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스포츠’ 이어 세 번째 소비지원 카드.. 지역·노년층 위한 추가 배려도
정부가 다시 지갑을 엽니다.
이재명 정부가 100억 원을 투입해 공연·전시 할인권 총 210만 장을 배포합니다.
영화·스포츠에 이어 세 번째 ‘문화소비 부스터’인데, 이번에는 연극과 무용 그리고 전시와 아트페어까지 대상에 포함시켰습니다.
■ “공연 1만 원, 전시 3천 원”…8일부터 선착순 배포
문화체육관광부는 8일부터 공연 1만 원 할인권 50만 장과 전시 3천 원 할인권 160만 장을 온라인 예매처를 통해 선착순 배포한다고 7일 밝혔습니다.
정부의 2025년 제2차 추경예산 100억 원이 투입된 이번 사업은, ‘내수 살리기’와 ‘일상 속 문화소비 진작’을 두 축으로 추진됩니다.
참여 예매처는 △인터파크 △멜론티켓 △타임티켓 △티켓링크 △예스24 등 5곳으로 1인당 최대 2매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접수는 8일 오전 10시부터 9월 19일까지 진행되며, 소진 시 조기 마감됩니다. 비수도권 관객을 위한 ‘추가 2매’도 일부 예매처에서 제공됩니다.
■ 총 결제금액 기준.. “값싼 티켓도 할인권 사용 가능”
할인권 사용 조건은 단순합니다.
공연은 1만 5,000원 이상, 전시는 5,000원 이상 결제 시 적용됩니다.
즉, 할인권 금액보다 티켓 값이 싸도 여러 장 묶어 결제하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사용 기한은 발급 종료일인 9월 19일까지이며, 관람은 11월 말까지 유효합니다.
대상 공연은 △연극 △뮤지컬 △서양음악 △국악 △무용 △복합 장르로, 대중음악·댄스는 제외됩니다.
전시는 전국 미술관, 비엔날레, 아트페어 등에 폭넓게 적용됩니다.
■ 영화·스포츠·공연·전시.. “문화소비 사각지대, 없앤다”
이번 할인권은 앞서 시행된 ‘영화 할인쿠폰 450만 장’, ‘어르신 스포츠이용권 70만 장’에 이은 세 번째 내수 진작 조치입니다.
소비품목 중에서도 ‘후순위’로 밀려 있던 문화항목을 정책적으로 끌어올리겠다는 시도로 해석됩니다.
문체부는 할인권 설계부터 ‘공공성’에 집중했습니다. 지역 격차 해소를 위해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이 따로 발급되고, 노년층·장애인을 위해 전화 예매도 병행됩니다.
모두예술극장처럼 장예예술 중심 공연장에는 공연권 1만 장이 따로 배정됩니다.
■ “문화 일상화가 민생 회복”.. 李정부의 정책 시그널
최휘영 문체부 장관은 “이번 할인권이 지역 문화소비를 견인하는 동시에, 국민 누구나 일상에서 예술을 더 가까이 누릴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역시 “민생 회복의 열쇠는 소비, 특히 일상 속 소비”라고 강조해온 만큼, 이번 조치는 복합적 정책 실험의 일환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부가 다시 지갑을 엽니다.
이재명 정부가 100억 원을 투입해 공연·전시 할인권 총 210만 장을 배포합니다.
영화·스포츠에 이어 세 번째 ‘문화소비 부스터’인데, 이번에는 연극과 무용 그리고 전시와 아트페어까지 대상에 포함시켰습니다.
■ “공연 1만 원, 전시 3천 원”…8일부터 선착순 배포
문화체육관광부는 8일부터 공연 1만 원 할인권 50만 장과 전시 3천 원 할인권 160만 장을 온라인 예매처를 통해 선착순 배포한다고 7일 밝혔습니다.
정부의 2025년 제2차 추경예산 100억 원이 투입된 이번 사업은, ‘내수 살리기’와 ‘일상 속 문화소비 진작’을 두 축으로 추진됩니다.
참여 예매처는 △인터파크 △멜론티켓 △타임티켓 △티켓링크 △예스24 등 5곳으로 1인당 최대 2매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접수는 8일 오전 10시부터 9월 19일까지 진행되며, 소진 시 조기 마감됩니다. 비수도권 관객을 위한 ‘추가 2매’도 일부 예매처에서 제공됩니다.
■ 총 결제금액 기준.. “값싼 티켓도 할인권 사용 가능”
할인권 사용 조건은 단순합니다.
공연은 1만 5,000원 이상, 전시는 5,000원 이상 결제 시 적용됩니다.
즉, 할인권 금액보다 티켓 값이 싸도 여러 장 묶어 결제하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사용 기한은 발급 종료일인 9월 19일까지이며, 관람은 11월 말까지 유효합니다.
대상 공연은 △연극 △뮤지컬 △서양음악 △국악 △무용 △복합 장르로, 대중음악·댄스는 제외됩니다.
전시는 전국 미술관, 비엔날레, 아트페어 등에 폭넓게 적용됩니다.
■ 영화·스포츠·공연·전시.. “문화소비 사각지대, 없앤다”
이번 할인권은 앞서 시행된 ‘영화 할인쿠폰 450만 장’, ‘어르신 스포츠이용권 70만 장’에 이은 세 번째 내수 진작 조치입니다.
소비품목 중에서도 ‘후순위’로 밀려 있던 문화항목을 정책적으로 끌어올리겠다는 시도로 해석됩니다.
문체부는 할인권 설계부터 ‘공공성’에 집중했습니다. 지역 격차 해소를 위해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이 따로 발급되고, 노년층·장애인을 위해 전화 예매도 병행됩니다.
모두예술극장처럼 장예예술 중심 공연장에는 공연권 1만 장이 따로 배정됩니다.
■ “문화 일상화가 민생 회복”.. 李정부의 정책 시그널
최휘영 문체부 장관은 “이번 할인권이 지역 문화소비를 견인하는 동시에, 국민 누구나 일상에서 예술을 더 가까이 누릴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역시 “민생 회복의 열쇠는 소비, 특히 일상 속 소비”라고 강조해온 만큼, 이번 조치는 복합적 정책 실험의 일환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800만이 몰렸는데, 돈은 안 썼다?”.. 내국인 700만·외국인 40% 폭증에도 ‘소비 정체’
- ∙ “전기요금 폭탄, 에어컨 하루 1시간이 갈랐다”.. 폭염에 무너진 누진제 완충선
- ∙ 태풍 ‘버들’ 북상.. 제주·전국 장맛비급 강수 가능성, 2차 우기·열대 수증기 ‘경고’
- ∙ "한순간에 암흑으로" 제주 대규모 정전.. 차량 블랙박스로 보니 [영상]
- ∙ 돈 없다더니 명품 백 '수두룩'.. 상반기 정리된 체납액만 363억
- ∙ "파라솔 2만 원" 바가지 걷어낸 제주 해수욕장.. 이용객 껑충
- ∙ “요금은 올리고, 약속은 내팽개쳤다”.. 아시아나, ‘광주~제주’까지 건드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