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대표 자택 압수수색.. 칠불사 회동·텔레그램 정황, 특검 수사 본격화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의혹을 수사 중인 김건희 특검이 28일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의 서울 노원구 상계동 자택에 대해 압수수색을 단행했습니다.
이 대표가 해당 의혹으로 압수수색 대상에 오른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신분은 참고인으로 분류돼 있습니다.
■ 칠불사 회동·문자·텔레그램.. 특검, 공천 경로 추적 나섰다
28일 정치권과 법조계에 따르면 이번 압수수색은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의 공천 과정과 관련한 핵심 진술을 기초로 한 것으로 파악됩니다.
강혜경 씨는 이달 16일 특검 참고인 조사에서 “김 전 의원의 공천은 윤상현 당시 공천관리위원장이 결정했다고 생각했고, 이준석 대표도 관여한 것으로 여겼다”고 진술했습니다.
또 다른 참고인 명태균 씨는 2022년 5월 8일 이 대표가 “창원 의창은 당선인 뜻에 따라 경선을 하라는 문자메시지를 보냈다”며, 이 문자가 한기호 당시 사무총장의 발언을 전달한 것이었다고 밝혔습니다.
의혹의 중심에는 2024년 3월 1일 경남 하동 칠불사에서 열린 이른바 ‘4인 회동’이 있습니다. 명씨는 이준석 대표, 천하람 의원, 김영선 전 의원과 함께한 자리에서 김 전 의원이 자신의 휴대전화와 텔레그램 메시지를 직접 보여주었다고 증언했습니다.
당시 메시지 내용에 김건희 여사의 발언이 포함돼 있었고, “창원 의창에서 김상민 검사를 당선시켜 달라. 그러면 선거 이후 장관 또는 공공기관장 자리를 보장하겠다”는 취지였다고 말했습니다.
■ 이준석 “시점 공교롭다”.. 특검 “확보자료 분석 중”
이준석 대표는 압수수색 직후 “시점이 공교롭다”며 특검 수사에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오해를 살 만한 일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입장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특검은 이날 확보한 문자 메시지, 통신기록, 회동 당시 자료 등을 분석해 김 전 의원의 공천 과정 전반을 재구성할 계획입니다. 수사팀은 기존 진술 내용과 디지털 포렌식 결과를 종합해 통신 흐름, 회동 경위, 의사결정 라인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볼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김건희 여사 지시 있었나.. 수사 범위, 직거래 정황으로 확대
수사의 다음 초점은 공천 결정 과정의 ‘의사 결정권자’가 누구였는지에 맞춰지고 있습니다.
김 여사의 텔레그램 메시지 내용과 실제 공천 흐름이 일치할 경우, 사후 이익 약속을 전제로 한 직권남용이나 공직선거법 위반이 적용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특히 “공천을 보장하면 자리를 주겠다”는 구조가 실제 존재했다면, 정치적 개입을 넘어 명확한 법적 쟁점으로 전환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 윤상현·한기호 실무진도 대상.. 공천 구조 전체 수사 불가피
압수수색 이후 정치권에서는 공천 실무 라인 전반에 대한 조사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당시 공천관리위원장이었던 윤상현 의원과 사무총장직에 있었던 한기호 전 의원 역시 수사선상에 오를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입니다.
두 인물 모두 전략공천 결정은 ‘집단적 판단에 따른 공식 절차’였다고 주장해왔지만, 관련 진술이 엇갈리고 있어 구체적 의사결정 경로와 개입 범위가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현행 특검법에 따라 김건희 여사는 직접 수사의 대상이 될 수 있고, 윤 전 대통령 역시 퇴임 이후라 하더라도 형사적 면책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향후 수사 흐름에 따라 파장이 확산될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의혹을 수사 중인 김건희 특검이 28일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의 서울 노원구 상계동 자택에 대해 압수수색을 단행했습니다.
이 대표가 해당 의혹으로 압수수색 대상에 오른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신분은 참고인으로 분류돼 있습니다.
■ 칠불사 회동·문자·텔레그램.. 특검, 공천 경로 추적 나섰다
28일 정치권과 법조계에 따르면 이번 압수수색은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의 공천 과정과 관련한 핵심 진술을 기초로 한 것으로 파악됩니다.
강혜경 씨는 이달 16일 특검 참고인 조사에서 “김 전 의원의 공천은 윤상현 당시 공천관리위원장이 결정했다고 생각했고, 이준석 대표도 관여한 것으로 여겼다”고 진술했습니다.
또 다른 참고인 명태균 씨는 2022년 5월 8일 이 대표가 “창원 의창은 당선인 뜻에 따라 경선을 하라는 문자메시지를 보냈다”며, 이 문자가 한기호 당시 사무총장의 발언을 전달한 것이었다고 밝혔습니다.
의혹의 중심에는 2024년 3월 1일 경남 하동 칠불사에서 열린 이른바 ‘4인 회동’이 있습니다. 명씨는 이준석 대표, 천하람 의원, 김영선 전 의원과 함께한 자리에서 김 전 의원이 자신의 휴대전화와 텔레그램 메시지를 직접 보여주었다고 증언했습니다.
당시 메시지 내용에 김건희 여사의 발언이 포함돼 있었고, “창원 의창에서 김상민 검사를 당선시켜 달라. 그러면 선거 이후 장관 또는 공공기관장 자리를 보장하겠다”는 취지였다고 말했습니다.
■ 이준석 “시점 공교롭다”.. 특검 “확보자료 분석 중”
이준석 대표는 압수수색 직후 “시점이 공교롭다”며 특검 수사에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오해를 살 만한 일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입장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특검은 이날 확보한 문자 메시지, 통신기록, 회동 당시 자료 등을 분석해 김 전 의원의 공천 과정 전반을 재구성할 계획입니다. 수사팀은 기존 진술 내용과 디지털 포렌식 결과를 종합해 통신 흐름, 회동 경위, 의사결정 라인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볼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건희 여사.
■ 김건희 여사 지시 있었나.. 수사 범위, 직거래 정황으로 확대
수사의 다음 초점은 공천 결정 과정의 ‘의사 결정권자’가 누구였는지에 맞춰지고 있습니다.
김 여사의 텔레그램 메시지 내용과 실제 공천 흐름이 일치할 경우, 사후 이익 약속을 전제로 한 직권남용이나 공직선거법 위반이 적용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특히 “공천을 보장하면 자리를 주겠다”는 구조가 실제 존재했다면, 정치적 개입을 넘어 명확한 법적 쟁점으로 전환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 윤상현·한기호 실무진도 대상.. 공천 구조 전체 수사 불가피
압수수색 이후 정치권에서는 공천 실무 라인 전반에 대한 조사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당시 공천관리위원장이었던 윤상현 의원과 사무총장직에 있었던 한기호 전 의원 역시 수사선상에 오를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입니다.
두 인물 모두 전략공천 결정은 ‘집단적 판단에 따른 공식 절차’였다고 주장해왔지만, 관련 진술이 엇갈리고 있어 구체적 의사결정 경로와 개입 범위가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현행 특검법에 따라 김건희 여사는 직접 수사의 대상이 될 수 있고, 윤 전 대통령 역시 퇴임 이후라 하더라도 형사적 면책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향후 수사 흐름에 따라 파장이 확산될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자막뉴스] 곰팡이 핀 것처럼...제주바다 점령한 '푸른 해파리' 정체는?
- ∙︎ “이장이 추천해줄게, 진짜 여행지는 여기야”.. 마을이 직접 말하는 제주, 매주 토요일 낮 12시 열린다
- ∙︎ "국가의 주인은 국민"...80주년 광복절 저녁, '국민임명식' 열린다
- ∙︎ “검은 선이 사라진 마을을 꿰맸다”.. 김영화 작가 ‘검은 그믓: 선이 이은 기억’전
- ∙︎ 제주대 '글로컬 대학' 만들기...학교-행정 공동 노력
- ∙︎ 박찬대 민주당 대표 후보, 제2공항 갈등 해소 등 약속
- ∙︎ 관광객에 도민 혜택 부여...'디지털관광주민증' 법제화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