져 나온 행사에 당 지도부가 총출동하자, 한동훈 전 대표는 단 두 개의 페이스북 게시물로 확실히 선을 그었습니다.
‘혁신’을 말하면서도 사실과 괴리된 구호를 외친 자리와 함께한 당의 행보를, ‘정치개혁’이라는 한 마디로 정면 겨냥했습니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앞서 14일, 국회에서 열린 윤상현 의원이 주최한 ‘리셋코리아 국민운동본부’ 발대식에 대거 참석했습니다.
이 행사는 ‘윤석열 어게인’ 세력이 주축이 된 정치 단체의 출범식이자, 부정선거론과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철회를 외치는 강성 지지층의 재집결 무대였습니다.
이날 현장에는 “윤석열 어게인”, “탄핵 철회”, “부정선거 음모론” 등의 구호가 거리낌 없이 쏟아졌습니다.
국민의힘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유상범 원내운영수석 등 당 지도부가 직접 얼굴을 드러낸 자리였습니다.
윤상현 의원 페이스북 캡처.
이튿날인 15일, 한동훈 전 대표는 해당 집회를 겨냥한 글을 페이스북에 올렸습니다.
“현 지도부는 ‘윤석열 어게인’, ‘부정선거 음모론’ 같은 메시지가 과연 ‘합리적 상식적 보수’를 지향하는 국민의힘 정신에 맞는다고 생각하느냐”고 반문했습니다.
이어 “대다수 국민과 지지자들은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실 것”이라며, 당의 정체성과 노선을 두고 명확한 선을 그었습니다.
질문은 짧았지만, 방향은 분명했습니다.
■ ‘윤 어게인’ 총출동 다음 날, 사진 한 장
한 전 대표는 같은 날, 별도의 페이스북 게시물에 사진 한 장을 올렸습니다.
조지연 국민의힘 의원이 ‘출판기념회 금지법’을 설명하는 기자회견 장면이었습니다.
사진 위에는 단 한 문장이 적혔습니다.
“정치개혁의 시작은 특권 반납입니다.”
출판기념회 금지법은 조 의원이 대표 발의한 법안입니다. 현행 공직선거법의 허점을 이용해, 출판기념회를 통해 사실상 정치자금을 편법으로 모금하는 행태를 차단하자는 취지입니다.
물론 한 전 대표는 법안 발의에는 직접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 장면을 선택해 공유한 것만으로도, 자신의 정치개혁 방향성과 입장을 명확히 밝혔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 “혁신 외치면서, 과거 껴안는 모순”
국민의힘은 총선 참패 이후 ‘쇄신’을 외쳐왔습니다. 윤희숙 혁신위원장이 주도하는 8대 과오 혁신안도 그 흐름 위에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다릅니다.
당 지도부는 ‘지켜보겠다’는 말만 반복할 뿐, 그 어떤 행동도 뒤따르고 있지 않습니다.
오히려 ‘윤 어게인’ 집회 같은 퇴행적 움직임과의 거리 두기조차 회피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조지연(왼쪽 세 번째) 국민의힘 의원을 비롯한 국민의힘 3040 의원들이 지난 4일 국회에서 편법적 정치자금 모금 성격의 출판기념회를 근절하는 법안 처리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조 의원 페이스북 캡처)
조지연 의원이 국회의원 전원 서명을 목표로 추진 중인 출판기념회 금지법에도, 다수 의원들은 “나도 책 낼 건데”, “김민석 총리는 이미 다 했는데 왜 우리만 막아”라는 식으로 협조를 꺼리고 있는 분위기입니다.
출판기념회 수익은 정치자금법상 규제받지 않으며, 공개 의무도 없습니다.
말 그대로 정치자금의 회색지대입니다.
한 전 대표는 이에 대해 말 대신 ‘그 장면’을 공유했습니다.
이 메시지는 정치개혁이 구호가 아닌 실천임을 상기시킵니다.
■ ‘지도부’는 침묵, ‘한동훈’은 경고
국민의힘 지도부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극우 지지층과 손을 맞잡았습니다.
이에 대해 한동훈 전 대표는 부정선거 구호를 지적하며, 출판기념회 금지법 이미지를 통해 정치개혁의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사진 한 장, 글 한 줄이 지도부의 침묵보다 더 크게 울리고 있습니다.
국민은 지금, 그 차이를 보고 있습니다.
국민의힘 쇄신의 진짜 시험은 지금부터입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