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주거·경력·미래 불확실성, 모든 부담 지수 1위
결혼 의향 높지만 출산 의향 ‘뚝’.. 초저출산 구조 드러나
한국 청년들은 독일·일본·프랑스·스웨덴보다 출산을 앞두고 따지는 조건이 훨씬 많고, 경제적 부담과 미래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 역시 압도적으로 높았습니다.
결혼할 생각은 상대적으로 많지만, 막상 아이를 낳겠다는 의향은 중하위권에 그쳐 초저출산이 단순히 개인 선택이나 문제가 아니라 구조적 문제임을 보여줬습니다.
■ 결혼은 ‘가능’, 출산은 ‘망설임’
14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해 69월 한국을 포함한 5개 국 20~49살 성인 각 2,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혼·출산·육아·인구정책 인식 조사 결과, 한국의 결혼 의향은 52.9%로 스웨덴(50.2%), 독일(46.5%)보다 높았습니다.
그러나 정작 출산 의향은 31.2%로 스웨덴(43.2%), 프랑스(38.8%), 독일(38.6%)보다 낮았고, “출산하지 않겠다”는 응답은 47.3%로 일본(45.9%)보다도 높았습니다.
■ 절반 이상 “미래 불확실성”.. 셋째 이상 “OECD 최저”
출산을 계획할 때 고려 요인에서도 한국은 ‘가정 경제 여건’·‘주거 환경’·‘경력 단절 가능성’ 등 전 항목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습니다.
특히 “미래가 불확실하다”를 매우 중요하게 본 응답은 50.1%로, 일본(30.5%)과 스웨덴(22.5%)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계획 자녀 수 역시 한국은 1.74명으로 가장 적었으며, 셋째 이상 출산율은 OECD 최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 ‘하고 싶은 일 줄어든다’ 1위
출산이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한국은 ‘경제적 부담이 늘어난다’에 전적으로 동의한 비율이 59.9%로 프랑스(35.6%), 일본(35.0%), 스웨덴(25.2%)보다 훨씬 높았습니다.
‘원하는 것을 자유롭게 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나나 배우자의 일할 기회가 줄어든다’는 응답도 최상위를 기록했습니다.
■ 일·가정 양립 난이도 최고
육아 병행 난이도 역시 한국이 57.6%로 일본(55.8%), 프랑스(47.3%), 스웨덴(23.2%)을 모두 앞섰습니다.
여기에 ‘사회가 전반적으로 공정하다’는 진술에 동의한 점수는 5점 만점에 2.35점으로 5개 국 중 최저였습니다.
소득 격차와 상위 1% 자산 집중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 “제도 실효성·구조 전환 없인 불가능”
연구진은 결혼·출산·육아에 대한 인식이 일·가정 양립 환경, 경력 지속 가능성, 제도 실효성 등 사회 구조 전반과 직결된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책 인지도와 사회적 수용성 확보는 물론, 실효성 있는 제도 설계와 안정적인 양립 여건 조성이 필수”라며, “단기 지원금이나 일회성 캠페인을 넘어 주거·고용·돌봄 시스템 전반의 구조적 전환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결혼 의향 높지만 출산 의향 ‘뚝’.. 초저출산 구조 드러나

한국 청년들은 독일·일본·프랑스·스웨덴보다 출산을 앞두고 따지는 조건이 훨씬 많고, 경제적 부담과 미래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 역시 압도적으로 높았습니다.
결혼할 생각은 상대적으로 많지만, 막상 아이를 낳겠다는 의향은 중하위권에 그쳐 초저출산이 단순히 개인 선택이나 문제가 아니라 구조적 문제임을 보여줬습니다.
■ 결혼은 ‘가능’, 출산은 ‘망설임’
14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해 69월 한국을 포함한 5개 국 20~49살 성인 각 2,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혼·출산·육아·인구정책 인식 조사 결과, 한국의 결혼 의향은 52.9%로 스웨덴(50.2%), 독일(46.5%)보다 높았습니다.
그러나 정작 출산 의향은 31.2%로 스웨덴(43.2%), 프랑스(38.8%), 독일(38.6%)보다 낮았고, “출산하지 않겠다”는 응답은 47.3%로 일본(45.9%)보다도 높았습니다.

■ 절반 이상 “미래 불확실성”.. 셋째 이상 “OECD 최저”
출산을 계획할 때 고려 요인에서도 한국은 ‘가정 경제 여건’·‘주거 환경’·‘경력 단절 가능성’ 등 전 항목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습니다.
특히 “미래가 불확실하다”를 매우 중요하게 본 응답은 50.1%로, 일본(30.5%)과 스웨덴(22.5%)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계획 자녀 수 역시 한국은 1.74명으로 가장 적었으며, 셋째 이상 출산율은 OECD 최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 ‘하고 싶은 일 줄어든다’ 1위
출산이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한국은 ‘경제적 부담이 늘어난다’에 전적으로 동의한 비율이 59.9%로 프랑스(35.6%), 일본(35.0%), 스웨덴(25.2%)보다 훨씬 높았습니다.
‘원하는 것을 자유롭게 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나나 배우자의 일할 기회가 줄어든다’는 응답도 최상위를 기록했습니다.
■ 일·가정 양립 난이도 최고
육아 병행 난이도 역시 한국이 57.6%로 일본(55.8%), 프랑스(47.3%), 스웨덴(23.2%)을 모두 앞섰습니다.
여기에 ‘사회가 전반적으로 공정하다’는 진술에 동의한 점수는 5점 만점에 2.35점으로 5개 국 중 최저였습니다.
소득 격차와 상위 1% 자산 집중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 “제도 실효성·구조 전환 없인 불가능”
연구진은 결혼·출산·육아에 대한 인식이 일·가정 양립 환경, 경력 지속 가능성, 제도 실효성 등 사회 구조 전반과 직결된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책 인지도와 사회적 수용성 확보는 물론, 실효성 있는 제도 설계와 안정적인 양립 여건 조성이 필수”라며, “단기 지원금이나 일회성 캠페인을 넘어 주거·고용·돌봄 시스템 전반의 구조적 전환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