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 반찬인 마른 김 가격이 평년보다 40%나 치솟자 정부가 20년만에 마른김 비축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해양수산부는 김 가격이 저렴할 때 수매해서 보관했다가 가격이 많이 오를 때 시중에 물량을 공급하는 비축 제도를 도입하기 위해 기획재정부와 협의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집계에 따르면 지난 8일 기준 마른김(중품) 평균 소매 가격은 10장에 1천347원으로 평년 952원 보다 41.5% 높게 형성되고 잇씁니다.
마른김 가격은 지난해 봄부터 급등해 1년 6개월 동안 강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연평균 마른김(10장) 가격은 2023년 1천19원에서 지난해 1천271원으로 높아진 데 이어 올해 1천384원까지 치솟았습니다.
지난해 중국과 일본의 김 생산 부진으로 우리나라 김 수출이 급증하자 국내에서 마른김 가격이 치솟았고, 동원F&B, CJ제일제당 등도 조미김 가격을 올렸습니다.
한국 산에 대한 외국인들의 선호도가 크게 높아졌고, 김밥 역시 해외에 알려지면서 김 수출 물량이 더 늘어나, 김 값이 더 뛸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해수부는 기후변화로 어업 생산량의 변동성이 커진 데다 수출 물량이 급격히 늘어나 내수 공급이 부족해질 수 있어 김 비축이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또 전남 나주에 소비지분산물류센터를 증축중이고, 이 곳을 마른 김 비축 저장고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중입니다.
마른김 비축은 1979년부터 2006년까지 이어져왔습니다.
하지만 마른 김 가격이 떨어지고, 비축분 김 품질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중단됐습니다.
해수부가 마른 김 비축에 나서게 되면 20년만에 재시행하게 되는 겁니다.
JIBS 제주방송 강석창(ksc064@naver.com)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