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울릉 해녀 합동 물질 시연
공동체 연대·해양주권 의지 강조
독도 근무자에 '해녀밥상' 전달도
광복 80주년을 맞아 제주와 울릉 해녀들이 독도 바다에서 물질을 하는 특별한 행사가 마련됐습니다.
제주자치도는 오늘(8일) 독도 몽돌해안에서 제주와 울릉 해녀의 합동 물질 시연이 진행됐다고 밝혔습니다.
물질 시연에는 제주와 울릉 해녀 10여 명이 참여해 숙련된 솜씨로 해산물을 채취하는 물질 시연을 벌였습니다.
이어 바다 위에 대형 태극기를 펼치며 공동체 연대와 해양주권의 의지를 다지기도 했습니다.
일제강점기부터 제주 해녀들은 독도 해역에서 물질을 해왔고, 광복 이후에는 더욱 적극적으로 독도를 삶의 터전으로 삼았습니다.
1950년대 들어 일본의 독도에 대한 영유권 주장이 이어지면서 울릉도 청년들이 조직한 독도의용수비대와 함께 실질적인 영토 수호에 나서기도 했습니다.
당시 독도의용수비대는 운영 자금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는데, 해녀들이 채취한 값비싼 자연산 독도 미역과 전복 판매 수익은 수비대 운영비로 쓰였습니다.
이러한 해녀들의 어업 활동은 그 자체만으로 독도 영유권을 입증하는 가장 확실한 증거가 됐습니다.
우리 국민이 독도에서 일상적으로 경제활동을 한다는 사실은 강력한 실효적 지배의 근거가 되기 때문입니다.
유용예 제주도해녀협회 감사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독도 바다에 들어갔는데 여전히 바다가 깨끗하고 풍요로웠다"며 "제주해녀 숨비소리가 독도 동도와 서도 사이에 가득 울려퍼진 것이 가슴 벅찼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광복 80주년을 기념해 더욱 감동스럽고 경이로운 순간이었다"며 "제주해녀가 언제든지 바다를 통해 문화교류를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강명선 제주도해녀협회 부회장은 "감태가 있는 걸 보니 바다가 살아있다"면서 "여기는 물이 세고 물때가 없어 겁도 났지만, 기회가 되면 또 올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물질 시연 후에는 독도 등대지기, 중앙119 소방관 등 독도 근무자 6명에게 제주해녀들이 준비한 '제주해녀 밥상'이 전달됐습니다.
전통 바구니 차롱에는 홍합 주먹밥, 된장냉국, 소라꼬지, 돼지적갈 등 해녀들이 평소 즐겨 먹던 음식이 담겼습니다.
해녀 밥상을 받은 이승효 중앙119구조본부 소방위는 "이곳에서 못 먹어본 것들"이라면서 "잘 먹겠다"고 감사를 전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이효형 (getstarted@hanmail.net)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공동체 연대·해양주권 의지 강조
독도 근무자에 '해녀밥상' 전달도

제주와 울릉 해녀들이 독도 몽돌해안에서 진행한 대형 태극기를 펼치는 퍼포먼스 (제주도 제공)
광복 80주년을 맞아 제주와 울릉 해녀들이 독도 바다에서 물질을 하는 특별한 행사가 마련됐습니다.
제주자치도는 오늘(8일) 독도 몽돌해안에서 제주와 울릉 해녀의 합동 물질 시연이 진행됐다고 밝혔습니다.
물질 시연에는 제주와 울릉 해녀 10여 명이 참여해 숙련된 솜씨로 해산물을 채취하는 물질 시연을 벌였습니다.
이어 바다 위에 대형 태극기를 펼치며 공동체 연대와 해양주권의 의지를 다지기도 했습니다.

독도 (제주도 제공)
일제강점기부터 제주 해녀들은 독도 해역에서 물질을 해왔고, 광복 이후에는 더욱 적극적으로 독도를 삶의 터전으로 삼았습니다.
1950년대 들어 일본의 독도에 대한 영유권 주장이 이어지면서 울릉도 청년들이 조직한 독도의용수비대와 함께 실질적인 영토 수호에 나서기도 했습니다.
당시 독도의용수비대는 운영 자금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는데, 해녀들이 채취한 값비싼 자연산 독도 미역과 전복 판매 수익은 수비대 운영비로 쓰였습니다.
이러한 해녀들의 어업 활동은 그 자체만으로 독도 영유권을 입증하는 가장 확실한 증거가 됐습니다.
우리 국민이 독도에서 일상적으로 경제활동을 한다는 사실은 강력한 실효적 지배의 근거가 되기 때문입니다.

제주해녀들이 독도 몽돌해안에서 물질 시연을 하는 모습 (제주도 제공)
유용예 제주도해녀협회 감사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독도 바다에 들어갔는데 여전히 바다가 깨끗하고 풍요로웠다"며 "제주해녀 숨비소리가 독도 동도와 서도 사이에 가득 울려퍼진 것이 가슴 벅찼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광복 80주년을 기념해 더욱 감동스럽고 경이로운 순간이었다"며 "제주해녀가 언제든지 바다를 통해 문화교류를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강명선 제주도해녀협회 부회장은 "감태가 있는 걸 보니 바다가 살아있다"면서 "여기는 물이 세고 물때가 없어 겁도 났지만, 기회가 되면 또 올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제주해녀들이 독도 근무자들에게 전달한 '해녀밥상' (제주도 제공)
물질 시연 후에는 독도 등대지기, 중앙119 소방관 등 독도 근무자 6명에게 제주해녀들이 준비한 '제주해녀 밥상'이 전달됐습니다.
전통 바구니 차롱에는 홍합 주먹밥, 된장냉국, 소라꼬지, 돼지적갈 등 해녀들이 평소 즐겨 먹던 음식이 담겼습니다.
해녀 밥상을 받은 이승효 중앙119구조본부 소방위는 "이곳에서 못 먹어본 것들"이라면서 "잘 먹겠다"고 감사를 전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이효형 (getstarted@hanmail.net)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전기요금 폭탄, 에어컨 하루 1시간이 갈랐다”.. 폭염에 무너진 누진제 완충선
- ∙ 태풍 ‘버들’ 북상.. 제주·전국 장맛비급 강수 가능성, 2차 우기·열대 수증기 ‘경고’
- ∙ "등산 중 깜짝" 노루인 줄 알았더니 '거대 멧돼지'.. 오름서 출몰
- ∙ "신세계백화점 폭파" 테러 예고.. 잡고 보니 제주 사는 '촉법소년'
- ∙ "차 수리에 순정품 못 쓴다고?" 소비자 역풍에 결국 물러선 당국
- ∙ “자리만 맡고 나가버리는 그들, 이건 선 넘었다”.. Z세대도 질렸다
- ∙ 커피 한 잔에 눌러앉는 '민폐 카공족'.. 뿔난 스타벅스 전쟁 선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